조선왕조 개창 - 이성계와 조준.정도전의
김당택 지음 / 전남대학교출판부 / 2012년 10월
평점 :
품절


드라마 <정도전>을 열심히 봤던 터라 조선 왕조 개국 당시가 궁금해졌다.

대학교에서 출판된 책은 일단 신뢰도가 높아서 좋다.

드라마에 등장하는 인물들과 비교해 가면서 재밌게 읽었다.

기본적인 맥락은 <조선왕조의 기원>과 일치한다.

조선의 개국이 익히 알려진 것과는 달리, 즉 권문세가들을 사대부들이 몰아낸 것이 아니라 지배층 변화가 거의 없었다는 점을 강조한다.

저자는 좀더 디테일하게 어떻게 지배층이 변하였는지를 설명한다.

공민왕이 반원 정책을 실시할 때 주역이었던 집단은 바로 원나라에 끈이 닿아 있는 무장 세력이었다.

이들은 왜구와 홍건적을 토벌하면서 명성을 쌓았고 공민왕이 반원 정책을 시행하자 왕 편에 앞장서서 쌍성총관부 등을 탈환한다.

이 때 이성계의 집안도 귀화한다.

그런데 공민왕이 급서하고 우왕이 즉위하자 원에서는 심왕을 보내겠다고 군사적 협박을 한다.

망해 가는 나라였으나 원의 군사적 공세를 받아칠 여력이 없었던 고려 무신들은 친원 정책으로 바꾸게 된다.

무신들이 고위직을 독점하던 것을 못마땅해 하던 문신들은 이것을 반격의 기회로 삼아 친명 정책을 주장한다.

이 과정에서 문신들이 죽거나 귀양을 가고 친정에 실패한 우왕 대신 군사력을 가진 다른 장수를 찾아 나선 것이 바로 이성계였다.

정도전과 정몽주 등은 위화도 회군 전부터 이성계와 연결되었고, 조준, 윤소종 등은 회군 직후 합류한 것으로 본다.

저자는 이것을 중요하게 다룬다.

정도전을 제외하고 이색이나 정몽주 등은 이성계의 회군을 지지하지 않았으나, 회군 후에 합류한 조준 등은 이성계 옹립을 적극 주장하게 된다.

드라마에서는 정도전이 왕조 개창의 주역으로 나오는데 이 책에서는 조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게 기술된다.

그래서 제목에도 조준이 들어간다.

저자는 권문세가와 사대부의 싸움이 아니라, 고위 무신들과 문신의 대립으로 이해한다.

이성계를 제외한 고위 무신들이 제거되면서 문신들이 개국 후 지배층으로 등장했다는 것이다.

개국공신들을 살펴보면 대표적인 권문세가로 지목되는 이인임의 조카들도 많고 최영 휘하 장수들도 있으며 이색 등의 제자였던 권근 등도 포함되어 있다.

집권층이 바뀌긴 했으나 기본적인 지배 계층의 성향은 같은 걸로 보는 것이다.

 

저자는 요동 정벌에 대해 명나라의 군사적 위협에 대항하기 위함이 아니라, 이성계의 사병을 제거하기 위한 최영 측의 계략으로 본다.

당시 군사들은 해당 지역을 장악하고 있는 장군 휘하에서 징발하는 것이니 이성계의 경우 동북면 친병들이 대거 출정하게 됐다.

명나라는 원이 관할했던 지역을 승계하겠다는 원칙만 천명했을 뿐이지 실제로 압록강 이남을 지배하겠다는 구체적인 행동을 취하지 않았다고 한다.

주원장은 요동 정벌군이 편성됐다는 것조차 전혀 몰랐다고 본다.

이성계의 회군은 권력 다툼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편이었고 회군은 곧 반역이니 새 왕조 개창을 결심했을 것이다.

그런데 회군 후 개국까지 4년의 시간이 걸리고, 우왕을 폐위하고 그 아들인 창왕을 세우고 공양왕까지 옹립했던 것으로 보아 저자는 이성계파의 권력이 공고하지 못해 사전작업 할 시간이 필요했던 것으로 이해한다.

우왕은 폐위당한 후에도 이색 등이 찾아 뵐 만큼 권위를 갖고 있었고 후에 옹립한 공양왕도 정몽주 등을 내세워 이성계에 반발하자 김저 사건 등을 조작하고 정몽주를 격살한 후 조선을 개국하게 된다.

드라마에서나 일반적인 인식으로는 이성계가 반대파를 없애는 과정이 잘 드러나지 않는데 저자는 이 부분을 중요하게 기술한다.

사전 혁파는 이미 정몽주 등이 개혁법을 주장해 왔던 것으로 이성계파는 사전 자체를 폐지하자는 과격한 주장을 통해 고려 왕조의 기본 질서 자체를 무너뜨리려고 한다.

드라마에서도 이 사전 혁파가 매우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는데, 차이점은 이성계 일파가 백성을 사랑해서가 아니라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기 위한 정책으로 본다는 것이다.

 

무신과 문신의 대립, 요동 정벌의 실상, 사전 혁파가 갖는 의미, 이성계가 반대파를 제거하는 과정 등을 살펴볼 수 있는 흥미로운 시간이었다.

결국 조선왕조의 개국은 지배층의 성격이 크게 바뀌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권문세가와 사대부의 대립은 매우 피상적인 이해라는 걸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