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역사 2
임용한 지음 / 혜안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4년도 출판이니 벌써 10년된 책.

신간 나왔을 때 도서관에 신청해서 읽었던 것 같고 전쟁 얘기, 특히 고려 시대 얘기라 전후 사정을 잘 몰라 지루했던 기억이 난다.

초반에 나오는 강조의 통주성 전투는 일단 강조라는 인물 자체에 대해 무지했고 통주가 대체 어디인지 전혀 감이 안 잡혀 집중하기 힘들었다.

그런데 고려 시대에 대한 책을 읽으면서 또 드라마를 보면서 (천추태후, 에서 강조가 최재성으로 나온다) 고려에 대한 기본지식이 생기고 지도를 펴놓고 책에 나오는 지명들을 짚어 가면서 읽으니 어느 정도 이해가 된다.

북한 땅이라 직접 답사할 수 없다는 점이 학자들에게는 아쉬울 것 같다.

고구려 연구하는 분들도 중국에서 동북공정 내세우면서 유물, 유적을 공개하지 않으니 안타까운 일이다.

사료 부족 탓인지 아니면 삼국 시대나 조선에 비해 흥미가 적어서인지 고려 시대는 늘 소략됐던 것 같다.

임용한씨의 전쟁사 시리즈를 읽으면서 고려가 얼마나 많은 외침을 이겨냈는지 새삼 느낀다.
2권에 나오는 전쟁의 주적은 거란과 여진이다.

3권에서는 거란이 망한 후 금나라에 쫓겨 다시 고려를 침공하고, 홍건적이나 왜구 같은, 국가도 아닌 도둑떼들의 국토 유린을 다룬다.

명과 청이 세워져 중국을 통일했던 조선 시대 때는 사대외교 덕분인지 북방이 편안했지만 고려 시대는 유목민족의 흥기로 중원으로 쳐들어가기 전 고려을 먼저 침공해 꽤나 애를 먹었던 듯 하다.

서희의 강화 회담으로 유명한 소배압의 1차 침입이나 성종이 직접 친정한 2차 전쟁, 귀주대첩으로 유명한 소손녕의 침공 등 거란전에 대한 윤곽이 잡힌다.

기본적으로 고려는 중앙에서 관리와 군대를 파견한 조선과는 달리, 기본적으로 향촌을 스스로 방어하는 일종의 지방자치였는데 고려말로 갈수록 이 체제가 무너져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을 방어하기 힘들었던 것 같다.

윤관의 동북 9성과 여진 정벌이 주는 의미에 대해서도 새롭게 알게 됐다.

국사책에서 배울 때는 대체 왜 힘들게 건설한 성을 다 내준 거냐고 고려 왕실을 비웃었던 기억이 나는데 당시 정세로 보면 그 정도의 분전도 대단한 것이고 사회 역량이 함경도 지역 경영을 유지할 만큼 크지 않았다는 걸 확인했다.

이런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인다.

임용한씨는 민족주의에 함몰하지 않고 사회 체제 중심으로 역사를 기술해 역사 이해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