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년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
국립중앙박물관 편집부 엮음 / 국립중앙박물관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의궤가 145년만에 프랑스에서 반환된 것을 기념하여 열린 특별전 도록.

가볼까 하다가 바쁘기도 하고 특별한 게 있을까 싶어 말았는데 가서 봤으면 더 좋았을 뻔 했다.

분상용과는 확실히 다른, 예술적 가치가 느껴지는 훌륭한 모양새다.

어람용이라는 이름답게 채색도 화려하고 글씨도 반듯반듯하고 정성스러운 해서체라 감상하는 즐거움이 있다.

한국 문화나 글자에 대해 전혀 몰랐을 프랑스 군인들 눈에도 뭔가 다른 느낌이 있었을 것이다.

문화재 약탈이라니, 지금 생각하면 어처구니 없는 야만적 행동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중요성을 알고 자신들의 나라로 훔쳐간 걸 보면 문화에 대한 기본 개념은 있었던 모양이다.

 

조선은 예를 숭상하는 유교 문화권으로 의궤는 각종 의식과 절차를 어떻게 구현할지 그 과정을 정리한 책자다.

일종의 기록 보고서라고 할까?

반차도가 가장 유명한데 그 외에도 절차를 정리한 각종 문서들이 많다.

조선 초기부터 작성했다고 하는데 제일 빠른 것이 인조 시대라고 하니 기록이 전해진다는 게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닌 모양이다.

문화적 부흥기라고 일컫어지는 숙종, 영조, 정조 시기의 의궤 제작이 활발했고 가까운 시기인 19세기 무렵의 다양한 잔치, 가례, 상례 의궤도 많다.

존호를 올리는 상호도감의궤, 건물을 짓는 영건도감의궤, 묘를 이장하는 천봉도감의궤 등 다양하다.

어떤 행사가 있으면 의궤라는 형식을 통해 그 과정을 기록으로 남겼던 셈이다.

명분을 중요시 하는 국가인 만큼 시호나 존호 올리는 것도 매우 중요시 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