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과 오만의 역사
이희진 지음 / 동방미디어 / 2001년 8월
평점 :
품절


이희진씨가 쓴 <전쟁의 발견>을 재밌게 읽었던 터라 기대감을 갖고 읽은 책인데 기대에는 좀 못 미쳤다.

역시 시의성이 너무 떨어진다고 해야 하나?

다른 분이 쓴 리뷰에서도 읽은 바지만, 식민사학 문제는 이제 어느 정도 극복이 되고 저자가 주장하는 바는 어느 정도는 해소가 되지 않았나 싶다.

적어도 식민사학 문제나 백제 대륙설, 이런 문제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저자의 생각에 동의하고 별 이의 제기할 것도 없기 때문에 새롭지가 않았다.

제일 궁금한 것은 임나를 어떻게 보느냐는 것인데, 제목은 정확히 생각이 안 나지만 어딘가에서 읽은 바로는, 임나가 일종의 가야 연맹체 같은 역할을 하고 그것을 이끈 사람이 백제의 성왕이었다고 했다.

책을 다시 한 번 읽어 봐야 할 것 같다.

이 연합체제에 왜도 포함이 되어 있어 한반도에 사신 등을 보냈다고 했다.

<일본서기>가 천황의 권위를 높히기 위해 많은 부분에 과장이 지나쳐 신뢰하기 힘들다는 평도 들은 것 같다.

어찌 됐든 8세기에 출간된 엄청난 고서인 만큼 당대의 기록이라는 가치는 인정해 줘야 할 것 같다.

광개토대왕비 역시 당시 고구려인의 입장에서 쓴 비문이므로 신묘년조의 해석이 사실 중요한 것은 아니라는 저자의 생각에 동의한다.

정말로 고구려가 백제와 신라를 지배하고 있었는지 여부는 사실이냐 아니냐를 비문의 글자로 판단할 일은 아닌 것 같다.

광개토대왕이 5만의 군대를 보내 왜를 물리친 것을 두고, 저자는 <전쟁의 발견>에서 왜의 세력이 그만큼 커서라기 보다는 대군을 이끌어 큰 전투 없이 한 번에 해결하려는 일종의 전략이었다고 해석했는데 다른 책에서는 당시 왜의 세력이 5만 대군으로 정벌할 만큼 컸다고도 해서 역시 논란이 많겠으나 일단은 쓰여진 대로 해석하는 게 맞을 것 같다.

 

4세기에 활동한 진구황후가 실은 3세기에 등장하는 히미코 여왕이었다는 주장은 다른 책에서 한 번 확인해 봐야 할 것 같다.

두 갑자를 뒤로 물려서 쓴 책이라 진구황후 얘기가 히미코 여왕 얘기와 딱 맞아 떨어진다고 했는데 이 부분도 확인이 필요하다.

진구라면 드라마 <근초고왕>에서 작은 소국 야마타 왕국의 공주로 백제에 문물을 배우러 온 미개한 여인으로 나오는데 근초고왕의 아들과 결혼해 일본 열도를 정복하는 걸로 나온다.

일본인들이 보면 기절초풍할 얘기겠지만 드라마에서는 나름대로 백제의 문화 전수와 도래인의 기원을 이런 식으로 해석한 것 같다.

대륙백제는 처음부터 워낙 황당한 소리라 생각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지 않았는데, 교과서에 실린대로 요서 경략 정도는 했다고 알고 있었다.

그런데 저자는 요서에 백제군을 뒀다는 것도 부정하는 입장이라 이 부분은 신선하게 다가왔다.

저자에 따르면 백제가 요서 지방에 군현을 뒀다는 것은 순전히 남조의 역사책에만 나오는 것이고, 실제로 요서를 지배한 북조의 역사책에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고 이의를 제기한다.

전연이나 북위 등과 대립하고 있었던 양나라 등에서 남의 땅에 마음대로 백제왕을 책봉해 버렸다는 것이다.

실제 지배력은 행사하지 못하면서 직위만 갖고 있는 셈이랄까?

그런데도 역사스페셜 등에서 백제의 관직 담로가 그 지역에 있었다는 정황 증거 등을 들어 요서 경략을 사실화 했던 것을 비판한다.

나도 TV 보면서 어설프다 생각은 했었는데 책에서 확인하니 역시나 싶다.

대륙백제도 결국은 일본의 임나일본부와 일맥상통하는 민족주의적 주장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