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여자 - 오직 한 사람을 바라보며 평생을 보낸 그녀들의 내밀한 역사
김종성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김종성씨 책은 비약이 심하고 과거의 역사를 지나치게 현대적 의미로 해석하여 별로 신뢰하지 않았는데 제목에 혹해서 읽게 됐다.

다행히 비사에 그치지 않고 성실하게 실록이나 기타 자료들을 분석하여 어느 정도 신뢰성을 갖춘 책이라 흥미롭게 읽었다.

오히려 제목이 내용에 비해 너무 자극적이지 않나 싶을 정도로 내용은 성실한 편.

 

제일 궁금한 건 조선 시대 양인은 절대 궁녀가 될 수 없고 공노비만이 궁녀로 뽑을 수 있다고 했는데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나 계모 정현왕후 등은 어려서 궁에 입궐해 후에 승은을 입어 후궁이 됐다고 알고 있다.

처음부터 후궁으로 간택된 것은 분명히 아닌데 (폐비 윤씨는 성종보다 10여 살 가까이 연상으로 알고 있다) 그렇다면 양반가의 이 여인들은 어떤 명분으로 궁에 들어왔던 것일까?

중종 반정처럼 갑작스럽게 여러 명의 양반가 여인들이 후궁으로 들어온 것도 아닌데 말이다.

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도 궁녀 출신인데 승은을 입어 후궁이 되고 세자빈이 쫓겨난 후 빈궁에 올랐다.

현덕왕후 역시 간택을 통해 얻은 후궁이 아니다.

양반가의 여식은 어떤 식으로 궁에 들어오게 됐는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 같다.

 

꼼꼼하게 사료를 분석해 얻은 정보가 많았는데 경종을 희빈장씨의 맏아들로 기록한 건 내가 알고 있는 것과 좀 달랐다.

아마 왕들의 친인척 기록한 책에서 봤던 것 같은데 경종 이전에 아들이 있었고 어려서 사망했다고 알고 있는데 찾아 봐야 할 것 같다.

영조를 낳은 숙빈 최씨는 알려진 것과는 달리 무수리 출신이 아닌 궁녀였다는 게 맞을 것 같다.

신도비에 7세에 입궁했다고 쓰여 있고 상궁들 사이에서 전해오는 이야기로 침방에서 일했다고 하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