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쇼핑 2 - 나만의 컬렉션을 위한 첫 걸음
이규현 지음 / 앨리스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 쇼핑 1권을 읽을 때만 해도 막연히 저자가 남자라고만 생각했다.
이규현이라는 중성적 느낌 때문에 그랬나 보다.
2권의 책날개에 실린 귀여운 얼굴을 보고 그제서야 작가의 성별을 알게 됐다.
어느새 조선 일보를 그만두고 뉴욕의 예술 대학원을 졸업하여 아트 저널리스트로 일하고 있었다.
어쩐지 저자의 성장을 지켜 보는 것 같아 약간의 흐뭇함이 있었다. 

사실 이 책을 읽게 된 계기는, <나만의 컬렉션을 위한 첫 걸음>이라는 부제가 마음에 들어서였다.
나만의 컬렉션을 만드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사실 나는 책도 마찬가지지만 그림 역시 뭘 꼭 소유해야 한다는 생각이 없어서 사는 것 자체는 큰 관심이 없다.
늘 새로운 것을 탐하는 호기심 때문일 것이다.
아무대로 나에게는 컬렉터 기질은 부족한 것 같다.
그래서 다른 물건들도 잘 버린다.
그렇지만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천성적인 컬렉터라는 말에는 동의한다.
어린 시절 우표 수집부터 시작해 끊임없이 뭔가를 모으고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속성이 오늘날 문화를 만든 밑걸음이 됐을 것이다.
미술 작품의 경우 워낙 고가이기 때문에 말 그대로 세계 억만장자들의 새로운 투자 놀이 같아서 도저히 따라할 엄두가 안 나지만, 100만원 미만의 소품에서 시작해 점점 안목을 키우고 여유가 생기면 조금씩 투자액을 늘려 보라는 조언을 따르는 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다.
패션도 마찬가지지만 일단 돈을 좀 써 봐야 (그리고 몇 번의 실패를 거쳐야) 자기만의 감각이 생기는 법이니까.
나만의 컬렉션을 갖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테마를 정하라는 것이다.
무조건 감각적으로 사는 것보다는 (사실 너무 비싸서 그럴 수도 없는 노릇이지만) 아이에 관련된 그림만 모으겠다든지, 도자기만 수집하겠다든지 이런 주제를 정하면 나름대로 작품 보는 안목도 생기고 흥미도 배가된다고 한다.
알맞은 비유인지 모르겠으나 낙숫물에 구멍 뚫어진다는 속담이 생각난다. 

큰 돈을 들여 사려면 일단 작품을 보는 안목이 있어야 하는 법이니 갤러리나 아트 페어 같은 곳에 자주 참석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미술관은 워낙 규모가 크기 때문에 한 번에 다 볼 수도 없으나 작은 갤러리들은 한 시간이면 휙 돌아 볼 수 있으니 나들이 겸해서 구경하는 것도 재밌을 것 같다.
돈 받는 것도 아니니 더더욱 말이다.
다만 저자의 말처럼 괜한 심리적 장벽 때문에 선뜻 들어서기가 어렵다는 게 문제일 뿐이다.
아트 페어는 전혀 관심이 없는 분야인데 다양한 작품들을 한 자리에서 구경할 수 있다는 점도 무척 매력적으로 들린다.
사실 나도 그림에 전혀 관심이 없었는데 대학교 때 유럽 배낭 여행을 가서 미술관을 관람하다가 가슴이 먹먹해질 정도로 감동적인 명화등를 접하면서 관심을 갖게 됐다.
잘 모르기 때문에 재미없다고 생각하는 것일 수도 있으니 일단 기회가 되면 갤러리나 아트 페어 등을 자주 가 봐야겠다.
아직은 외국에서 오는 대형 전시회 밖에는 못 가는데 한국 작가들의 작품을 접해 보는 것도 새로운 시도가 될 것 같다. 

책의 대부분은 매번 갈아치워지는 엄청난 경매 기록 경신에 맞춰져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 살다 보니 예술의 가치를 논하는 것보다는 (사실 동시대 작가들의 경우 아직 평가가 다 끝난 것도 아니니 섣불리 할 수도 없을 것이고) 그 작품이 얼마에 팔렸냐가 가장 궁금할 것이다.
지금까지 최고의 경매액수는 자코메티의 조각상 <걷는 남자 1>인데 피카소의 <파이프를 든 소년>을 누르고 무려 1,430억원에 팔렸다고 한다.
워낙 엄청난 금액이라 쉽게 감이 잘 안 온다.
1억원이 넘는 외제차를 타는 사람들을 보고 집 한 채 값의 자동차를 타고 다니면 뭐가 좀 다른가? 이런 반발심이 생기곤 하는데 실제 생활에서는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는 단지 감상용 미술 작품 하나에 천 억원이 넘는 돈을 쓰다니, 부자들의 생활 방식은 참으로 이해할 수가 없다는 생각이 우선 든다.
그러나 워낙에 돈이 많은 사람들이라면, 또 그 돈이 한 푼 두 푼 고생해서 모은 돈이 아니라 (그렇게 소박한 방식으로는 억만장자가 될 수도 없을 것이다) 외환시장의 환투기나 주식 등을 이용해 갑자기 돈벼락을 맞은 거라면 물질적인 안락함과 쾌락으로는 더 이상 돈을 쓸 곳이 없으니 다음 단계로 정신적 만족감을 위해 미술품을 수집하고 싶기도 할 것 같다.
더군다나 경매 기록을 경신하면 전 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게 되고 그만큼 돈이 많다는 것을 만천하에 알리게 되는 셈이니 과시욕을 만족시키는 데도 그만이다.
제일 중요한 것은 단지 집에 모셔다 놓고 감상만 하는 게 아니라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다시 수 십배의 수익을 낼 수도 있다고 하니 투자 품목으로서도 얼마나 좋은가.
그래서 미술품 투자 시장은 해마다 확대되고 있다고 한다.
금융 경제로 벼락부자가 되는 시스템이 계속될수록 경매 시장의 최고가액 경신은 역시 계속될 것이다.
미술 관련 에세이를 읽으면서 신기하게도 미술과 전혀 관련이 없어 보니는 금융권 출신 작가들이 많다 생각했는데 이제 보니 투자로서의 미술품 수집에 이보다 적합한 사람들은 없는 것 같다. 
또 작품을 살 만큼 여유가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도 부유층의 그림 수집은 충분히 이해가 간다. 

앞서 읽은 K 옥션 사장의 에세이와 겹치는 부분이 많아 생소하지 않고 쉽게 읽을 수 있었다.
한 주제를 가지고 여러 책을 읽는 것은, 같은 책을 반복하는 것보다 더 재밌고 유익할 때가 많다.
작품을 직접 구입할 날은 아마도 조만간은 오지 않을 듯 싶으나 일반인의 그림 수집에 관한 에세이는 꽤 흥미로워 다른 경매 관련 책들도 읽어 볼 생각이다.
모처럼 집에서 뒹굴거리며 한 권의 책을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