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락을 꿈꾸다 - 불교회화 보림한국미술관 14
김정희 지음 / 보림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책의 판형이 커서 그림을 시원시원하게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내용은 이 시리즈가 그렇듯, 간략한 편이다.
한 10여편 전후의 그림이 실린 것 같고 자세한 설명 대신 개략적인 감상을 위주로 설명한다.
대신 시원하게 전체 회화를 볼 수 있어서 좋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처음으로 영산회상도를 본 후부터 불교 회화에 관심이 생겼다.
일단 우리나라에 이렇게 큰 걸개 그림이 있다는 사실이 놀랍고 마치 르네상스 시대의 종교화를 보는 것처럼 수많은 도상과 인물들을 아우르는 상징적인 그림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불교를 제외한다면 한국의 전통문화를 논할 수 없다는 말이 실감나는 순간이었다.
아쉬운 점은 너무 전형화되어 개성을 찾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김홍도가 참여했다는 용주사 후불탱화의 경우 입체감도 있고 같은 도상을 이용했으면서도 개성적인 화풍이 돋보이는 반면 그 외 다른 불화들은 너무 전형적인 틀에 갇혔다는 느낌이 든다.
그렇지만 어쨌든 수월관음도라든가 시왕도, 영산회상도,  관경변상도 등은 그 상징성 만으로도 우리 회화사에 큰 의의를 갖는다고 생각한다.
기독교의 도상을 이해하듯 이제 불화도 어느 정도 감이 잡힌다.
제일 인상적인 그림은 역시 수월관음도였다.
물 위에 떠 있는 온화한 관음보살의 모습이 신비롭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풍긴다.
조선시대에 철저하게 억압된 불교는, 문화적인 면에서 보자면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