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과 성당 세계문화유산 1번지
김희욱 지음 / 동연출판사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과 내용이 매칭이 잘 안 된다.

좀 더 임팩트 있는 제목이었으면 좋았을 뻔 했다.

기독교와 불교라는 두 종교를 중심으로 한 동서양의 종교적 유산, 즉 사원과 성당을 비교하는 방식이 흥미롭다.

500 페이지가 넘는 책이라 약간 긴장했는데 도판도 많고 비교적 잘 읽힌다.

형이상학적인 관념들, 이를테면 사찰을 구성하는 여러 불교의 원리와 상징성에 대해서는 다 이해하지 못했고 지루해서 건너 뛰었다.

어려서 기독교인이었기 때문에 기독교적 교리는 익숙하지만 불교는 그야말로 수박 겉핥기 같은, 종교라기 보다는 문화적 시각으로 밖에는 보지 못해서인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절의 구조에 이렇게 많은 교리와 상징이 숨어 있는지 미처 몰랐다.

불교인으로서 예불을 목적으로 절에 가면 일반인과는 매우 다른 느낌을 갖겠구나 싶다.

그러면서도 너무나 현학적인 분석들을 읽으면 정말로 당시 창건자들이 이렇게 복잡한 상징성을 부여하면서 절을 지었을까 의구심도 든다.

마치 현대미술 작품들에 온갖 미학적 의미 부여를 하는데도 정작 관람자 입장에서는 미학적인 감동으 크게 느껴지지 않고 평론가의 해설이 없으면 감상조차 불가능한 그런 경우처럼 말이다.

평소에 잘 몰랐던 동남아시아 불교 문화에 대해 알게 된 점은 소득이다.

앙코르 와트와 베트남에 가 봤는데 미얀마나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등은 또다른 분위기 같다.

책에 소개된 보로부두르와 루오프라방 등에는 꼭 한 번 가 보고 싶다.

동남아시아는 역사도 그렇고 문화 유산에 대해서도 생소한데, 휴양지인 푸켓에 갔다가 거기 사원에 들어가 보고 우리의 불교와 전혀 다른 느낌을 받아 흥미로웠던 기억이 난다.

도판이 너무 작아 감상하기 어려운 수준이라 아쉽다.

책의 분량이 벌써 500 페이지가 넘어 큰 도판을 싣기도 어려웠을 것 같기는 하다.

그러고 보면 유홍준씨의 답사기 시리즈는 도판과 본문 글이 잘 어울어진 좋은 책 같다.

일본에 대해서도 큰 관심이 없다가 유홍준씨의 일본 답사기 네 권을 읽으면서 역사와 문화 유산에 대해 흥미가 생겼고 교토에 다녀온 후 지대한 관심을 갖게 됐다.

그러면서도 항상 여기가 거긴가 헷갈렸는데 이 책에 나온 일본 불교 문화유산을 읽으면서 감이 좀 잡히는 느낌이다.

역시 같은 주제의 다양한 책들을 보면서 개념이 잡혀가는 것 같다.

저자의 의견에 동의할 수 없었던 점은, 식민지 고고학에 대한 비판이었다.

정치와 문화 혹은 학문은 분리되어야 하지 않을까?

서구 제국주의자들이 아시아를 침략해 정체성을 짖밟고 왜곡시키려 한 점은 그대로 비판해야겠지만, 학자들이 동남아시아사를 연구하고 널리 알린 점은 다른 관점에서 평가해야지 않을까?

식민지 고고학이라는 단어로 학문적 노력을 평가절하 할 수 있을까?

인류의 보편성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누가 연구를 하든 세계 각 지역의 다양한 인류의 문화사를 연구하는 것은 전부 다 의미있는 일이 아닌가?

식민지 지배 국가들의 원조와 배상만 요구할 것이 아니라, 자국의 역사와 문화를 더 널리 세계적으로 알리고 학문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 스스로 노력하는 게 더 중요하지 않을까?

그리고 문화와 역사는 자국인의 자부심의 원천이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과학처럼 국경이나 민족을 초월한 학문의 영역이라 생각한다. 

우리 모두는 그리스인이다는 문구가 생각나는 지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