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석학인문강좌 63
홍윤표 지음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석학 인문 강좌> 시리즈는 무척 재밌게 읽고 있는 책인데 이번 편은 기대에 다소 못 미쳐 아쉽다.

사실 오래 전부터 읽어야지 숙제처럼 미뤄뒀던 책이었다.

한글의 창제 배경이나 언어적 배경 같은 주변 이야기가 더 궁금했는데, 주로 책의 내용은 한글이라는 글자 자체에 맞춰져 있어 예상했던 방향과는 다소 달라서 더 지루하게 느껴졌던 것 같다.

누가 언제 만들었는지 기원이 확실한 글자는 한글 뿐이 아닌가 했더니, 과문한 탓이었다.

동아시아 여러 민족들도 자신들의 언어를 표현하기 위한 글자를 임금이 직접 주도해 만들었으나 전부 사라지고 말았다.

오히려 언제 만들어졌는지 기원을 알 수 없는 오래 된 글자, 이를테면 알파벳이나 한자가 생명력을 갖고 계속 쓰이고 있다는 사실이 신기하다.

한글이 오늘날에도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 신기한 것이고, 아마도 한국어를 표현하는데 매우 적합한 편리하고 과학적인 문자일 뿐더러, 한민족이 한 국가로서 오랜 시간 동안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었던 점이 크다고 한다.

다른 책에서 보기로는, 세종대왕이 흔히 알려진 것처럼 애민정신으로 한글을 만든 것이 아니라 중국과의 사대 외교를 위해 보다 정확한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한글을 만들었다고 해서 놀랐던 기억이 난다.

이 책에서는 당시 발간된 용비어천가에 한자음 표기가 없었다는 점 등을 근거로 이 주장을 반박한다.

궁체는 식자층을 위한 서체라고 한다.

붓으로 쓰게 되면 펜으로 쓸 때처럼 직선이나 원을 정확히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곡선으로 흘려쓰기를 한다는 것이다.

서민층을 상대로 한 부적이나 주술 같은 것을 쓸 때는 헷갈리지 않게 반듯한 민체로 썼다고 한다.

식자층에서 한글을 천시하긴 했지만 이미 15세기부터 남부 지방까지 널리 한글이 퍼져 사용됐고 오늘날에도 창제 당시와 비추어 큰 변화가 없는 것을 보면 한글의 과학성이 입증된다 할 수 있다고 한다.

글자가 만들기만 한다고 다 생명력이 있는 것이 아니고 소멸되는 문자가 대부분인 걸 보면 확실히 한국어에 한글은 매우 알맞은 훌륭한 문자임이 틀림없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