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벨 - 20개의 언어로 떠나는 세계 문명기행
가스통 도렌 지음, 김승경 옮김 / 미래의창 / 2021년 6월
평점 :
품절


언어 쪽은 내가 어려워 하는 부분이라 약간 긴장했는데 생각보다는 재밌게 읽었다.

옮겨 적는데 시간이 꽤 걸리지만 다시 한 번 음미해 볼 수 있고 베껴 쓰다 보면 좀 더 정확히 이해되는 것 같아 좋긴 한데 정말로 힘들다.

왜 수도원에서 수사들에게 책을 베껴 쓰는 일을 시켰는지 충분히 이해가 갈 정도다.

나는 손으로 쓰는 것도 아니고 자판으로 옮기는데도 손가락이 너무 아프다.

인상적인 문장 한 부분만 표시를 해 두고 옮겨 적는데 적다 보면 맥락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 앞뒤 문장도 계속 옮기다 보니 시간이 한도 없이 늘어나게 되는 게 문제다.

필사는 충분히 가치가 있으면서도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 책도 꽤 많은 부분을 옮겨 적었고 언어와 문자에 대해 기본적인 이해를 할 수 있는 좋은 책이다.


바벨이라는 제목처럼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언어 20가지에 대해 분석한 책이다.

한국어도 19위에 랭크됐다.

그러고 보면 우리나라가 생각보다 큰 나라인 모양이다.

나는 성격이 급해 책도 매우 빨리 읽는지라 영어책 같은 걸 못 본다.

빨리 읽고 싶은데 독해력이 부족하니 답답해서 포기해 버리는 식이다.

그래서 한글의 발명이 너무나 대단하게 생각되고 세종대왕에게 정말로 무한히 감사하다.

그런데 이 책을 보면 문자란 마치 언어와 같아서 필요에 의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는 듯하다.

아주 독창적이고 천재적인 발명이라기 보다는 말을 글로 남기기 위한 다양한 수단 중 하나라는 생각이 든다.

한글만 독창적인 발명품이라 생각했는데 각 민족마다 자기들이 쓰는 언어를 글로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문자들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인도 같은 경우 워낙 언어가 다양하기 때문에 그 언어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문자도 매우 많다.

아랍 문자 같은 경우 자음으로만 되어 있는 게 이해가 안 되고 후진적인 거 아닌가 생각했었는데 놀랍게도 모음이 별로 없는 자음 위주 언어이기 때문에 굳이 표기할 필요가 없다고 한다.

모든 언어가 자음과 모음이 똑같이 필요한 게 아닌 모양이다.

서양 언어의 경우도 알파벳이라는 도구를 이용해 자신들의 언어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으니 문자가 자동차 같은 발명품이라기 보다는 일종의 도구라는 생각이 든다.

어쨌든 한국어에 가장 알맞는 한글이라는 익히기 쉬운 표현도구가 있다는 점은 너무나 감사한 일이다.

중국어를 정확히 발음하기 위한 일종의 발음기호로 만들었다는 말도 충분히 이해가 될 정도로 다양한 소리가를 적을 수 있다는 게 큰 장점 같다.


<오류>

143p

가장 중대한 사건은 17세기 아랍인들이 페르시아로 들여온 이슬람교의 발흥이다.

-> 17세기가 아니라 7세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