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를 통해 본 문화 이야기
김동섭 지음 / 신아사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1년도에 발간된 책이라 그런지 너무 오래된 느낌이라 읽을까 말까 잠시 망설였지만 역시 어떤 책이든 읽고 나면 보람이 있다.

언어로 살펴보는 각국이 문화 이야기인가 생각했는데 언어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내용이 많아 전부 이해하지는 못했다.


기억에 남는 것들 몇 가지

1) 한국어는 색채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어려서 봤던 책에서는 영어의 색 표현이 단조로운 반면 한국어는 아주 다양하다고 했었는데 정반대 이야기가 흥미롭다.

오히려 한국어는 푸르스름하다 이런 식의 모호한 표현이 많은 반면 영어는 색 자체를 sky blue, marine blue 이런 식으로 정확히 지칭한다고 한다.

그러고 보니 옛 그림들이 하늘을 파란색으로 표시하지 않은 이유가 파란색 안료가 없어서 파랗게 인식하지 않았다는 글을 읽은 기억이 난다.

전통적으로 한국에서 통용된 색깔은 검정, 흰색,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이 다섯 가지이기 때문에 푸른 계통을 전부 파랗다고 인식했다는 것이다.

초록과 파란색이 정확히 구분되지 않는 셈이다.

화려한 색체를 자랑한 르네상스 시대 그림들을 생각해 보면 색채 표현의 다양성이 이해가 된다.

반대로 한국어는 친족 관계를 표현하는 어휘들이 매우 복잡하다.

영어에서 단순히 사촌이라 표현하는 반면 우리는 내외, 촌수까지 정확히 구분하고 있다.

이런 어휘들을 통해 사회 구조를 살펴 볼 수 있는 듯하다.

다른 예시로 미국인 학자가 원주민 부족에게 햄릿의 줄거리를 설명해 줬는데 이들은 어머니와 결혼한 작은 아버지를 증오한다는 갈등 관계를 이해하지 못했다고 한다.

형사취수혼을 당연하게 생각하므로 처음부터 이것은 문제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언어가 사고를 제한한다는 말이 맞는 것 같기도 하다.

2) 한국어는 우랄-알타이어계라 할 수 있는가?

저자가 정확히 구분하지 않았지만 전에 읽은 책에서도 그렇고 여기서도 의문을 표한다.

어쩌면 한국인들은 오래 전에 한반도에 정착해 단일 민족으로 지내 왔기 때문에 유럽의 언어들처럼 서로 섞이지 않고 독자적으로 발전해 온 게 아닐까 생각해 본다.

고립어인 중국어와도 전혀 다르다는 게 흥미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