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돌베개 석학인문강좌 12
김호동 지음 / 돌베개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호동 교수의 책은 읽을 때마다 느끼는 바지만 정말 글을 잘 쓰시고 몽골을 비롯한 중앙아시아사 이해에 큰 도움을 준다.

소설책도 아니고 역사책인데도 이렇게 재밌을 수가 있나, 읽을 때마다 감탄한다.

좋은 책은 재밌는 이야기책이 아니라 해도 독자에게 즐거움과 큰 감동을 줄 수 있는 것 같다.

240 페이지 정도의 짧은 분량인데도 몽골 제국이 세계사에 끼친 영향에 대해 핵심만 짚어서 아주 쉽게 설명해 주고 있다.

전에는 한국에서 쓰여진 역사책은 그저 연대기 나열에 불과하고, 사회 체제와 구조를 분석하는 깊이가 부족하다고 생각했었는데, 좋은 책을 접하지 못해서 생긴 편견이었던 모양이다.


중앙아시아의 유목민이라고 하면 제대로 된 나라를 세우지 못하고 부족 단위로 떠돌아 다니다가, 흉노나 몽골처럼 일시적으로 군사력이 강해질 때 흥기해서 뻗어나가다가 곧 농경국가에게 정복당하고 사라져 버리는 이미지를 갖고 있었다.

고대의 흉노가 한나라를 압박할 정도로 큰 나라를 이루었지만 결국은 초원을 떠돌다 소멸된 것처럼 유목민은 정주민과 달리 축적된 문화나 국가를 이루지 못한다고 생각했었다.

이 책은 유목민에 대한 이런 편견을 바로잡아 주고 있다.

농경과 유목은 인류 생산양식의 양대 축으로, 농경민이 곡식을 생산하듯 유목민은 고기를 통해 삶을 영위해 갔다.

얼마 전에 읽은 알타이 고분에 관한 책에서도 고기만 먹었을 것 같은 이미지와는 달리 발굴된 부장품을 보면 실제로는 곡식이 주식이었고 변경지대에서 농사를 짓기도 했다고 한다.

그들도 여러 사치품과 일상용품, 곡식 등이 필요했기 때문에 정주국가와의 교역을 통해 수요를 충족시켰다.

중국이 자신들의 권위를 드높이기 위해 조공이라는 형식을 통해 무역을 했던 반면, 유목국가들은 경제적 목적으로 교역을 원했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세를 과시하고 좀더 유리한 조건을 만들기 위해 무력을 사용하기도 했다고 한다.

교역의 목적이 전혀 다른 셈이다.

그러고 보니 일본인 학자가 쓴 영락제 평전에서도, 정화의 원정이 서양인의 대항해처럼 경제적 동기가 아니라 순전히 조공 국가를 넓혀 천명을 확인하려는 목적이었다고 했다.

그러므로 정화의 원정은 돈이 매우 많이 드는 비경제적인 활동이었던지라 영락제 사후 중지되고 만다.

조공 무역이 중국에게는 경제적으로 큰 이득이 없고 오히려 권위 과시를 위해 많은 돈이 들어 조선 사신들의 조공도 횟수 제한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을 정도였다.

중국은 너무나 큰 나라였고 당시로서는 경제력이 최상위였기 때문에 타국과의 교역을 통해 특별히 얻을 게 없었으므로 유럽이나 유목민들처럼 단순히 경제적 목적만으로는 굳이 교역을 할 필요가 없었던 셈이다.

역시 필요가 발명을 만드는 것인가?

유럽이 배를 타고 바다로 뻗어 나간 반면, 유목민은 내륙에서 실크로드로 대표되는 교역로를 확대하였으나 청나라와 러시아라는 거대 제국이 생기면서 결국은 소멸되고 만다.

반대로 전통적인 중국 왕조들은 바다보다는 내륙의 방어와 확장에 집중하여 해외무역을 포기하는 바람에 결론적으로 유럽에 밀리게 된다.

중국의 항해 기술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목표가 달랐기 때문인데 결과적으로는 서양 위주의 세계화를 맞게 됐다는 것이다.

저자는 서양이 세계화의 첫 발을 내딛도록 자극한 것이 바로 몽골이라고 지적하는데 이 부분은 동의하기가 좀 어려웠다.

몽골이 세계제국을 이루면서 서양과 중동, 중국 등을 잇는 거대한 교역망이 형성되고 세계사적인 관점이 확립되어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이나 세계지도 등이 작성되어 비로소 서양이 대항해를 시작할 수 있었다고 하지만 직접적인 인과관계로 보기에는 너무나 많은 요인들이 있다고 생각된다.

아마도 저자는 몽골 제국의 입장에서 보다 보니 그 영향력을 크게 평가하는 느낌이다.

현재의 중국이 결국은 청조의 영토를 그대로 물려받은 것이고 또 한족만의 국가아 아니라 여러 민족들의 화합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단순히 전통 중국이 유목민들을 일방적으로 흡수했다고만 볼 수 없다는 관점이 독특하다.

침투왕조나 정복왕조라는 표현도 그런 생각의 발로일 것이다.

그동안은 너무 중국적인 관점에서, 한족의 관점에서만 역사를 해석한 것이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든다.

저자의 말마따나 특히 몽골사는 너무나 많은 나라들의 언어로 쓰여있기 때문에 학자들 간에도 정확한 해석이 어려울 것 같고, 한국의 경우는 더더욱 중국 입장에서만 유목민들을 평가하게 되는 한계가 있는 것 같다.


짧은 분량인데도 유목민의 역사와 세계사적 의의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아주 좋은 책이고 무엇보다 물흐르듯 자연스러운 서술이 가독성을 높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