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성의 보통 사람들 - 모두의 직장이자 생활 터전이었던 자금성의 낮과 밤
왕이차오 지음, 유소영 옮김 / 사계절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마음에 들어 고른 책이다.

내용도 좋고 번역도 무난한데 편집을 왜 저렇게 했나 모르겠다.

꼭 만화처럼 만들어 놔서 책의 수준과 어울리지 않아 아쉬운 부분이다.

중국 궁녀와 환관들에 대한 전체적인 개론서인줄 알았는데 에피소드 위주라 아쉽긴 하다.

우리나라로 치면 실록에 등장하는 궁녀들의 이야기 정도?

역사학자의 책이라 가볍지 않아서 좋다.

보통 중국의 환관은 황제 주변에서 권력을 농단한 사람으로 알고 있는데 청나라 때는 꽤나 엄격하게 단속을 해서 오히려 거세된 하인으로서 불운한 삶을 살았다고 한다.

조선의 내시와 비슷한 위상이었던 것 같다.

서태후가 집권했을 당시 총애하던 환관인 이연영이 말기 시대에 보인 특별한 케이스였던 모양이다.

<서태후와 궁녀들>이라는 책은 서태후를 모신 궁녀가 구술했는데, 명나라나 조선처럼 한 번 궁에 들어오면 평생 수절하는 게 아니라 일정 기간 동안 궁에서 일하고 20대가 되면 혼인을 해서 밖으로 나갔다고 한다.

환관을 거세하기는 마찬가지였지만 적어도 궁녀제도만 봐서는 만주족이 훨씬 인간적이었던 것 같다.

첫 장에서 영락제가 자금성을 건설하기 위해 베트남의 어린 소년들을 북경으로 데려와 거세시키고 태감, 즉 환관으로 만든 이야기가 나온다.

저자는 중국인이라 그런지 마치 이 교지태감들을 대단한 특권인양 묘사하는데 따지고 보면 멀쩡한 외국 소년들을 거세시켜 궁에서 평생을 보내게 한 매우 잔인한 처사가 아닐 수 없다.

조선에도 공녀와 환관들을 요구했다는 기록이 있다.

공녀 제도도 참 희안하다.

말도 안 통하고 문화도 다른데 왜 꼭 조선에서 여자를 뽑아 갔을까?

조공국이라는 일종의 명분 때문에 위세를 보여주고 싶어서였을까?

그런 면에서 청나라가 훨씬 인간적이다.

입관 전에는 전쟁 중에 많은 포로들을 잡아가기도 했지만 정식으로 국교가 맺어진 후에는 명나라처럼 공녀를 요구하지는 않았으니 말이다.

일본 학자가 쓴 <영락제>라는 책에서 그가 고려 공녀의 아들이라는 주장을 읽었던 기억이 난다.

이 책에서는 사실무근이라고 분명히 밝힌다.

만약 영락제의 어머니가 고려 공녀였다면 원 순제의 부인 기황후처럼 실록에 대서특필 되지 않았겠냐고 되묻는다.

일리있는 지적이다.

의지할 곳 없는 태감들이 도박에 빠지고 빚을 갚기 위해 황궁의 물건을 훔쳐 사형당하는 에피소드들이 안타깝다.

좀더 바람직한 경우로는 종교에 귀의하기도 했다.

천리교 같은 사교에 빠지기도 하면서 가경제 때는 이들이 외부와 내통해 자금성의 문을 열어 준 사건까지 벌어졌다.

지금 생각하면 사교가 어리석어 보이지만 당시 하층민들로서는 개인이 감당하기 힘든 운명의 질곡을 상부상조하면서 서로 돕고 이겨나가는 의지처였다고 한다.

또 이들 종교 지도자는 나름 지방의 엘리트들로 반드시 정부에 대적하려고 했던 것이 아니고 나름 민중들의 삶을 어루만져 주는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 인상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