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와 그리스도교 - 그리스도교는 어떻게 로마를 정복했는가? His+STORY 그리스도교의 역사 1
김덕수 지음 / 홍성사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 디자인이 참 예쁘고 보기 편하게 편집되었다.

같이 실린 명화들은 흑백이고 너무 작아 차라리 빼는 게 나을 뻔했다.

기독교가 어떻게 로마의 국교가 됐느냐에 대한 고찰이기도 하지만 역으로 기독교의 로마화이기도 한다.

다신교 전통이 강했던 로마가 유일신 사상이 기독교로 바뀌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비성경적인 요소들, 이를테면 성인숭배나 마리아 공경 등과 같은 풍속들이 유입되었다.

2천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종교이고 보면 16세기 종교개혁을 통해 정화된 개신교보다는 교리적으로 좀더 빈틈이 많을 수밖에 없을 것 같다.

기독교가 국교화 된 후 로마가 오히려 멸망해 버리자 당시 사람들의 충격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하나님이 축복하는 나라인데 오히려 이민족들에게 망해 버리다니.

저자는 아우구스투스의 <신국론>이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쓰여졌다고 본다.

하나님의 나라인 신국과 지상의 나라 로마는 서로 별개라는 것이다.

마치 유대인들이 제대로 신앙 생활을 하지 않아 나라가 멸망하고 디아스포라에 처해졌으니 더욱 열심히 믿어야 한다는 논리의 변형 같다.

현실과 교리상의 모순을 자체적으로 해결하지 못했다면 오늘날까지 보편적인 종교로 계승되지 못했을 것이다.

게르만족의 침입으로 로마가 멸망했으나 오히려 그들에게 복음을 전파하여 기독교는 유럽 전체를 지배하게 된다.

북방 이민족이 중국을 점령한 후 오히려 한화가 되버린 경우와 비슷할까?

여러 민족을 하나로 통합하는데 기독교가 중요한 정신적 기둥 역할을 잘 수행해 낸 것이다.

로마는 왜 멸망했는가에 대한 에드워드 기번의 대답은, 제국이 커지면서 많은 문제들이 생겼는데 기독교를 국교화 함으로써 상무 정신을 잃어버리고 세속적인 에너지를 종교에 돌려버려 그 모순점들을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오늘날 종교 광신주의자나 중동의 이슬람 국가들을 생각해 보면 일리있는 지적 같기도 하다.

서구가 근대화에 성공한 것도 종교로부터 독립하여 세속적인 방향으로 선회했기 때문일 것이다.

주제는 기독교지만 전체적으로 로마사를 훑어볼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