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의 뒷모습 - 전시회 개최부터 미술품을 둘러싼 사건, 큐레이터의 업무까지
다카하시 아키야 지음, 박유미 옮김 / 재승출판 / 2018년 1월
평점 :
절판


오랜만에 편한 수필집을 읽었다.

300 페이지 정도의 분량인데 편집이 헐거워 내용은 훨씬 적은 듯하다.

도쿄의 이치고칸 미술관의 관장이라고 한다.

이치고칸이 어딘가 찾아봤더니, 일본여행 갔을 때 우연히 미켈란젤로 소묘전 한다고 들어가서 봤던 곳이었다.

그 때는 정말 계획에 없이 호텔 바로 옆에서 전시회 하길래 들어간 거라 무슨 미술관인 줄도 몰랐다.

묘한 인연인 것 같아 책도 흥미롭게 읽었다.

관장 정도 되는 분이면 미학에 대한 자신의 철학을 좀 풀어내면 깊이있는 책이 될텐데 업무적인 부분에만 포커스를 맞춘 것 같아 아쉽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관장이 쓴 <예술이 되는 순간>과 비교되는 밀도다.

그렇지만 사립 미술관이 어떤 일을 하는지, 전시회가 개최되는 과정 등은 흥미롭게 읽었다.

이른바 블록버스터 전시회에 익숙해 외국에서 오는 작품들은 전부 돈을 주고 빌려 오는 걸로만 알았다.

그런데 유럽과 미국에서는 유명 미술관끼리 무상으로 교환해서 전시회를 연다고 한다.

일본이나 한국 같은 동양의 후발 주자들은 교환 전시할 수 있는 수준의 작품들이 없으니 어쩔 수 없이 돈을 주고 빌려 와야 하는데, 대여비는 차치하고 운송비만도 어마어마 하기 때문에 신문사나 방송국 같은 미디어들이 끼어 들고, 수익성을 내기 위해 상업적으로 흐르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러고 보면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대부분의 서양 명작 전시회들 후원사들이 신문사나 방송국이었던 것 같긴 하다.

그래서 학구적인 주제로 전시회 열기가 어렵고 인상파 같은 인기 전시회가 주로 개최된다.

일본은 한국과는 비교가 안 되게 많은 전시회가 열리는 것 같아 여행가서 보고 정말 부러웠다.

관람객 숫자도 엄청난 것 같다.

<전설의 큐레이터, 예술가를 말하다>에서는, 작품의 해외 전시를 보존 문제 때문에 매우 꺼려하고 명작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직접 미술관으로 오는 수고를 해야 한다고 말하지만, 아무리 해외여행이 흔해졌어도 유럽이나 미국까지 미술관 순례를 자주 하기는 현실적으로 너무 어렵다.

그래서 좋은 작품들이 자주 해외전시 하기를 바라고, 직접 명작을 대하면 예술에 대한 관심이 훨씬 증폭되기 때문에 저변 확대에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요즘은 유명 미술관들도 경영 규모가 커져 상업적인 목적의 전시회를 많이 개최하고 순회 전시도 자주 한다고 한다.

특히 미국 같은 경우는 대부분 사립 미술관으로 기부금과 관람 수입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미술관 관장의 경영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자본주의의 나라답게 미술계의 경쟁도 아주 치열한 듯 하다.

맨 마지막에 왜 미술관을 찾는지에 대한 저자의 답변이 나와 있다.

새로운 것을 알고 싶어하는 욕구가 전시회장으로 사람들을 모은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런 미적 호기심을 감상의 욕구로 표현했고 나도 그런 것 같다.

여행을 하거나 전시회장에 가서 작품을 보는 것도 그렇고 또 책을 읽는 것도 새로운 것을 알고 싶은 욕구의 표현인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