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과 피의 나라 러시아 미술 Art Travel 1
이주헌 지음 / 학고재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오래 전에 봤던 책이라 시의성에 떨어지고 촌스러울까 봐 걱정했는데 역시 글을 잘 쓴다.

다른 미술관 안내서들과는 달리 저자가 자기만의 언어로 그림과 미학적 관점에 대해 간략하고 쉽게 설명하고 있어 읽기도 편하고 이해하기도 쉽다.

요즘 범람하는 미술관 안내서들의 문제는 작품에 대한 설명을 다른 책에서 그대로 베끼면서도 출처 표시에 둔감하고 설사 표기한다 해도 자기 언어로 말하지 않아 짜집기라는 느낌을 받을 때가 많다.

보존서고에 있어서 책 상태가 안 좋을까 봐 걱정했는데 너무 깨끗해서 놀랬다.

무엇보다 도판이 "너무 너무" 훌륭하다.

저자가 직접 찍은 듯한 미술관 사진들도 참 좋다.

미술 관련 책을 낸다면 출판사에서 도판에 이 정도의 정성은 쏟아야 할 것 같다.

표지에 등장하는 저 매력적이고 개성있는 여성은 미하일 브루벨의 <백조 공주>이다.

돌이켜 보면 러시아 미술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한가람 미술관에서 열렸던 러시아 거장전 관람 덕분이었다.

아무 지식도 없는 상태에서 무작정 본 전시였는데 굉장한 감동을 받았고 특히 일리야 레핀을 가장 좋아하게 됐다.

이 책에도 레핀의 엄청난 역작들이 많이 소개됐다.

몇 미터에 달하는 대작들도 좋지만 특히 니콜라이 2세의 초상화가 가장 마음을 끈다.

사진으로는 절대 담아낼 수 없을 듯한, 화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황제의 개성이 감상자에게 전달된다.

권위적으로 보이지도 않고 점잖고 매력적인 이 황제가 전제군주정을 파멸로 이끈 마지막 군주였다는 게 아이러니하다.

이번 여름에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갈 예정이라 기대가 된다.

예르미타주 미술관의 서유럽 회화 보다는 러시아 미술관의 작품들이 훨씬 기대된다.

러시아 회화들은 일단 크기가 대작들이라 사람을 압도하는 느낌이 든다.

인물화도 그렇지만 풍경화도 광활한 러시아의 자연, 특히 겨울이 끝나고 산록이 우거진 한여름의 숲 정경이 인상적이다.



<인상깊은 구절>

57p

전쟁과 질병, 가난의 사슬 속에서 신의 가호와 자비에 크게 의존하지 않을 수 없던 중세 민중들에게 그림 속 성모의 사랑은 가장 소망스러운 사랑의 형태가 아닐 수 없었다. 저 자비롭고 동정심 가득한 성모의 눈망울만큼 나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세상에 어디 있을까?

 전승에 따르면 이콘의 기원은 특정 화가에게 있지 않고 예수 그리스도 자신에게 있다고 한다. 이콘은 본질적으로 인간이 아니라 신의 능력에 의지한 그림인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콘의 감동은 그린 이의 재능이 아니라, 무엇보다 신앙에  뿌리를 둔 미술이라 하겠다.

68p

이콘을 지극히 사랑한 러시아 사람들은 이 이콘들을 보면서 '말씀이 육신을 취했다'는 성경 메시지를 추호의 의심도 없이 믿을 수 있었다. 물질을 이용해 신의 주권을 저토록 거룩하고 아름답게 묘사할 수 있다면, 보이지 않는 존재가 우리 육신의 눈에 지각되도록 역사했다는 사실을 의심할 이유는 하나도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저토록 아름다운 신의 영광을 보면서 그 영광의 자리에 함께하고자 하는 열정을 갖기 못한다면, 그는 어리석은 자이거나 아름다움의 진정한 의미를 알지 못하는 자일 수밖에 없었다. 러시아 사람들에게 아름다움은 진리의 장식물이 아니라 진지 그 자체였다. 그러므로 이콘은 인간의 손으로 빚어낸 가장 아름다운 진리의 현현물인 셈이다.

134p

"기진맥진할 때까지 유화 제작에 매달렸다. 솔직히 말하는 법을 거의 잊어먹을 지경이었다. 하지만 작업에는 진전이 있었다."

 레핀의 그림이 보여주는 탁월한 테크닉과 높은 완성도에 압도당한 관객은 '이 사람은 진짜 엄청난 재능을 타고 났구나'라고 생각하게 마련이다. 하지만 그가 남긴 말에서 우리는 그것이 무엇보다 끝없는 노력의 산물임을 알 수 있다. 레핀의 예술은 이렇듯 한 천재 예술가가 자신의 모든 것을 쏟아부어 만든 열정과 노동의 산물이다.

140p

레핀은 이들 노동자의 얼굴에 단순히 고통만 담은 것은 아니다. 자긍심이랄까. 어떤 한계상황에서도 자신의 존엄을 잃지 않으려는 깊은 감동을 준다. 비록 매일매일 육체노동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지만, 그들 또한 단순한 육체가 아니라 영혼이라는 사실을 레핀은 매우 인상적인 필치로 상기시키고 있는 것이다. 레핀이 위대한 인물화가인 것은 이처럼 모델이 된 인간의 영혼과 개성을 생생히 표현해 낼 줄 알았기 때문이다. 이십대 후반의 화가가 이런 표현을 할 수 있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정도다. 인간에 대한 폭넓은 성찰, 삶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이는 나올 수 없는 그림이라 하겠다.

147p

밀레의 주요 관심사 가운데 하나인 노동의 고통과 인간의 존엄을 향한 투쟁의 이미지가 그다지 또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밀레 이전에 이렇게 사실적이고 품위 있는 농촌 그림을 그린 이가 있었던가 하는 데 생각이 미치면 베니치아노프의 붓이 지닌 탁월한 근대성이 새롭게 다가온다.

165p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혁명이 일어난 나라답게 러시아 장르화는 비판적 리얼리즘, 나아가 사회주의 리얼리즘 미술 형태로 전개되어 갔다. 서유럽 장르화가 인상파 회화를 거치면서 부르주아 시민사회의 다양한 풍속도 함께 포괄해 간 것에 대해 러시아에서는 부르주아의 풍속이 혁명 이전의 짧은 기간 동안 스치듯 표현되는 정도에 그치고 만다. 그만큼 러시아 장르화는 갈수록 비장하고 비감한 주제,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이슈에 몰입하는 양상을 보였다. 

172p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여워하지 말라

슬픈 날에는 참고 견디며

즐거운 날은 오고야 말리니


마음은 미래를 바라느니 

현재는 한없이 우울한 것

모든 것은 하염없이 사라지나

지나가버린 것은 그리움이 되리니."

177p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자기 재산과 저작권을 버리려 했으나 부인의 반대로 끝까지 유복한 환경에서 '살아야 했던' 톨스토이와, 빈곤과 유형 등 갖가지 어려움을 겪느라 소설 쓰는 것 자체가 당장의 생존을 위한 수단이 되곤 했던 도스토예프스키는 출신과 삶의 궤적만큼이나 다른 인사오가 분위기를 띨 수밖에 없었다.

187p

톨스토이는 체호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그는 누구와도 비교할 수 없는 훌륭한 화가다. 삶의 화가. 의 창작의 장점은 바로 러시아인뿐 아니라 전 인류가 모두 그의 작품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말은 체호프뿐 아니라 이 시기 위대한 러시아 문인, 예술가 모두에게 해당하는 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224p

밀레비치가 '위대한 예언가'로 불린 데 반해 구성주의의 발전을 주도한 타틀린은 '위대한 장인'으로 불렸다. 예언자 말레비치가 대상의 재현을 거부하며 직관 등 초월적인 세계에 관심을 보였다면, 장인 타틀린은 관념을 중시하는 태도를 비판하여 무엇보다 물질에 대해 강한 집착을 보였다. 그의 구호는 '물질, 부피 그리고 구성'이다. 어떤 주제, 어떤 아이디어 이전에 중요한 것은 물질이며, 그 물질로 무언가를 구성하고 만드는 데 창조의 의미 있다는 것이다.


<오류>

74p

미하일 로마노프는 이반 뇌제의 첫 번째 황후의 조카, 그러니까 황후 오빠의 아들이다.

-> 황후 오빠의 아들이 아니라 손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