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한정의 (양장본)
나카무라 히라쿠 지음, 이다인 옮김 / 허밍북스 / 2025년 4월
평점 :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국내에 처음 번역된 작가다.
제7회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 대상에서 우수상 및 WEB독자상을 수상했다.
이때 수상작은 아직 출간전이다.
제목에 무한정의란 한자가 적혀 있는데 묘하게 ‘不’가 ‘正’에 겹쳐 있다.
의도적인 설정인 듯한데 소설을 읽기 전까지 이것이 의미하는 바를 몰랐다.
한 번 잘못된 선택을 한 사람의 끝없는 붕괴 과정을 굉장히 불안하게 그려낸다.
자신의 잘못을 바로잡을 수 있는 기회가 있었지만 그것을 계속 무시한다.
그것이 사회 정의를 바로잡아야 하는 형사일 때 무한부정의로 변한다.
양심은 사라지고, 상황을 자기 행동 합리화로 바꾸면서 더 깊은 나락으로 떨어진다.
도쿄 이케부쿠로에서 연쇄살인사건이 발생한다.
처음 살해된 인물은 전직 야쿠자였고, 칼에 여려 차례 찔려 죽었다.
시신에는 이마에 깊게 새겨진 ‘X’의 흔적이 있다.
다음 피해자에게도 같은 흔적이 이마에 새겨져 있다.
이 피해자도 반사회집단의 일원이다.
이때부터 사람들은 이 연쇄살인범을 성소자라고 부른다.
반사회집단 사람들만 죽이기 때문에 일부 시민의 호응을 얻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엄연한 사회질서 위반이자 범죄행위다.
특별수사본부가 차려지고 경찰력이 총동원되어 범인을 쫓는다.
강력계 형사 료이치는 누구보다 법을 신뢰했고, 범죄자 잡는 것을 신념으로 생각했다.
그리고 자신이 바라던 본청 수사1과로의 승진을 바라고, 앞두고 있었다.
그에게는 영국 유명 학교 발레 유학을 앞둔 딸과 집에만 있는 아들이 있다.
딸 카나는 아르바이트에서 만난 친구와 함께 클럽을 돌아다니다 새벽에 들어온다.
항상 착하고 모범생으로 살아온 딸이 유학 가기 전 잠시 늦는다고 크게 탓하지 않는다.
연쇄살인범을 쫓는데 전력을 다하는 료이치에게 딸의 전화 한 통이 온다.
“아빠, 내가 사람을 죽인 것 같아.”란 무시무시한 전화다.
현장에 도착한 그는 정당방위란 것을 알지만 딸이 살인자로 불리는 것을 두려워한다.
앞길이 창창한 딸의 미래에 어둠이 깔리는 것을 걱정한 그는 성소자의 범죄로 바꾼다.
이 한 번의 잘못된 선택은 연쇄적 붕괴의 시작이다.
작가는 단순히 료이치의 시각만 그려내지 않는다.
성소자가 죽인 사람들의 과거를 파헤치고, 단서를 하나씩 모은다.
첫 살인과 다음 살인 사이의 차이를 발견하고, 새로운 가능성도 세운다.
이런 와중에 료이치의 행동은 수사에 혼선을 초래했다.
법의학자의 부검 결과는 이마에 새겨진 흔적의 차이가 뚜렷하다.
모방범죄의 가능성이 생기면서 수사본부가 조사해야 할 부분들이 더 늘어났다.
그리고 경찰 내부의 수사 정보가 반사회조직으로 흘러 들어갔다.
조직은 상금을 내걸고 이 성소자를 자신들이 잡으려고 한다.
카나가 죽인 유이치의 부하 한 명이 그날 밤의 정보를 가지고 료이치에게 연락한다.
천만 엔을 주면 이 사실을 경찰에게 알리지 않겠다고.
료이치의 두 번째 잘못된 선택은 이 협박에 대해 성소자에게 살인 의뢰한 것이다.
물론 그 대가로 성소자가 바라는 경찰 내부의 증거를 없애는 것이지만 말이다.
이렇게 료이치와 성소자는 서로의 필요에 의해 협력하는 관계가 된다.
최악의 결합이자 사건 해결의 단서가 경찰 내부에서 사라진다.
다음 피살자가 나오지만 사라진 증거와 둘의 협력이 사건을 미궁으로 몰아넣는다.
여기에 료이치의 친구이자 감찰계를 담당하는 카타세가 끼어들면서 긴장감이 고조된다.
카타세는 이케부쿠로 경찰 내부에서 반사회조직으로 정보를 흘리는 인물이 있다고 말한다.
뛰어난 직관력과 추리력을 가지고 있고, 역시 정의감으로 똘똘 뭉친 경찰이다.
출연 빈도는 높지 않지만 그의 등장은 료이치의 선택이 불러온 나락을 현실화시킨다.
가족을 위한다는 마음으로 연속적인 잘못을 선택한 료이치.
성소자에게 살인을 의뢰한 후 더욱 깊은 나락으로 굴러 떨어진 료이치.
누군가를 죽였다는 사실에 두려움과 공포에 짓눌린 딸 카나.
이런 카나의 불안감을 눈치채고 어떻게든 누나를 괴롭히려는 동생 쇼타.
연속적으로 벌어지는 살인사건은 긴 꼬리만큼 단서가 많아진다.
료이치가 성소자와 협력하면서 이 단서들은 무용지물이 되어버린다.
하지만 쇼타가 저지른 행동이 또 다른 단서가 되면서 상황은 알 수 없게 흘러간다.
후반부에 가면서 범인의 윤곽은 뚜렷해지고, 상황은 더 꼬인다.
이 꼬인 상황은 알 수 없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료이치의 양심은 더욱 흔들린다.
마지막 장면은 독자에 따라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