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님전 시공 청소년 문학 50
박상률 지음 / 시공사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작가의 이름에 혹 한 것도 있지만 제목이 무척 흥미로웠던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 '개'는 다른 단어와 함께 욕으로 쓰이거나 미친개에 물렸다는 식의 부정적인 이미지가 매우 강하기 때문에 뒤에 '님'자는 뭔가 인간 세상에 대한 풍자 내지는 비틀림이나 꼬집음 정도의 내용일거라 짐작했다. 그러니 개에 님자를 붙였겠지 하는 아주 단순하기 짝이 없는 생각말이다.

문장의 서술 방식도 매우 독특했다. 많은 책을 읽었다고 생각했는데 판소리에서나 들었음직한 아니리조로 스토리를 전개해나가는 것은 다른 책에서는 볼 수 없었던 것이다.

제목의 '전'은 그래서 춘향전이나 양반전과 같은 의미였던 것이다.

그렇다고 우화나 풍자소설 또한 아니다. 그냥 개도 인간과 다름없이 보편적인 가치를 가짐과 동시에 개와 사람이 무에그리 다르냐고 묻고 있는 듯하다.

 

진도개 황구는 새끼 노랑이, 누렁이와 함께 노랭이 황씨 할아버지 집에서 귀한 대접을 받으며 산다.

그것은 평소에 할아버지가 말씀하시는 밥값을 제대로 하였기 때문에 가능했다.

황구 모녀는 고양이도 잡지 않는 쥐를 매일 잡아다 댓돌 위에 가지런히 올려두는 일은 예사다. 어느 날 황씨 할아버지가 장에 가셨다가 돌아오는 길에 잠들듯 쓰러진데다 들고 있던 담뱃불이 옷에 옮겨 붙어 위험에 처한 것을 황구과 제 새끼들이 몸에 물을 묻혀 불을 꺼 목숨을 구하게 되자 가족과 다름없이 여긴다.

황구는 새끼들에게 자신이 죽고나서도 배를 곯거나 고생스럽게 살지 않게, 진도개 답게 살기를 바란다. 제대로 밥값하는 개로 키우려는 과정이 재밌다. 아기 똥을 안전하게 핥아먹는 요령을 가르치고 좋은 사냥꾼이 되는 방법 등을 알려주는데 사람들에게 적용해도 될 만하다. 새끼를 배거나 새끼를 거느린 노루의 경우 새끼들이 다 클 때까지 어미를 잡으면 안된다는 설명을 하는 대목인데 산 생명을 사냥할 때는 노루가 아니더라도 조심하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쥐는? 쥐는 백해무익하다는 결론. 그래도 모순이 생긴다. 노루는 해를 끼치지 않지만 숨탄것들의 타고난 운명이기에 자연의 이치를 따라야 한다는 말씀. 노루가 마냥 퍼지는 대로 두어도 문제가 생기는 것이므로 자연의 질서를 잡는다는 의미. 꼭 잡어야 할 때만 잡어야 한다고 황구는 말한다. 우리 인간이 언제 그랬나? 늘 과잉이지.

 

어쨌거나 개에게 상복까지 입혔으니 정말 개가 웃을 일이긴 하나 개 팔자 사람과 별 다르지 않은지 할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나자 새끼들과도 뿔뿔히 흩어지게 된 황구는 자식들 걱정을 달고 사는 사람처럼 새끼들 걱정에 밤잠을 이루지 못한다.

그런 어미의 걱정과는 달리 누렁이도 노랑이도 각자 새로운 삶에 적응하고 짝을 만나 어미가 된다. 이렇듯 개나 사람이나 삶이란 테두리 안에서 보자면 크게 다를 게 없다.

 

사람이나 개나 제 밥값 제대로 하고 살면 될 것을....

 

 

-기껏해야 생긴 겉모습으로 판단하는 진도개 기준이렷다. 속 모습을 판단하는 기준은 없다. 하긴 사람도 속을 알 수 없는데 어떻게 개 속까지 알겠는가. 137쪽

-사람 사이에서나 통하던 '쯩'이 개 사이에서도 통하고, 외제 명품이 좋고, 혈연도 아주 중요하단다! 말이야 바른 말이지. 개 같은 세상! 138쪽

-똥개라..... 세상에 똥개가 어디 있겠는가? 다만 진도의 개인 진도개하고 달라 그렇게 부를 뿐이다. 똥개가 있다면 똥 사람도 있을 것이다.

"순종, 잡종이 어디 있다요. 개믄 다 똑같은 개지!" 136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의집 2012-06-25 19: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박상률, 어디서 많이 들어봤는데..무슨 작품을 썼어요. 검색해볼께요.

큭큭 울 아들도 나중에 지 밥값만 하면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긴하죠. 지들이 다 알아서 살면 될텐데. 주말에 왕짜증 나는 것은 어쩔 수 없더라구요. 기말이 얼마 안 남았으니 공부 좀 하라고 했것만,,,, 하나도 안 하더라구요. 짜증이 솟구쳐 올라요.

희망으로 2012-06-26 08:07   좋아요 0 | URL
전 봄바람과 같은 작품이 가장 먼저 생각나요.
어차피 아이들이 스스로 제 밥벌이 하면서 사회의 구성원으로 잘 적응하면 되는 거죠.
고딩 울 아들도 마찬가지. 속 터져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