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매미 같은 여름 푸른도서관 51
한결 지음 / 푸른책들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온전히 자식을 지지해지고 믿을 수 있다면 좋으련만 많은 부모들은 아니 나는 자식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 그러한 마음을 말로 뱉어내지 않더라도 아이들은 온몸으로 느낀다.

그래서일까? 열일곱이란 나이는 부모에게 적대적이거나 매우 비판적이기 쉬운 때이다. 가정과 학교에서 소통은 커녕 이해조차 받지 못할 뿐 아니라라 입시에 대한 스트레스가 엄청나다. 삶에 대한 명확한 밑그림조차 그리지 못한 아이들은 부모의 꿈이나 기대 또는 강요를 따라가다 어느 순간 폭발하고 만다.

 

폭식증 엄마, 거식증 딸.

섭식장애를 겪는 모녀는 날선 말로 서로에게 상처를 준다. 섭식장애가 그렇듯 마음의 병에서 생기는 것이므로 마음을 치료하지 않으면 해결될 수 없다.

한밤중이면 와구와구 음식을 먹고 딸을 알아챌까 소리를 죽이며 먹은 음식을 게워내는 엄마에 대한 감정이 좋을리 없지만 아는 척을 하지 않는다. 마녀가 해 준 요리들이 싫어 음식을 거부하는 증상은 날로 심해질 뿐.

엄마를 '마녀'라 마음 속으로 부르는 것에서 민희의 마음이 어떠한가가 잘 나타난다. 그리고 헨젤과 그레텔에서처럼 마녀가 설탕으로 만든 집에서 탈출하고 싶어한다. 늘 그렇듯 혹 나도 우리아이들을 그렇게 옥죄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여지없이 뒤따른다.

 

많은 청소년 소설들이 가출, 가족의 갈등 등 부정적인 것에만 초점을 맞추려는 경향이 있어 책을 읽을 때면 가슴이 답답했다. 이 책의 시작도 그랬다.

중간쯤에는 절친 조앤이 수학 교사로부터의 성추행 사건을 담고 있어 암담했다.

잘 알다시피 심심하면 뉴스를 장식하는 대단히 현실적인 사건이다. 학교엔 대자보가 붙고 해당 가해 교사가 학교를 떠날 때까지 싸우겠다고 민희와 남친 춘장이 앞장선다. 학교는 비상회의가 열리고 담임인 덕배 형이 나서자 난 그냥 덮으려 할 줄 알았다. 그렇잖은가, 같은 교사로 동료의 잘못을 공론화시켜 학교에 찍히는 일을 할 만큼 자신이 직접적으로 관련된 일도 아니고 일을 해결할 만큼의 힘이 있는 것은 더더욱 아니므로. 늘 그렇듯 가해자인 선생님은 성추행을 부인하기에 이른다. 가해자나 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는 형편없는 어른들이 세상엔 많다. 분노하는 사람은 많지만 사건을 해결하는 어른들을 많이 봐 왔기에....다행히도 수학 교사는 해당 학생을 찾아가 진심으로 사과를 한다. 조앤은 잘못을 시인하고 고개를 떨구며 사과하는 수학 교사를 용서한다. 염치없지만 공개적인 사과나 학교를 그만두는 것은 못하겠다고 해 썩 개운치는 않았지만 나중에 복도에서 만난 민희에게까지 사과하는 걸 보고 안심했다.

 

"죽은 매미를 묻어 준 적이 있었는데 꼭 우리들 같았어요."

"우리도 꼭 그렇게 돼 버리는 건 아닌지 불안해요. 학교는 너무 구식이고 답답해요. 매미가 애벌레로 사는 땅속이 꼭 학교 같다니까요."

"집은 어떻고요. 우리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어요. 늘 부모님이 이래라 저래라 하고 우리한테 원하는 건 공부 잘하는 것밖에 없어요. 시간도 어찌나 안 가는지 몰라요. 매미도 땅속이 갑갑해 빨리 나무 위로 올라가고 싶지 않겠어요? 하지만 얼마 안 가 죽어 버리잖아요. 그런 거 같아요. 빨리 어른이 되어 독립하고 싶다가도 어른이 되는 것 자체가 불안해요. 우리 엄마 아빠만 봐도 그래요. 어른이 되는 순간 오히려 더 불행히지는 것 같기도 해요."

 

그럼에도 무탈하게 옆에 있어주는 아이들이 난 고맙다.

'어른이 된다는 건 어쩔 수 없이 기구한 사연 한두 개씩을 마련해 가는 여정일지도 모른다. 그래도 그것은'자신'들의 사연이지 '자식'들의 사연은 아니다' 라는 문장이 내 가슴에 와서 깊이 박힌다.

이런저런 이유로 자신의 감정 컨트롤을 못하고 아이들에게 마구 대했던 적이 있었기에 매우 아프게 찔러댔다.

아직 이들에게는 치유의 시간이 많이 필요 할 것이다. 하지만 이들의 애벌레 안에 내재된 희망의 디엔에이나 애벌레의 몸통 안에 날개가 눈부신 반짝임으로 빛날 것이므로 결코 미리 불행을 예단하지 않으리라.

지금은 비록 아플지라도 가장 빛나는 시절의 뜨거운 여름이잖니?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의집 2012-05-08 17: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국의 캘리포니아의 한 학교에서 선생이 아이를 성추행한 사건이 있었는데, 그 때 교육당국이 그 학교 선생들을 다 해고했대요. 대단하죠. 보통 우리는 당사자만 해고해야지 왜 다른 선생까지도 해고를 해야하는지 이해가 안 가잖아요. 근데 다른 교사들도 그 선생의 그런면을 묵인하거나 몰랐다고 해고했다나봐요. 미국에서는 그거 때문에 엄청 시끄웠다던데.

이제 청소년 문학 주제나 소재가 다양해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너무 식상해요.

희망으로 2012-05-09 19:26   좋아요 0 | URL
놀라운데요. 해당 교사의 해고야 당연시 하지만 묵과한 동료교사까지...반발이 심했겠네요. 그정도의 의지가 있어도 성폭력이 뿌리 뽑히지 않는데 우리나라는 넘 느슨하잖아요. 얼마전 전자발찌를 스스로 충전해야 한다는 기사를 보고 울 딸이 분노했잖아요. 그런 놈들은 짤라야 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