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쌉싸름한 첫사랑 청소년문학 보물창고 25
엘렌 위트링거 지음, 김율희 옮김 / 보물창고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누구나 아름다운 사랑을 꿈꾸지만, 사랑이란 게 그렇게 쉽고 아름답기만 할까?

아프지 않으면 사랑이라 할 수 없을 것이고 어떤 사랑이든 성장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것이 첫 사랑일 때는 더욱 그럴 테지만, 그 상대가 레즈비언이라 한다면 꽤 당황스러울 것은 짐작 하고도 남는다.

인정하고 싶지 않을 뿐 아니라 내가 변화시킬 수 있을 거란 생각으로 여러 시도를 해 보지 않을까?

 

이혼한 엄마와 함께 사는 지오는 절대로 자신을 만지지 않는 엄마에 대해 심한 배신감을 느끼고 그로인해 스스로를 견디기 위한 방법으로 스스로를 냉소적인 감정결핍이라 말한다.
1인 잡지를 만드는 지오는 마리솔을 알게 되고 첫 만남에서 레즈비언이란 사실을 알지만 급작스럽고도 빠르게 사랑에 빠진다.

좀체로 우정 외의 감정으로 빠지는 것을 매우 경계하는 마리솔은 친부모에게 버려진 상처와 커밍아웃 후 연인에게 버려진 경험이 있다. 그러한 불신으로 존을 만나서도 항상 거짓 없는 진실을 강조한다.

이 둘은 가족이란 울타리를 넘기 위한해 점프를 시도한다.

그것이 어른들 눈에는 단순하게 잘못된 사람과 사랑에 빠지는 어리석은 짓으로 보일지 모르지만 지오와 마리솔은 서로의 상처를 이해하고 보듬어 가면서 힘든 사랑을 겪으며 자신의 진실된 내면의 모습을 보게 되며 변화한다.

마리솔이 나타나기 전에 내 인생을 돌아보니 텅 비었다. 삭제되었다. 새하얗다. 그 때 난 뭘 했지? 난 누구였지? 이제 난 누가 되어야 하지?...

 

사랑보다 더 힘든 이별을 하고서야 지오는 앞으로 다가올 일에 겁내지 않고 받아들일 마음의 준비가 된다.

성장은 존과 마리솔에게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흔히 성장은 아이만 필요한 것이라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가끔은 어른들이 더 필요 할때도 있다.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다는 생각. 고집과 아집을 버려야만 비로소 어른도 함께 성장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한다.
인간은 그것이 누구든 성장이란 쉼 없는 열차를 달리게 해야 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의집 2012-05-03 14: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존 지오에요? 사춘기 남자애가 레즈비언 소녀와 사랑에 빠진다는 그런 내용~ 첨엔 지오라고 쓰고 나중에 존이라고 써서 헷갈렸어요.
자신을 만지지 않는 엄마에게 심한 배신감~이란 대목에서 딜레마에 빠짐. 난 울 아들 크니깐 안아주기도 뭐 하던데. 어색하고? 희망님은 안 그래요?

희망으로 2012-05-03 22:01   좋아요 0 | URL
1인 잡지에 글을 실을 때의 필명이 지오 반니. 지오가 존이랍이당~
뭐 어디 안아줄 틈이나 줘야 말이죠. 어제 수학여행가면서 인사하길래 안아주고 가라고 했더니 그냥 휙 나가더라구요. 그래서 일부러 엘리베이터 앞에서 슬쩍 안았죠. 그렇게라도 스킨십을 하고 싶은데 남자애들은 절대 허락해주지 않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