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자유다 청소년문학 보물창고 23
팜 뮤뇨스 라이언 지음, 민예령 옮김, 브라이언 셀즈닉 그림 / 보물창고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표지의 말 그림을 보자마자 나는 <블랙 뷰티>가 떠올랐다.

많은 컷의 아니었음에도 찰스 키핑의 역동적이고 힘이느껴졌던 것으로 기억되는 그림과 재미있는 스토리가 꽤 인상적이었나보다.

그런데 동화나 소설에서 말이 소재가 되는 책은 그리 흔하지 않다. 그렇기에 표지만 보고도 무척 내겐 무척 유혹적이었다.^^

 

깊게 뿌리 박힌 유교 때문인지 우리나라만 유독 여성이 차별 받는다는 생각을 할 때가 있다. 하지만 서양에서도 여성의 위상이 암흑 같은 시대가 있었다. 인권과 사상에서 여성은 소외되어도 마땅하단 생각이 저변에 깔려 있었다면 믿을까?

여성의 투표권을 두고 대다수의 남자들은 "집에서 애나 키우고 밥이나 해라!"고 비아냥과 조롱을 비롯하여 관련 전단지를 땅바닥에 내팽개치는 행태를 보더라도 여성이 얼마나 무가치하다는 것을 매우 잘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다.

미국은 1920년에 여성의 투표권을 인정하였지만 백인여성에만 주어진 것이었고 모든 여성에게 투표권이 허용된 것은 1960년대에 이르러서 였다. 영국 역시 비슷한 시기에 여성투표가 인정되었고 프랑스는 이보다 훨씬 뒤인 1946년에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그럼 우리나라는? 우리나라는 1948년 정부수립과 동시에 모든 국민에게 투표권을 부여하였으니 이 쪽으로는 우리가 굉장히 빠르다 할 수 있다. 물론 투표권 만큼 여성의 권익도 따라 상승되지 않아 유감이지만.

 

고아원에서 부엌의 허드렛일과 마구간지기 번 아저씨의 일을 도우며 자란 샬롯은 말을 무척이나 사랑한다. 말을 타고 바람을 느끼는 순간 자유로움을 느끼기도 하고 말에서 위안을 받는다.

승마 경주에서 승리를 하고 공교롭게 샬롯이 가장 좋아했던 말 프리덤까지 죽는다. 여자가 우승한 것이 못마땅한 원장은 그것을 빌미로 마굿간 출입을 금한다. 때마침 친동생처럼 여기던 해이워드마저 입양이 결정되자 샬롯은 고아원을 도망치기로 결심한다. 그러나 여자가 살아가기란 서양이건 동양이건 어디를 막론하고 쉽지 않은 일. 그래서 남장을 하고 해이워드와 약속했던 자신 소유의 농장과 집을 가지기 위해 많은 역경- 한 쪽 눈을 잃는 것에도 개의치 않고 끈기와 강한 의지로 꿈을 이룬다.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의 삶을 개척하며 살다간 여성이야 많겠지만 이 책에서는 훌륭한 마부로서의 샬롯의 모습 뿐 아니라 미국 첫 여성 투표자인 찰리 다키 파크허스트를 재조명했다고 볼 수 있다.

실화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실제 1812년이 아닌 1800년대로 시간만 옮겼을 뿐 가급적 실제에 가깝게 쓰였다는 작가의 편지글에서 샬롯의 척박하고 거친 삶이 더더욱 깊이 마음속으로 들어온다.

 

이제 여자라는 이유로 못 가질 직업도 못할 일도 없다. 다만 스스로가 자신을 여자라는 틀 안에 가두고 편견에 사로잡혀 두려워 하지만 않는다면  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의집 2012-03-07 20: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에게 자유가 주어졌다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 것인지. 사실 대부분의 여성들은 참정권의 역사가 100년도 안 된다는 사실을 모르더라구요. 그러고 보면 인종차별을 외친게 반년의 역사를 가지지 못했네요.

희망으로 2012-03-08 00:10   좋아요 0 | URL
맞아요. 인종차별을 외친게 반년이 안 되었더라구요. 근데 무지 오래된 것 같죠~ 과거를 너무 빨리 잊고 현재에 익숙하기 때문이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