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문학 보물창고 21
패트리샤 맥코믹 지음, 전하림 옮김 / 보물창고 / 2012년 1월
평점 :
절판


가족 중 누군가가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 아프면 모두가 그 한 사람에게 집중되게 마련이다. 그래서 다른 누군가가 힘들거나 외로워 소리 없는 비명을 지르더라도 아무도 알아채지 못한다. 그리고 나는 괜찮다고 나보다 엄마나 아빠가 힘들거라 생각하고 자신을 추스르며 그렇게 나 자신을 가두게 되고 속으로 곪아간다.
그러한 일례로 보통 사춘기 시절 아이들이 너무 고분고분하고 착하게 보여진다면 한 번쯤 아이의 내면을 찬찬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고 심리학에서는 말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커다란 편견의 자루를 뒤집어쓰고, 정신과 치료를 받는다고 하면 이상하다고 아니, 좀 더 솔직히 표현하자면 미쳤다고들 한다.

그러나 주인공으로 나오는 캘리를 이상하고 이해 받지 못 할 대상으로 비춰지지 않는다. 특히나 내게는.
책을 읽는 내내 팽팽한 긴장감과 안쓰러움으로 꼭 살얼음판을 걷는 것처럼 조심스러워 그것이 견디기 싫어 책을 덮어버리고 싶은 마음이 들기도 했다.

캘리의 아픈 상처가 내게 전염되는 듯한 느낌도 없었고 혹은 그와 같은 경험을 한 적도 없는데도 이상스레 온 몸에 소름이 돋고 마음이 쿵쾅거렸다.
단지 그런 아이들을 가끔씩 보기는 하는데 그것이 이렇게 크게 작용하는지...아니면 내가 만나는 아이들의 얼굴들이 자꾸만 떠올라서 인지 책을 읽기가 편치 않았다.

누구나 자신이 짊어지고 있는 짐이 무겁고 힘겨운데 어느날 문득 그 짊이 더 무겁게 느껴지는 날이 있다. 그럴 때 자신도 의도하지 않았고 눈치 채지 못한 사이에 극단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캘리처럼.

캘리는 자신의 힘겨움을 표현하지 못해 말문을 닫아 버리고 스스로의 몸에 상처를 내는, 자해라는 섬찟하고도 극단적인 방법으로 결국 그렇게 자신을 드러내고 만다.
아리러니컬 하게도 캘리는 시파인즈라는 정신병원에서 함께 그룹 치료를 받는 아만다가 자신과 같은 문제를 가져 그 애를 통해 자신을 제대로 보게 되며, 각기 다른 문제를 가지고 있는 아이들을 통해 위로를 받고 서로의 상처를 치유하게 되는 성장 소설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보편적인 아이들의 심리인 '내 탓'으로 여겼던 동생의 천식이 내 잘못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고 아빠와의 극적 화해를 하게 되며, 낫고 싶다는 간절한 소망을 말하면서 캘리는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치료받을 것을 보여주면서 끝을 맺자 비로소 휴~하는 안도의 숨을 쉬며 책을 덮을 수 있어 무엇보다 기뻤다.

그렇지 않았다면 한참을 우울해 했을것 같다. 개인적으로 읽는 동안은 힘들었지만 읽어볼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으며 청소년 소설분야에 참신한 소재의 번역책들이 <메타포>에서 많이 볼 수 있기를 바라게 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의집 2012-01-17 09: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넘 우울한 내용이에요. 무한도전처럼 좀 밝고 웃기는 책이 요즘 더 좋아요.

희망으로 2012-01-26 18:59   좋아요 0 | URL
그렇죠. 그만큼 우리 삶에 웃음이 필요하다는 반증이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