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를 드립니다 - 제8회 윤석중문학상 수상작 미래의 고전 27
이금이 지음 / 푸른책들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화든 청소년 대상의 책이든 그녀의 작품엔 기본적으로 따뜻함과 인간적인 냄새가 짙다.

무엇보다 일상에서 접하는 소소한 것을 놓치지 않고 독자와 함께 공감할 수 있게 만드는 힘이 있다. 따뜻한 소박미와 더불어 계산하지 않은 감동과 탄탄한 스토리를 끌어가는 능력말이다.^^

 

다섯 개의 단편으로 구성된 이 책의 첫번째로 실린 <조폭 모녀>는 얼마전 10살 조카로부터 좋아하는 남자 친구에 대한 얘기가 떠올라 피식 웃음이 났다.

어찌됐든 딸들과는 호된 사춘기를 겪는 와중에도 많은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것 같다. 티격태격 싸우지만 결국은 서로의 마음 속 깊은 곳에 이르기도 하고.

집에서 보는 아이와 밖에서 보는 아이가 다르듯 엄마의 모습도 안과 밖이 확연히 다르다. 학습지 교사를 하는 엄마이기에 민지는 엄마에게 공부를 배우며 머리를 쥐어 박히기도 하고 온갖 구박에 시달려 조폭 엄마라 생각했다. 그래서 자기가 좋아하는 남자 친구 영민이가 엄마에게 공부를 배운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민지는 좋아하는 마음을 접자고 생각했다. 그러나 어디 마음이 종이 접듯 깨끗히 접히냐고.

딸의 꿈을 응원할지라도 겉으로는 전혀 티내지 않는다면 엄마가 설령 다른 사람에게 그렇게 말을 했더라도 믿지 못하는게 당연하다. 오히려 흉을 봤다고 뻥이라 믿는다.

민지와 엄마는 그렇게 모녀지간이란 사실을 밝히지 않은 채 영민이로부터 수줍게 '좋다'는 말을 듣는다.ㅋㅋ 충분히 공감가고 똑같지는 않더라도 비슷한 경험을 한두번쯤 했으리라 생각한다. 울 딸도 친구들이 엄마를 좋게 생각한다는 사실에 분노까지 하지 말이다.^^

 

<건조 주의보>는 자신만 가족 속에서 동떨어진 것 같은 소외감을 느끼는 건우가 꼭 우리 아들 같았다. 혼자 자기만의 상상으로 엄마와 아빠가 누나만 좋아한다고 생각하는 유치함. 다른 가족들은 가볍게 여기지만  정작 본인은 굉장히 심각할 수 있다.

그렇기에 책 속에서도 자신에게 호감을 표현하는 윤서의 마음을 눈치채지 못하고 "넌 마음이 너무 건, 조, 하다구."하는 말 속의 '건조'라는 단어에만 꽂힌다. 아빠는 피부 건조증, 엄마는 구강 건조증, 누나는 안구 건조증. 이제 그 건조증의 대열에 합류하여 가족의 대열에 당당히 낄 수 있게 됐다는 기쁨에 "아싸, 나도 건조증 걸렸다!"를 외치는 윤서. 딱 유아기적 상태에서 머무르고 있는 우리 아들의 모습이 겹쳐진다.

 

두 편의 작품이 매우 유쾌했다면 <사료를 드립니다>는 이보다는 좀더 무겁다.

동화라는 것을 염두에 두긴 했지만 장우가 키우던 장군이를 데려간 성달 씨네 집에서 장군이가 잘 못 됐을까 싶어 불안불안했다. 김성달 씨가 개장수를 했다는 것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사람을 믿지 못하는 불신이 더 크진 않았나 되돌아 보게 했다.

개를 데려가면서 "걱정하지 마, 이젠 아니니까. 우리 애들 친구 삼으려고 데려가는 거야. 잘 키울 테니 나중에 보러 와." 라는 말에도 믿지 못했다. 장우가 성달 씨네 집으로 찾아가 빈 밥그릇을 봤을 때도 내 생각은 나쁘게 흘러가고 있었으니까.

비록 장군이가 장우네가 보내주는 사료를 팔아 생계를 유지해야 할 만큼 어려운 환경이지만 새 주인집의 부모 없는 아이들 곁을 듬직하게 지켜주는 가족으로 있는 것이 결코 나쁘다고만 볼 수 없음을 깨닫는다. 결국 장우는 장군이를 두고 간다. 마음은 아프지만.

'말 못하는 동물이니까 보살펴 줘야 한다는 생각에 장군이에게 주려고만 했지 나누려고 한 적은 없었던 것이다. 장우는 장군이와 두 아이가 서로 나누고 지켜 주고 돌봐 주며 함께 살아가는 가족이 됐음을, 아프지만 인정하지 않으 수 없었다.'

 

역시 기대를 무너뜨리지 않는다. 이래서 늘 이금이 작가의 신간을 기다리게 되는 것 같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12-01-05 20: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저도 눈이 번쩍 하더라고요

희망으로 2012-01-05 22:46   좋아요 0 | URL
그렇죠. 좋아하는 작가의 신간이 뜨면 뭐가 됐든 정말 궁금증이 일어나서 못 참겠더라구요^^

2012-01-05 22: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1-05 22:45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