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이 올라가는 것은 좋다. 그러나 꿈이 무르익는 것은 더 좋다.
-수학 공부를 꾸준히 하는 것은 좋다. 그러나 방 청소를 꾸준히 하는 것도 괜찮다.
-선생님들의 칭찬을 받는 아이가 되는 것은 좋다. 그러나 친구들에게 신뢰를 받는 아이가 되는 것은 더 좋다.
-영어 단어를 많이 외우는 것은 좋다. 그보다 더 좋은 것은 많이 웃는 것이다.
-밤늦게까지 시험공부를 하는 것은 좋다. 그러나 충분히 자고 시험을 보는 것도 괜찮다.
-좋은 직업을 갖는 것은 좋다. 그러나 행복한 직업을 갖는 것도 괜찮다.
-자기주장을 잘 펼치는 것은 좋다. 그러나 잘 들어주는 사람이 되는 것은 더 좋다.
-경쟁에서 밀리지 않는 사람이 되는 것은 좋다. 그러나 경쟁 속에서 상생을 이끌어 내는 사람이 되는 것은 더 좋다.
-학업에 최선을 다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사랑하고 사랑받는 관계를 잃지 않는 것은 더 중요하다.  

(십대 공감에서 발췌)



중학생이 된 아들은 뾰족뾰족 가시를 세운지 3년째. 아니 가시도 아닌 것이 힘들게 한다. 아이들이 세우는 가시는 곧 아이들의 상처라 했다. 그리고 칼 융은 '부모가 느끼는 아이의 못난 점들은 대개 부모가 무의식 속에 꽁꽁 숨겨둔 열등한 성격일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오늘도 내가 미처 발견하지 못하는 내 열등의식이나 무의식을 더듬더듬 찾아본다.
사춘기 아이를 이해하기 위해, 소통하기 위해 열심히 성장소설이니 청소년 소설이니 하는 책을 읽지만 정작 아이와 나의 관계는 제자리도 아니고 점점 더 멀어지고 있어 좌절이다.
그럼에도 손을 놓을 수 없는 관계이므로 아프지만 내가 변하고자 오늘도 내 자신을 보듬어 안는다.
딸 아이의 말처럼, 부모가 끝까지 믿고 기다려 주는 집 아이들은 언젠가는 제자리로 돌아온다는 말을 믿어 본다. 그런 기특한 말을 하지만 실제는 지 동생을 한심해하고 미워한다는-.-
교사들이 부모들이 가르치는 역할의 티처(teacher)가 아닌 헬퍼(helper) 즉 조력자의 역할을 해야 하는데 가르치는 것에만 치중해 아이들에게 약이 되라고 하는 말이 오로지 잔소리로만 들렸던 것은 아닌지...

저자는 '들어가는 이야기'에서 우리 아이들의 놀이에서 사라진 깍두기에 대한 얘기를 한다. 어느 편이든 배척하지 않고 끼워주었던 존재. 그동안 잊고 있었다. 깍두기란 존재에 대해. 경쟁 구도에서 깍두는 존재할 가치를 잃어버리고 대신 왕따니 찌질이니 하는 존재가 들어와 아이들은 자신이 그러한 존재가 되지 않기 위해 타인에게 상처를 준다.
이 얼마나 무섭고 삭막한가. 누군가 "너 깍두기 할래?"하고 말 걸어 준다면 좋을텐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섬사이 2011-05-12 1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울려 뛰어노는 아이들만의 놀이가 사라져가니까 '깍두기'도 함께 잊혀진 것 같아요.
그래서 어릴 땐 여러 아이들과 어울려 뛰어노는 게 중요하다고 하는 거겠지요?
저 위의 인용문들 참 좋네요.
저런 넓은 포용력, 여유, 신뢰... 왜 제 안에선 찾아보기가 힘든 걸까요. ㅠ.ㅠ

희망으로 2011-05-17 11:10   좋아요 0 | URL
깍두기로 놀이에 끼워 함께 놀던 때가 좋은데 놀이도 혼자가 편한 시대가 되어
어울려 노는 것 자체가 어려운 아이들이 안타깝죠.
아둥바둥 조바심치지 않고 여유를 갖고 싶어지는 요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