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넘어지면 얼른 달려가 일으켜주고 싶은 것이 부모 마음일겝니다. 하지만 그보다는 스스로 툭툭 털고 일어나길 기다리는 일이 부모로서도 아이로서도 득이 되는 일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기다릴줄 아는 부모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 책의 핵심이자 제목의 기다리는 엄마에 부합하는 일이겠지요. 그리고 또 하나는 생각하는 아이, 즉 자기주도형이 되어 스스로 생각발전소를 가동시켜 결정할 수 있는 힘을 키워주는 것, 스스로 사고하는 생각하는 아이를 가리키는 말이겠지요. 그러나 말은 쉬워도 내 아이에게 적용하는 일은 늘 어렵고 인내심을 필요로 합니다. 한두번 하다가 그만두는 일이 부지기수며 나와 내 아이에게는 맞지 않는다고 시도조차 하지 않는 일 또한 많지요. 아무리 좋은 최고의 교육방법이라도 해도 그것이 누구에게나 똑같이 적용되지도 않고 똑같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다는 것쯤은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경험했을 것입니다. 그래서 책의 광고에 현혹되지 말아야지, 그래봤자 별거있겠어? 다 아는 그렇고 그런 이야기인걸~ 하고 외면하였을 책들이 다시금 눈을 잡아끄는 것은 아이가 사.춘.기라는 성장통 앞에서 무력해지기 때문입니다. '자기주도형 인재로 이끄는 원동력'이나 '현명한 자녀교육을 위한 부모 교과서', '평범한 아이를 인재로 키우는 보통엄마의 놀라운 지혜'라는 문구 자체에는 크게 흔들리지도 않습니다. 제가 바라는 아이는 똑똑하거나 소위 말하는 영재를 키우기 위함이 아니라 부모와 소통할 수 있는 친밀한 부모와 자식의 관계를 원하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바탕이 되지 않고 단지 성적만 최고면 모든 것을 눈감아 줄 만큼 제가 아량이 넓지도 않거니와 그건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저자 역시 엄마가 해결사가 되어 주기보다는 옆에서 지켜봐주거나 조력자의 역할에 충실했던 자신의 경험을 풀어냈습니다. 학원으로 돌리기 보다는 거실 가득 책을 비치해둔다거나 교실에서나 사용됨직한 커다란 화이트보드를 걸어 두는 식의 방법을 이야기합니다. 지금이야 '거실을 서재로'라는 캠페인으로 많은 가정이 텔레비전을 퇴출시키고 그 자리를 책이 차지하고 있는 것을 자주 봅니다만 실천을 못하고 있는 저로서는 부러울 따름이지요. 그중 커다란 화이트보드를 거실에 두고 상상의 놀이터를 만들어 주었던 저자의 경험을 좀더 일찍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을 하는 아쉬움이 무지 크게 남았더랬습니다. 또 금동대향로를 태몽과 연결 시킨 것은 정말 번득이는 아이디어였습니다. 이렇듯 시간관리나 용돈관리 등 자신이 아이를 키우면서 좋은 방법을 이야기합니다.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기 쉬운 사례중심이라 아이를 키우면서 자신만의 방법을 찾고자 하는 부모에게 도움이 될 것 같지만 역시 초짜가 아닌 부모에겐 특별할 것 없다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을 것입니다. 아이에게 가장 좋은 코칭스태프는 바로 부모라는 말에 공감하는 바이지만 자녀를 키우는 일에는 결코 실패만 있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물론 후회늘 되겠지만 그리고 지름길이 아니라 둘러 가는 일이야 있겠지만 그것을 경험 삼아 다른 방법을 찾게 될 테니까요. 그렇게보면 부모건 아이건 성장은 늘 동반되는 것 같습니다. 성공의 반대말은 실패가 아니라 포기라는 것을 아이도 어른도 함께 배워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