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최근 장아이링이라는 대단한 여자에 대해 알게 되었다. 중국 현대문학의 거장이라고까지는 아니겠지만, 어쨌거나 재평가되고 있는 그녀의 어떤 책이었다. 물론 장 아이링이 그 유명한 <색, 계>의 원작을 쓴 이라는 사실도 이번 기회에 알게 되었다. 

색, 계 라니,,..아직 내가 보지 않은 이 영화에 대해 남자들은 말할 것도 없고 여자들은 여자들대로 찬탄해마지 않았다.


그 해 삐걱대는 관계의 무게에 치여있던 나는, 그 영화에 대한 온 나라- 특히 4,50대 남녀의 경탄과 몰입에 진저리를 치고 있었다.

흥...뭐야? 그토록 대단한 영화란 말이야? ..

헌데 더욱 나의 부아가 치밀었던 것은, 내가 사랑하던 남자가 두 번이나,나 아닌 다른 사람과 그 영화를 보았다는 사실이었다.


왜?

왜?

왜?


나는 지금도, 그 이유를 모른다. 묻지 않았으니, 이유를 말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지만, 

이후 나는 절대 보지 않을 영화로 <색, 계>를 찜했다.

돌이켜보면 그것은 내방식의 복수였다..영화에? 사랑하던 남자에? 나에게?



그런데 에로티시즘, 하면 보지도 않은 <색,계>를 떠올리다니... 나도 참, 알다가도 모를 사람이다.

이 책은 그러니까 내가 지금의 직장이 아닌 첫 직장에 다닐 때인, 1995년인가에 뱔견한 책이었다. 바따이유에 대해 아는 게 없었지만, 그냥 서문을 읽어보고 냅다 사버린 책이다.


그 시절,나는 내가 배운 녀자라는 티를 내고 싶었던 모양이다. 배웠으나 배운 것과 무관한 직장에 다니고 있었으니, 어떻게든 나는 뭔가라도 티를 내어야 했던 것인가? 인간의 상징도 그때 읽었던 책이고....왜 그랬을까? 그 시절, 지금까지 알아온 영화의 대부분도 그때 다 본 듯하다.


나는, 내 인생에 골을 내고 있었던 것일까?아니면 나에게? 그게 그거라고?

모르겠다....지금 이만큼 살았는데도...여전히 나는 내 인생이든 나에게든 골이 나 있는 듯하다.

제목이 낚시 같군...쩝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13-01-18 16: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책은 혹시 제가 사두기만 하고 아직 읽지 않은 [적지지련] 아닌지요.

테레사 2013-01-18 17: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락방님, 맞습니다..읽고 있는 중인데요 저는 장아이링의 이력을 보고, 와우 이여자 대단한 여자인걸!!했거든요.....매력적인 여자인데, 어쩌다 바람둥이 친일파 관료에게 넘어갔는지...원.......이사벨 아처 생각도 나고....
근데 적지지련은 잘 모르겠어요..초반이라 그런지...
 

이런 세계가 싫다.

쌍차얘기를 앞에 앉은 동료와 하다 결론이 이렇게 나 버렸다.

자본은 마음이 없다.

그것은 무자비하며, 피도 눈물도 없다.


자본은 자본을 좇을 뿐, 그것이 언제 인간을 고려한 적이 있었던가.


이런 생각을 하다보면, 이 세계가 잔혹하다는 데 몸서리가 쳐진다.

허나, 오늘 다락방님의 서재에서 읽은 대로, "당신은 누구인가?"

그제 아침이었다. 이불속에 있는데, 옆방에서 아버지와 엄마가 전화하는 소리를 들었다.

세든이가 이번달 월세를 9만원 덜 넣었단다.

혹시 깎아 준 것이냐며 확인하는 내용이었다. 깎아 준 것은 아닌데 지난 달에 이어  또 그렇게 9만원이나 덜 넣었다며, 잠시 한탄하는 목소리가 들려왔다.

나는 잠속에서 생각했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아버지는 학교 선생님으로 35년간 재직하시다가 김대중 정부 때, 교사 정년 단축으로 정년퇴임하셨다(!). 현명한 엄마는 넷이나 되는 자식들에게 의지하지 않기 위해 할 수 있는 유일한 노후 대비 투자였던 부동산에 올인 했다. 그래서 장만한 것이 지금의 집이다. 헌데, 돈이 고만고만하니 결국 후진 동네의 후진 가옥일 수밖에. 아래층은 상가로 세주고 이층에 산다는 정말로, 그 나이 연배의 부모들이 할 수 있는 일반적인 노후를 위한 투자였다.


경기가 좋았을 때는 그런대로 아래 상가도 잘 되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상가는 잘 안나가고 월세도 깎아줘야 했고, 설상가상으로 뉴타운 광풍이 몰아쳤다. 만약 뉴타운이 된다면 우리 부모님 같은 영세가옥주들은 모두 쫓겨날 판이었다. 

세입자들이 넣어주는 월세에 모든  삶이 달려있는 현재의 상황. 자식들은 스스로를 책임지기도 힘든 현실이니.....


인생의 모든 것을 스스로가 책임지는 것,

참으로 당연하고 그럴 듯해 보이는 말이다. 그러나 주어를 "내가'라고 갖다 붙인다면, 아니 더 나아가 '국민 스스로'라고 한다면, 이것을 과연 민주주의 국가라는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무조건 감당해야 하는 절대절명의 진리로 받아들여야 할까. 우리 부모님은 평생 사치와 낭비를 하신 적이 없다. 자식 넷을 그야말로 온 힘을 다해 키워 다 제 몫의 경제활동을 하게 만들었다. 이제 노인들이 되었는데 여전히 내일을 걱정해야 한다면, 이건 도대체 어떤 인생인가?


우리부모의 삶이 이럴진대....홀로 사는 노인들과...더한 상황에 처한 분들은....말해서 무엇할까..


어떻게 살아야 할지 각이 서지 않는다.

어떻게 남은 삶을 단도리해야 하는지, 도무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들은 5년 후를 말한다.

그런데 나는....이 무력감과 절망감에서 빠져나올 수 있을 지 모르겠다....


내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인생에서 겨우 10년간만 민주정부 그나마 상식을 이야기할 수 있는 정부였다니....


그리고 우리 엄마, 아버지...그 분들의 삶이, 인생이..왜 이리 슬프게 느껴질까...나보다 더 긴세월을 힘든 시절로 보내셨던 그 분들에게, 다시 억장이 무너지는 세상을 견디도록 만들었으니...


미안합니다. 아버지,어머니...

죄송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인 에어 2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10
샬럿 브론테 지음, 유종호 옮김 / 민음사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완전 감동!!! 다행스런 결말! 이중결혼에 대한 응징..등등 정말 재미 만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했다.

토요일은 거의 주검처럼 누워 잤다.

그리고 일요일, 이렇게 살아선 안되겠다 싶어, 겨울해가 지기 전에 어딘가 몸을 움직이기로 마음먹었다.


생각해 보니,  엄마와 사우나나 다녀와야겠다고 마음먹었으나 실행에 옮기지 않았던 것, 해서 만회하여야겠다.


엄마는 안철수 지지자였다. 안철수가 사퇴하던 날, 엄마는 울었다. 세상이 싫다며 투표거부를 선언했다.그리고 몇시간(?) 동안 가출했다. 걱정스런 맘에 동생에게 전화했더니, 다행히 집에 돌아오셨다고.


그리고 이제, 울엄마는 문재인을 찍겠다고 했다.

나도 오늘,아마도 최종본일 것 같은 그의 공약을 살펴보았다. 나 역시 그를 찍을 것이다. 

한편 내심 내가 박근헤를 너무 심하게 편견을 갖고 바라본 건 아닐까 싶어, 공평해지고 싶은 마음에 그를 좋아할 구석이 없나 한번 살펴보았다. 허나...역시나,,,,그는 단한번도 99%가 되었던 적이 없다. 그는 민주화 운동을 지지한 적도 없었다. 그는 집이 없는 설움을 겪어 본 적이 없다. 그는 가난한 선생님부인이 네명의 자식들을 공부시키기 위해  남의 집 파출부노릇을 하며 맛보아야 했던 수치심 따위는 짐작도 못한 채 60대까지 살아왔다. 그는 집에서 지원해 줄 형편이 없어 멀리 유학까지 가서도 교수가 될 꿈을 애초부터 접어야하였던 유학생의 가난한 마음조차 알지 못한다. 회사 근처 전세는 너무 비싸 엄두도 못내는 월급쟁이 심정을 알기나 하겠나. 그리고 무엇보다 그가 몸담고 있는 정당은 한번도 99%를 위한 적이 없다. 그러니 내가 어떻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