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기술 - 부정적 감정을 지우는 효과적인 뇌 사용법
안-엘렌 클레르.뱅상 트리부 지음, 구영옥 옮김 / 상상스퀘어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큰 기대없이 읽으면 몇개 정도 힌트는 얻을 수 있겠다.살면서 허우적거린다 싶을 때, 여전한 자기의심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할 때 말이다.
그러나 너무 큰 기대는 말길. 원인과 해결방법을 읽어서 알게 된다는 것과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는 건 역시 간극이 있다.
그저 나는 내가 이럴 때 왜 이러는지 그 이유를 과학적으로 설득 당하고 싶은 마음으로 이 책을 읽었다.
그리 논거가 상세하고 집요하진 않다.
이럴땐 이리하시오 단순한 처방전 같다. 예를 들며 설명해 주긴 하는데, 그다지 심오한 비법이 담긴 처방전 같진 않으니,좀 심심하다.
뭐 그렇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록 감각 - 식물을 보고 듣고 만질 때 우리 몸에 일어나는 일들
캐시 윌리스 지음, 신소희 옮김 / 김영사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이미 나는 알고 있었다.
초록은 우리가 본능적으로 끌리는 무엇이라는 것을.
그러나 그게 왜 그런지 근거를 가지고 설명하라고 하면..음 그게..그러니까...뭐 ...쩝쩝...이런 식이 될 수밖에 없다. 이 책은 바로 이 빈칸들을 채워준다.
초록의 자연을 보고,만지고,듣고,맡는 것이 미적으로뿐 아니라 우리건강에도 얼마나 근사한 일인지, 우리 종의 생존에도 얼마나 유리한지 말이다. 사실 이렇게 이야기하는 것은 극히 인간 중심적이다.그럼에도 초록자연을 만끽하고 느끼고 사랑할 명백한 이유를 확인한 것 같아. ...위안으로 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 루이스 레이의 다리
손턴 와일더 지음, 정해영 옮김, 신형철 해제 / 클레이하우스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는 결국 우연이 지배하는 세계를 증명한 셈이라는 생각이 드는 건 내가 아주 가끔 필요할 때만 신을 찾는 사람이기 때문일까
4조개의 세포로 이루어진 우리의 육신, 진화에 진화를 거듭해 여기까지 온 우리, 그 1800억 명이 여기를 다녀가는 동안, 신이 어떻게 우리의 생에 관여하느냐가 아니라 우리는 어떻게 신을 개입시켰나 라고 물어야 하는 것은 아닐까?
무작위는 결국 우연의 다른 말이 아니던가.
신형철의 해제?는 읽지 않았다.
해제들은 나를 가두는 어떤 경계.
나의 자유로운 해석을 늘 방해했으므로.
그렇지만 여전히 산 루이스 레이의 다리는...왜 그들이?하필 그때?라고 묻고 해답을 찾아보고 싶은 마음을 가지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낮의 열기 열린책들 세계문학 293
엘리자베스 보웬 지음, 정연희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은 무엇인지.
나는 왜 이 소설을 읽기 시작한 건지
스파이물이라고 해서, 북극에서 온 스파이 생각을 하면서, 흥미진진한 한편의 영화를 보러 가자~ 했는데,
했는데...
그게 아니네.
이건 탐정물도 아니고, 뭐랄까....심란한 심리소설.
런던 공습 이후 런던에 남은 자들, 연인이 스파이라고 알려준 남자와 그 사실을 연인에게 다시 말하는 여자 그리고 남편은 전선으로 가 버리고 홀로 남겨진 여자와 그를 돌보는 친구. 삼촌으로부터 아일랜드의 저택을 유산으로 상속받은 군입대한 18세의 아들..
사실 어떤 특별한 사건이 터지는 것도 아니고 뭔지 모를 어떤 기운이 이들 모두를 감싸고 있는데, 그게 전쟁이라는 것인지. 전쟁은 이들 전부의 삶의 배경음악처럼, 강렬한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도 아닌 것처럼 보인다. 1940년인가 42년인가 ...역사를 이미 알고 있는 우리에게도 종전은 2년 내지 3년이나 남았다.
관념적인 대화들, 까다로운 성미의 누군가가 늘어놓는 푸념처럼 이리 저리 늘어지는 문장.

좀 지루하다 싶다가 다시 긴장해서 읽기를 몇 번 반복하다 보니, 끝에 이른다.

뭐 읽기가 쉽지는 않는 소설이다. 이야기가 꼬여서도 아니고, 어려워서도 아니고, 뭐랄까 좀 까탈스러운 문장과 늘어지는 이야기라서일수도.....사실, 내 문제일수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들이 남쪽으로 가는 날 - 2024 스웨덴 올해의 도서상 수상작
리사 리드센 지음, 손화수 옮김 / 북파머스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쓰던 글이 날아가 버렸다.
임시저장 기능조차 안되는건가..여튼...김이 좀 샌다.

새들이 남쪽으로 가는 날, 북구의 사회민주주의 국가, 요양보호사들이 집으로 직접 와서 노인을 돌보는 곳, 그래서 노인은 집에서 세상을 떠날 수 있는 곳. 자식은 그곳이나 이곳이나 부모와는 다른 방식으로 자신의 사랑을 고집하고, 그것이 부모를 위해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구나. 부모는 대화를 시도하고 싶으나, 그만 둔다. 논쟁하기 싫어서이거나, 이길 수 없다는 걸 알기 때문이거나, 자식보다 못배웠다는 사실 때문이거나...이도 저도 아니면 기운이 딸려서이거나.
그렇게 하루하루 간다.
하루에도 여러번, 시간이 뒤바뀐다. 오래 전, 소년이었다가, 최초로 자립하기 위해 집을 떠나던 그 청년이었다가, 다시 아들과 함께 캠핑을 가서 낚시하던 아버지였다가, 또 치매를 앓아 이제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어 버린 아내를 만나러 가는 것이 의미 없는 일이라면서도 아내의 체취를 잊지 않기 위해 그녀의 스카프를 항아리에 담아두는 일흔 넘은 노인이었다가...

5월에서 10월까지 보는 그렇게 산다.
누구나 그렇다고 하는데, 우리는 노인이 되는 것을 실감하지 못한다. 문득, 노인이 되어 있는 것이다.
내 아버지가 그랬고, 아마도 나도 그럴 것이다.

새들이 남쪽으로 날아가는 날, 나는 어떤 모습일까. 나는 누구의 돌봄을 받으며 세상을 떠나갈까..최후로 내 옆에는 누가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