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니깐 청춘이다‘는 헛소리다

어느 지방대 학생이 4년의 석박사 과정을 거쳐 졸업하고 시간강사가 되기까지의 고행기, 그리고 시간강사가 되어 강의를 하면서 학생들과의 에피소드를 통한 성찰기로 나눌수 있다.

대학원생이 되면 무급으로 조교활동을 강제로 해야만 한다. 학기때 뿐만 아니라 심지어 방학 중일때조차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더불어 군대식 5분 대기조같은 실시간 접근성도 함께 갖추고 있어야 한다.

관행이라는 이름하에 대학원 선배들간에 군대식 위계와 규율들이 일상에 자리잡고 있기도 하다.

대학원 수업도 교수의 역량에 따라 천차만별의 수준차이가 난다. 한학기 등록금이 500만원이라는 것이 너무 아까운 수준이다.

매년 학자금으로 1000만원과 생활비로 200만원을 대출 받을수 밖에 없는 그의 형편으로서는 눈물나는 현실이다. 그래서 박사과정을 졸업하면 제일 먼저 반기는 것이 4천여만원의 학자금 대출이다.

대학원에 진학하여 지도교수로부터 다른 교수들에게 ‘잡일 돕는 아이‘로 소개당하며 시작한 그는 갖은 고초를 겪고 제도권 문체를 익혀 가면서 결국은 박사과정을 졸업하고 1주에 4시간씩 시간강사로 활동할 수 있게 된다. 연봉은 600여만원이다.

저자는 박사과정을 졸업할때까지 가득찬 부조리와 마침내 강사가 되고서도 미래가 보이지 않는 질곡으로 가득찬 현실에서 인간의 존엄성마저 위협받는다.

이 책은 이같은 모순을 해결하고 싶다기 보다는 단지 이 같은 상황에 대한 공유를 목적으로 인터넷 커뮤니티에 연재한 내용이다. .

어라? 대학원생은 대학원 공부만 하는 것 아닌가? 저자는 아닌가 보다.
저자만 아닌건가? 대학원생활을 안해본다데다가 ‘학교‘마다 ‘과‘의 특성에 따라 다를 것 같은데 너무나 혼란스럽다.

내가 대학에 대해서 뭘 알겠냐만은 그저 내 머리속에는 ‘대학은 청렴하고 배움의 열정이 있는 학생들에게는 관대할 것‘이라는 막연한 상상을 했을 뿐이다.

저자의 이야기를 통해 내가 알던 대학의 이미지와는 너무나 다른 대학현실을 보고 ‘너마저도‘ 라는 참담한 심경이 든다.

저자는 평범한 가정의 평범한 능력을 가진 사람이다. 이런 평범한 사람은 대학원까지의 공부를 마치기가 이렇게도 힘들다는 것을 이 책은 말한다.

그런데 더 무서운 현실은 저자와 같은 형편의 사람들이 우리네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점이다.

‘노력‘하면 가능할까?
우리는 그저 자기착취적인 ‘노오력‘을 해가며 희망고문을 당하는건 아닐까?

마치 제 3자의 이야기라 느껴질만큼 저자의 담담하고 절제된 문장이 깊은 밤에 나의 가슴에서 쉬이 떠나질 않고 남아 있다.

˝아파도 되는 청춘은 없으니까 모두 아프지 않기를, 그리고 이처럼 아팠음을 모두 기억하고 바꿔나갈 수 있기를˝

#독서 #책읽기 #추천도서 #지방시 #나는지방대시간강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