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공부법
한줄리뷰 - 내 학창시절에 이 책을 봤더라면 하는 아쉬움과 이제라도 봐서 다행이라는 안도감이 교차한다.

‘공부‘라는 것은 학창시절을 졸업하고 취업을 한 이후에는 그다지 생각하거나 해본 적이 없었던 것 같다. ‘공부‘라는 단어를 떠올리면 ‘경쟁‘과 ‘시험‘이라는 것이 함께 연상되어 불편한 마음이 들기 때문이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공부‘라는 것은 취업을 했거나 원하던 목표를 성취했다고 해서 그만둘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깨닫는 요즘이다. 성장을 전제로 한다면 죽을 때까지 그만두어서는 안되는 것이 ‘공부‘인 것이다.

인생을 마무리 할 때까지 끊임없이 해야 할 ‘공부‘인데 막상 학교 다녔을 때를 생각하면 선뜻 자신이 생기지도 않는다. 치열하게 공부했던 시절의 감각이나 방법을 잊어버렸기 때문에 더욱 소심해지기도 한다.

이 책 ‘완벽한 공부법‘은 제목 그대로 저자들이 생각하는 ‘완벽‘하게 공부를 하는 방법이 나와있다.
굳이 세상에 ‘완벽‘이 어디있냐고 정색하면서 되묻진 않기를 바란다. 내가 제목을 지은건 아니지 않은가.

저자들은 공부를 함에 있어 필요한 요인들을 14가지로 정리했고 각 요인을 논문이나 실험, 학술 등을 근거로 정의하고 키울 수있는 방법을 제시해준다.

이를테면 ‘안데르스 에릭슨‘이 제창하고 ‘말콤 글래드웰‘에 의해 널리 알려진 ‘1만시간의 법칙‘의 사례를 들어 ‘노력‘이라는 요인의 중요성을 알려준다. 뿐만 아니라 각 챕터의 후반부에 있는 두 작가들의 경험담들이 오히려 더 기억에 남는다.

저자들이 제안하는 공부를 잘하기 위한 요소 중 크게 공감하는 것이 있었다. 바로 창의성이다.

창의성은 세상에 없는 아이디어를 생각해내는 것이 아니라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의 ‘연결‘에 불과하다. 또한 타고나는 재능이 아니라 배울 수 있는 능력이다. 누구나 창의적인 사람이기를 바랄 것이다. 어떤 일을 하더라도 창의성은 그 사람을 압도적인 경쟁력을 갖추게 하는 능력임을 의심치 않을 것이다.

저자들은 창의성을 키우기 위해서는 다양한 경험을 하는 것이라고 한다. 연결할 것들이 많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다양한 경험을 하기 위한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바로 다양한 취미, 독서,여행, 만남이 그 방법이라고 한다.

창의적인 인간이 되길 바라마지 않던 나는 힘차게 고개를 끄덕이던 순간이다. 평생 해야 할 ‘공부‘의 방향에 이정표가 생겼다는 안도감으로 인해 앞으로 살아 갈 미래가 밝아지는 건 기분탓인가.

#완벽한공부법 #완공 #추천도서 #베스트셀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