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견만리 : 공존의 시대 편 - 불평등, 병리, 금융, 지역 편 명견만리 시리즈
KBS 명견만리 제작진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이 사는 곳을 멋지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어˝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를 직시한다는 것은 씁쓸합니다. 좋은 면만을 바라볼 수 없기 때문이죠. 내가 살고 있는 이곳 대한민국은 불평등이 너무나도 지나친 곳입니다.

수치로 살펴볼까요? 중국은 2%, 일본은 18.5%, 미국은 28.9%가 1조 원 이상을 가진 부자들 중 상속이나 증여로 부자가 된 비율입니다. 한국은 무려 74.1%가 상속 부자라고 합니다.

내 부모가 부자가 아니라면 내가 부자가 될 확률은 그다지 높지 않다는 방증이기도 합니다. 계층이동의 사다리는 진작에 걷어차여졌으며 수저 불변의 법칙이 만연한 형국이군요. 이제는 개천에서 용이 날 확률은 제로에 가깝습니다.

40분에 한 명, 하루에 36명! 대한민국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의 숫자입니다. 2003년부터 17년까지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가운데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를 놓친 적이 없지요.

한국전쟁의 잿더미로 세계 최빈국 중의 하나에서 세계 GDP 11위까지 오른 기적을 이룬 나라, 하지만 기쁨을 잃은 나라로 불리웁니다. 고속성장을 이룬 댓가로 우리는 타인에게는 말못할 정신질환을 얻게 된거죠. 불행한 사회에서 행복한 개인이 있을 수 없듯이 개인과 사회의 정신건강은 따로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하지만 마음의 고통을 개인이 스스로 극복해야 할 문제로 떠 넘겨져 온 거죠.

불평등이 심해지면 구성원간 믿음이 없어지고 지위경쟁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러면 상대를 밟고 올라가야 하기 떄문에 이기적인 행동이 만연하고 자연히 이타적인 분위기가 사라지게 되죠. 조만간 그 조직은 무너지게 됩니다.

한 조직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평범한 사람도 최소한의 생존이 가능할 수 있도록 사회적 합의와 안전망이 갖추어져야 함을 통감합니다. 곧 우리 앞에 도래할, 어쩌면 이미 마주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하는 시간이었습니다.

#명견만리 #인플루엔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