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 착각 - 왜 우리는 스스로 똑똑하다고 생각하는가
스티븐 슬로먼 & 필립 페른백 지음, 문희경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모르는 것이 무엇인지 안다는 것은?‘

사람은 스스로 생각하는 것보다 무지합니다. 그것도 많이요. 그런데 우리는 자신이 무지하다는 것을 잘 모릅니다. ‘더닝 크루거 효과‘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가장 좋지 않은 성과를 내는 사람이 자기 실력을 가장 높게 평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직장에서 자주. 그리고 쉽게 볼수 있는 사례 중 하나지 않습니까? ^^

그런데 이 ‘무지‘는 우리 삶에 정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 같습니다. ‘사람은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본다‘ 라는 말이 있는데요. 사람은 자기가 아는 것만 보고 아는 것만 하게됩니다. 그래서 그것만 계속하다보면 잘 할수 밖에 없지요. 능숙하게 되니까 주변에서 칭찬하게 되고 동기가 부여되서 계속하게 됩니다. 반대로 사람은 모르는 건 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잘하는 걸 하면 되는데 굳이 모르고 낯선 걸 하려고 하지 않지요. 이렇게 모르는 걸 하지 않고 아는 것만 하게 되면 자신의 숨겨진 재능 (잠재력이라고도 하죠) 을 평생 모르고 살아가게 됩니다.

이 ‘무지에 대한 영향‘을 인식한다는 것은 육아, 리더십, 자기계발의 본질이라 생각합니다. 예를들어 내 아이가 그림을 잘 그린다고 해서 그림만 그리게 된다면 아이의 숨겨진 다른 재능을 놓칠지도 모릅니다. 자녀와 자신과 직원의 잠재력은 어떻게 무지를 대하느냐에 따라 발견되고 성장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에 나오는 수많은 지식과 사례들 중에서 제 뒤통수를 가장 세게 때렸던 지점입니다.

얼마 전에 자신의 명저 ‘원칙‘을 PDF로 무상배포한 대인배이자 세계 최대의 헤지펀드 ‘브릿지워터 어소시어츠‘의 ‘레이 달리오‘도 이렇게 말합니다.

‘내가 성공한 이유는 내가 모르는 것을 다루는 방식이다‘

무언가 진실로 이해를 하려면 스스로 무엇을 모르는지 알아야 하겠습니다.

이 책의 주제는 3가지로 무지, 이해의 착각, 지식 공동체로 2명의 인지과학자들이 사람들의 생각에 대한 연구결과인데요. ‘사람은 자신의 생각보다 무지한데 정작 본인은 잘 알고 있다는 이해의 착각 속에 있습니다. 반면에 세상은 실로 엄청난 복잡계인데요. 사람들이 복잡한 세상에 압도되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 것은 지식공동체 덕분이다.‘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내가 안다는 것, 생각을 한다는 것에 대한 깊은 성찰의 시간을 보냈습니다. 정말 훌륭한 내용이라고 자신합니다.

#지식의착각 #세종서적 #레이달리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