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빌 게이츠 넥스트 팬데믹을 대비하는 법 - 코로나19로부터 배운 것 그리고 미래를 위한 액션 플랜
빌 게이츠 지음, 이영래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22년 6월
평점 :
세계 제일의 부자, 윈도우와 도스 등 소프트 웨어 개발로 개인 PC시대의 혁신을 일으킨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빌게이츠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도스 시절부터 컴퓨터를 하던 사람으로서 빌게이츠의 이름은 정말 거대하게 느껴진다.
그런 그가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을 운영하며 사회에 많은 기부를 하면서 무엇보다 코로나같은 팬데믹 상황에 대해서 많은 연구를 하고 있으며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빌게이츠에 대한 많은 음모론들이 있긴 하지만 팩트로 밝혀진바도 없고
이 책을 읽기전 코로나가 한창일때부터 빌게이츠가 넥스트 팬데믹, 코로나 이후에도 연이어 찾아올 바이러스에 대한 경고를 한 바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이 책이 나오자마자 바로 보고 싶었던 것 같다.

세계에 유례없진 않았지만 코로나처럼 전세계적 팬데믹 상황을 불러온 질병은 없을 것이다.
이 여파로 인해 현재 주가가 연이어 하락하고 있고, 인플레이션 현상이 급격히 일어나고 있고 선진국은 물론 동남아 개발 도상국까지 많은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백신을 빠른 속도로 개발했지만 이런저런 문제들을 양산해내기도 했다. 이런 팬데믹 상황을 겪어보지 못한 전 세계는 우왕좌왕 하며 혼란에 빠졌다. 우리나라도 대응을 얼핏 잘하는 듯 했지만 이해할 수 없는 코로나 통제와 정책은 확산방지에 기여했다고 보기엔 힘들고 그 여파가 거세다.
특히 사람이 오히려 적을 저녁 시간에 자영업자들을 통제하고 영업 제한을 하는 것은 참 어이가 없었다. 내가 자영업자는 아니라 피해는 없었지만서도 낮에는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마트에 저녁에 가면 한산한데, 통제로 인해 저녁에 갈 수가 없어 어쩔 수 없이 사람 많은 낮에 가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형식적이고 보여주기 식의 허례의식을 잘 따지는 우리나라의 답답한 관행이 여기에서도 잘 드러난것이지 싶다.
빌게이츠는 오래전부터 환경에 대한 관심이 많았고 생태계 파괴로 인한 기후변화가 전염병을 야기할 것이라는 경고를 해왔다고 한다. 어리석은 사람들은 당장의 이익을 위해 미래를 생각하지 않고 무분별한 개발, 생태계 파괴를 해왔다. 특히 아마존의 눈물이라는 다큐에서 보았듯이 아마존의 자연 파괴는 지구의 허파를 공격하는 행위나 다름이 없었다.
코로나가 창궐했을 직후 맑아진 하늘을 바라보며 인간이 참 지구에 해악을 미친다는 것을 느끼기도 했다. 중국이 공장 가동을 중단한 것이 가장 큰것이지만 그런 중국의 공장을 이용하는 기업은 한국 기업 및 세계 기업들이다.
앞으로 또 찾아올지 모르는 펜데믹 상황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까? 호흡기로 잘 감염되지는 않는다지만 원숭이 두창 1호 환자가 발병한 지금 또다시 공포를 느끼고 있다.
빌게이츠는 이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제안들을 하고 가난한 나라의 예방등을 신경써주면서 공존할 수 있는 지구촌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이 책에서 드러냈다.
최첨단 세상을 선도한 기업인이 하는 말이라 더 주의깊게 읽을 수 있었고 또 거시적인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게 해준 의미있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