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공부 - 우리가 평생 풀지 못한 마음의 숙제 EBS CLASS ⓔ
최광현 지음 / EBS BOOKS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족은 나와 가장 가까운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남들은 잘 모르는 서로의 시간을 알고 치부를 알고 닮아있다.

그런데 가족이 사이 좋기는 생각보다 쉽지 않다. 피를 나눈 사이이고 같은 환경에서 자랐는데 왜 그렇게 생각하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생기기도 한다. 사실 나는 어릴 때를 제외하고 이런 갈등이 크지는 않지만,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이런 갈등을 겪고 있다. 때로는 가족인데 남보다 못하게 의절을 하거나 심하면 서로 증오를 하기도 한다.

가족은 가장 가깝고 편하고 한마디로 만만한 사이라서 서로를 함부로 대하게 되서 그런 갈등이 생기는 것은 아닐까?

저자는 가족상담 전문가로서 수 많은 가족들의 갈등 사례를 접하고 상담해왔다 한다.

그래서인지 책의 내용이 아주 공감이 많이 가고 이해가 되도록 씌여져 있었다.

부모와 자녀의 문제, 특히 아버지와의 갈등은 한국 사회의 흔하면서도 심각한 문제이다.

나 또한 아버지와의 갈등을 겪었고 원망이 아직 남아있기도 한데, 반면에 그래도 가족이라고 팔은 안으로 굽는 부분이 있다. 아버지가 더 이해 되기에 더 밉기도 했고, 때로는 전혀 이해 안되기도 했다.

그런 아버지도 어린 시절에는 부모에게 상처를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그게 되물림 되지 않으려면 나처럼 책을 읽거나 하는 노력을 해야 하는데 그 시대 어른들은 그런 것이 전무하다시피 하다.

지금은 상담이라는 행위가 일반적이지만 당시에는 상담할 생각조차 해보지 못할 정도였을 것이다.

저자의 말처럼 나의 대에서 그걸 끊어내기 위해서는 부모로부터 받은 상처와 아픔을 직면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 내가 하는 행동에 대해서 나 자신을 자각하고 이해하는데 더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그걸 완전히 안다는 것은 개인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나 자신도 이해하지 못할 나의 충동이나 기질은 유전인 경우도 있는데 그게 꼭 부모에게서 온것만은 아닌, 선조로부터 우연히 내려온 진화적 기제일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같은 형제라도 어떤 유전인자를 가지느냐에 따라서 아주 어릴때부터 성격이 다르다. 부모에게서 보고 배운 학습인자도 있을 것이고 부모 윗대의 유전인자도 있을 것이다.



또 학교 교사들의 영향도 있다. 경상도 지역에서 유년시절을 보낸 나는 아주 어린시절, 초등학교 2학년 때부터 교사로부터 매를 맞았다. 크게 잘못한게 없을 때에도 감정적으로 맞았는데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초2학년 때 반 아이들이 전부 다 보는 곳에서 주먹으로 배를 맞았던 기억이다. 수십년이 지난 지금도 그 때의 기억을 잊을 수가 없다. 부모라면 원망이라도 하겠지만 교사는 그 원망을 할 수도 없다. 찾으려면 찾아가겠지만 그것은 자칫 범법화된 복수로 나타날 가능성도 많지않지만 있기 때문에 그러고 싶지도 않다.

그래서 하고 싶은 말은 너무 부모를 원망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특히 아버지에게 상처를 받은걸로 치면 통계를 내본적은 없지만 상위권에 들지 않을까 싶을 정도이나, 나의 좋지 않은 면이 전부 아버지 탓이라는 근거는 없다.

부부갈등에 대해서는 대충 읽고 넘어갔다. 아직은 그런 것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우리 부부는 비슷한 아버지를 가진 공통점이 있는데 함께 살아온 수년 동안 수 많은 대화를 통해서 서로 이해라는 유대를 쌓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앞으로 계속 그것이 유지된다는 보장은 없기에 안 읽고 넘어갈 수는 없었다. 부부야 말로 타협을 자라 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른바 밀당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연애할때의 밀당과는 달리 균형을 잘 유지하는 밀당이라 하겠다. 그래야 동등한 협력관계의 동반자가 될 수 있다.

세대 갈등도 중요한 문제이다. 가족 구성원들은 세대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그 안에서도 나뉘게 되는데, 서로를 이하하는 것이, 아니 완전히 이해하지 못해도 그대로 받아들일줄도 아는 것이 화합의 한 방법이 아닐까 한다.

가족과의 갈등이 있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자기 상황과 일치하지 않더라도 읽어본다면 무엇인가 깨닫는 바가 있으리라 예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