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의 마지막 서점
매들린 마틴 지음, 김미선 옮김 / 문학서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잘 읽지 않을때도 한적한 헌책방에가서 기웃거리는 것을 좋아했다.

저렴한 가격에 한 두권을 들고 오기도 했는데, 잘 읽지도 않으면서 왠지 그 책방의 분위기를 좋아하곤 했다.

인터넷 서점이 활성화되면서부터 지금은 그 책방이 문을 닫은지 오래다. 새책을 팔던 서점들도 하나 둘 문을 닫고 작은 책방을 찾아보기 쉽지 않은 요즘이다. 책 자체를 읽는 사람이 줄어든 것일지도 모른다.

 

가끔 그 인근을 지날때마다 다른 많고 많은 가게보다 그 헌책방이 떠오르는 것은 왜일까.

소설 속 런던의 서점은 역사상 최악의 전쟁이라 할 수 있는 세계 2차 대전이 한창일 때 런던의 서점에 대한 이야기이다. 전쟁이라는 극한의 상황에서는 사랑도 우정도 돈도 목표도 사라진 채 오직 살아남고 적을 죽여야 하는 암울한 분위기다. 그런 아비귀환 속에서 인간다움을 상징하는 서점의 존재는 실날같은 희망이라 할 수 있다.

 

그레이스는 엄마를 잃고 엄마의 친구 도움으로 런던으로 오게 된다. 전쟁의 무서움은 사람을 가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군인이든 민간인이든 위험한 것은 마찬가지이다. 왜 전쟁이 일어나는지도 잘 모른채 죽음의 공포에 떨며 살아남기위해 발버둥치는 사람들.

그레이스는 추천서를 위조하는 비브와는 달리 추천서를 받기 위해 서점에서 일을하게 된다.

조지라는 청년을 만나 사랑에 빠지는데, 조지는 곧 공군으로 입대를 해버리게 된다. 그레이스는 그레이스 대로 런던에 남아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하며 전쟁을 견뎌낸다.

 

공습으로 런던의 건물들이 파괴되어도 운이좋게 서점은 남아 사람들에게 희망이 되어준다. 그레이스는 그 모습을 보고 사람들에게 희망을 더 주기위해서 낭독회를 하는 등의 노력과 함께 서점의 간판을 '런던의 마지막 서점'이라는 이름으로 바꾼다.

 

페이지 터너라 할만큼 잘 읽히는 이 책은 그러나 결코 가볍지 않다. 극한의 상황에서도 희망은 있다는 메세지를 통해 우리에게 감동을 선사한다. 세계2차대전은 수 많은 사람에게 상처와 뼈아픈 교훈을 남겼다.

 

왜놈들에게 강점을 당하던 우리나라에게도 2차 대전은 남의 이야기가 아니었다. 종전 후 해방, 그 후 5년 만에 한국 전쟁 발발로 인해 뼈아픈 상처를 연속으로 안아야 했던 우리는 지금도 그 상처의 흔적을 가지고 있다.

 

전쟁과 비할바는 아니지만 현대의 삶도 쉽지 만은 않다. 그렇지만 극한의 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았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왠지 조금 더 용기를 내면서 살아야 겠다는 생각이든다.

소설속에서 서점이 희망의 상징으로 나오는데 현대에도 책의 역할은 많은 차이는 있겠지만 희망적인 미래를 상징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책을 잘 읽지 않아도 책방을 좋아하고 책에 대한 긍정적 감정을 가지고 있던 나는 소재가 참 마음에 끌렸는데 전쟁의 배경인 소설이기 때문에 안타까운 부분이 참 많았지만 따뜻함을 느끼기도 했다.

오랫만에 읽은 소설이었는데 참 좋은 선택이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