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 수업 - 그들은 어떻게 더 나은 선택을 했는가?
조셉 비카르트 지음, 황성연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택의 기로에 섰을 때 사람은 흔들리기 마련이다.

때로는 이것도 좋고 저것도 좋아서 고민하기도 하고 어느 것이 더 나을지 더 못할지 고민을 하기도 한다. 나도 고민이 많은 편이지만 결정을 내리는데 시간이 걸려서 그렇지 결정장애수준으로 결정을 하진 않는다. 결정장애라는 말을 싫어하기도 하고 쉽게 그런 말을 내뱉는 사람들을 보면 자기 스스로 멋하나 결정하지 못하는 어린아이 같이 느껴지기도 한다. 무슨 사소한 물건을 못고른다고 그 자체가 문제가 되지는 않겠지만 그런 성향은 큰일에서는 더욱 머뭇거리기 마련이다. 오래걸리더라도 내 스스로 결정을 하는 편이다. 아니 그러려고 노력했다는 말이 맞을 것이다.

 

결정을 잘 하지 못하면 자기 의사 보다 남들의 말에 좌지우지 되기 쉽다. 그 남들이 나를 위하는 사람들이라면 다행이지만 모두가 알다시피 세상은 그렇게 호락하지 않다. 특히 OECD국가중 범죄율이 높은 편은 아니고 치안은 좋은 편이지만 사기 범죄 1위라는 위엄?을 달성하고 있는 대한민국에서는 머뭇거리다가는 남들 좋은대로 이용당하기 십상이다. 내가 그랬던 사람이라서 잘 안다. 이제는 작은 물건을 하나 사러가더라도 점원이 따라붙으면 혼자 고르겠다고 말한다.

 

그렇지만 결정을 잘한다고는 볼 수 없다. 어떤 것은 아직도 머뭇거리거나 마음만 싱숭생숭 신중하기만 하다가 놓치는 부분도 많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결정장애가 없는 사람도 이 책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어서



 

1부에서는 결정을 못하는 이유를 알아본다. 결정을 못해본 사람이면 누구나 공감할만한 이야기이다. 전망이론은 두려움이 이성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방법으로 우리를 더 위험한 행동으로 몰아갈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같은 크기라고 했을때도 우리는 이득의 기쁨보다 손해의 두려움을 더 크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인생에 함정에 쉽게 빠져서 헤어나지 못하는 경우를 종종 겪게 된다.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 불신과 학대, 정서적 박탈, 의존, 결허마, 사회적 배제, 실패에 대한 두려움, 특권의식, 종속, 취약성, 완벽주의 등이 때로는 크게 때로는 작게 우리의 인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내가 어떤 함정에 빠져있고 어떤 상태가 되었는지를 진단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2부에서는 결정장애를 벗어나기 위한 출발점을 이야기 한다. 나 자신을 알아야 벗어날 수 있는 길을 보게 될 것이다.

3부는 의지와 실행력과 추진력을 이끌어내는 프로세스의 흐름을 살펴본다. 받아들일 것과 바꿀것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4부에서는 결정의 기술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결정도습관이기 때문에 이 책에 나오는 의사결정모델들을 잘 활용하다 보면 습관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 같다.

내 결정이 좋지 않은 결과를 내더라도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사실 결정장애의 큰 요인 중 하나는 내가 어리석은 선택을 하게 되면 어떡하지? 결과가 좋지 않으면 어떡하지? 결정을 되돌릴 수 없으면 어떡하지? 이런 고민 때문이다.

 

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어쩔 수 없다는 마음가짐이 있어야 할 것이다.

항상 좋은 결정만 내릴 수는 없고 고민을 하던 안하던 어쨌든 결정을 해야 하는 법이고 오래 고민한다고 좋은 결정을 내리라는 법은 없다. 오히려 쉽게 결정을 내리는 습관은 스트레스와 시간낭비에서 해방이 될 것이다. 물론 결과가 좋지 않을 수는 있지만 어렵게 결정해도 마찬가지였을 거라고 생각하면 마음이 좀 편해진다. 누구나 실수를 한다는 것도 꼭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걸 모르는 사람은 없지만 누구나 인식하고 있지는 않는다.

 

결정장애라는 말을 쉽게 생각해서는 안된다. 비하적 단어이기도 하고 그냥 쉽게 넘어갈 것들의 성질이 아니다. 일단 남에게 결정을 해달라며 부탁하는 것부터 그만두어야 한다. 힘들겠지만 자꾸 하다 보면 늘 것이다. 정 안되면 일단 결정부터 내리고 보는 방법도 좋은 것 같다. 총 14장으로 구성된 책을 따라가다보면 결정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앞으로의 상황에 대체할 수 있는 결정의 기술을 인식하고 습관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습관이라고 무슨 운동을 꾸준히 하거나 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그리 어렵지도 않다. 쉽게 생각하면 참 쉬운것이다. 빠른 결정을 내리고 실패를 했다면 다음에 결정을 내릴때를 대비한 피드백을 찾아낸다면 점점 좋아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