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처음 배우는 인체구조와 기능 - 해부생리학의 기초
다나카 에츠로 지음, 김영설 옮김 / 북앤에듀 / 2021년 6월
평점 :
이 책은 처음에 의료계 종사자들의 이해를 돕기위한 책으로서 기획 출간 되었다.
해부생리학교재로 활용되며 좋은 평가를 받았는데, 기초적인 인체의 개념들을 그림과 함께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나는 의료인이 아니지만 호기심 때문에 이 책을 읽고 싶었다.
사람이 타인을 쉽게 판단하지만 실은 자신도 모른다는 것은 마음 뿐만 아니라 자신의 인체에 대해서도 그러하다. 최소한 장기의 위치나 기능 정도는 알아두고 싶은 마음에 읽게 되었고, 만화로 되어있다고 해서 가볍게 전체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책인줄 알았으나, 의료인들의 교재로 쓰일 만큼 꼼꼼하게 씌여있다.

일반 책보다 큰 판형에 360페이지로 되어있고 글씨도 많다.
그래서 분량이 많은 편이지만 이 책의 장점인 이해를 돕고 지루하지 않게 해주는 만화 설명은 그 과정을 수월하게 해준다. 의료교재로도 활용되는 만큼전문용어들도 많이 등장하는데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걸 빠트리지 않기 때문에 일반 독자들도 상식으로 읽고 소장할만한 책이다.

사람의 몸은 세포의 집합체인데 세포가 모여 집합체를 만들고 조직을 구성한다.
또 그 조직의 집합체를 기관이라고 부른다.
심장이나 간처럼 일정한 기관을 장기라고 부르고 여러 기관계가 모여 기관계를 구성하면서 그 기관계가 모여 사람의 몸을 구성한다.
뇌에 대한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다른 과학 분야는 물론 교육과 자기계발 서적등에도 많이 인용되는 부분이다. 뇌와 신경계의 구조를 읽고 나니 기존에 알고 있었던 것들에 대한 이해도가 덩달아 올라갔다.

일본의 서적이지만 역자가 주석을 꼼꼼하게 넣어서 전체적인 이해에 대한 어려움은 없었다. 이해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 용어 자체의 생소함과 어려움일 것이다.
만화와 함께 보는 전문 서적은 한국에서는 그저 어린이용, 잘해봐야 청소년 용으로 인식되고 있다. 교과서의 이해를 돕는 학습만화들이 많기 때문인데, 이 책은 해부생리학 교재로 쓰일 만큼 전문적이고 꼼꼼하다.
일본과 우리나라의 만화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의 문화가 이제는 선진 문화라 하기 힘들 정도로 뒤쳐져 있는 부분도 있고 한국보다 보수적인 부분도 되려 많이 있지만, 학습에 관한 것은 앞서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각국의 주요 서적들이 번역되는 수준이 우리나라와 편차가 크다. 책의 출간 부수도 비교가 안될 정도이다.
학습의 수준을 떠나서 활용도에 있어서도 그런 것 같다.
대학교재를 학습만화처럼 만화를 삽입한다는 것은 우리로서는 생각하기 힘든데, 그게 가능하다는 것을 이 책이 보여준다.
만화가 들어가면 왠지 품위가 없어 보인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고정관념으로 인한 인식이다.
그걸 알면서도 대학교재에 만화가 들어가있으면 나조차도 어색할 것 같다.
그러나 배움의 목적이 더 중요하다. 이해를 돕는 좋은 도구가 있는데도 활용하지 않는 것은 어리석은 것이다.
인류역사의 긴 세월동안 언어를 만들어 사용한 역사보다 없었던 역사가 훨씬 길다.
게다가 우리나라만 해도 100여 년 으로만 거슬러가도 식자층들만 언어를 사용하였고, 서민들은 글자를 모르거나 알고 있는 한글도 언문 취급을 당해왔다. 그래서인지는 모르지만 인간은 이미지에 대한 이해도가 더 빠르다. 단어로는 잘 안외워지는 것들이 이미지를 구체화하면 기억력을 올려준다.
기억의 궁전을 활용한 암기법은 공간과 이미지에 대한 인간의 인식력을 보여주는 사례일 것이다. 그러므로 초중고는 물론 대학 교재에도 개론서 등에 만화 그림을 삽입해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은 학습의 이해라는 목적에 더 효과적으로 도달하는 방법일 것이다.
의료 종사자는 물론 학생 및 일반 사람들도 읽어두면 어떻게든 보탬이 될 책이다.
책을 제공 받고 쓰는 리뷰이고 장점을 보려고 노력을 하지만 시원 찮은 책은 추천하지 않는다. 추천이라는 단어를 잘 사용하지도 않는다. 10개의 리뷰를 쓰면 그 중 하나 정도 추천이라는 단어를 넣을 것이다. 미안하지만 좋은 평가를 내리지 않은 책도 많다. 혹시 좋지 않은 책을 좋게 평가 했다면 관점의 차이거나 내가 보는 눈이 없어서 일 것이다.
전문가도 아니고 관련자도 아니기 때문에 전문적인 추천을 할 수는 없지만 일반 독자이자 소비자로서 이 책을 추천하는 바이다.
[출판사에서 책만을 제공받았고, 간섭없이 자유롭게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