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6장으로 구성된 이 책에서 15장을 읽고 있을 때에도, 나는 페미니스트가 되고 싶지만 될 수 없으면 어떡하지? 하는 걱정에 사로잡혔다. 필자인 우에노 치즈코가 `한국어판을 내며`에서 말한대로 그동안 나의 경험을 설명해주는 신선한 언어를 얻었고, 책에 실린 내용이 폐부 깊숙한 어떤 곳을 건드리는 깨달음과 이해도 얻었지만, 어떤 내용에서는 위화감을 느끼기도 했기 때문에.
그러나 페미니스트란 스스로의 여성 혐오를 자각하고 그것과 싸우려 하는 이를 가리킨다는 필자의 말에 안도의 한숨을 쉬며 이제 나는 페미니스트라고 당당히 말할 수 있게 되었다. 페미니스트는 여성 혐오로부터 출발하는 것이다. 태어나는 순간부터 우리에게 무의식적으로 주입되는 여성 혐오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여자가 있다면 그 여자는 싸울 대상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페미니스트가 될 이유도 가지지 않는다. 라고 우에노는 말한다. 참으로 그 사상을 쫓고 싶은 여성일세.
나는 이 책을 더 많은 여성과 남성들이 읽기를 희망하는 마음으로 책이라는 것을 약 3년간 읽지않은 친구(여성)를 만나는 길에 이 책을 가져갔고 두말없이 내가 밑줄 친 부분 몇 단락만 보여주었다. 그녀와 나는 그동안 우리가 막연하게 느꼈지만 언어로 표현할 수 없었던 것이 명확한 텍스트로 표현된 것을 보고 탄복했고, 그 내용에 대하여 진심어린 한탄과 공감을 나누었다. 또한 나는 그녀의 입에서 자발적으로 ˝나 이 책 좀 빌려줘.˝라는 말이 나오도록 하는 것에 성공했고 지금 리뷰를 쓰고 그녀를 만나러 갈 것이다.
나의 리뷰는 내가 밑줄 친 부분으로 대신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 같아 간단히 요약해본다.
1. `여성 혐오`란 남성에게는 `여성 멸시`, 여성에게는 `자기 혐오`다. `여자로 태어나지 않아 천만다행`이라는 생각을 한 번이라도 해본 남자나, `여자로 태어나 손해`라는 생각을 한 번이라도 해본 여자 모두에게 해당되는 말이다.
2. 남자들 마음 속에는 `여자 없이 어떻게 안 될까`하는 부분이 분명히 존재하지만, 자신이 성적으로 남성인 것을 증명할 필요가 있을 때마다 여자라는 시시하고 불결하며 이해 불가능한 생물에게 욕망의 충족을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에 대한 남자들의 분노와 원한이 바로 여성 혐오의 내용일 수 있다.
3. 포르노의 철칙은, 유혹하는 이는 여자이어야 하며 마지막에 가서는 쾌락에 지배될 것, 이다. ˝유혹한 건 여자라고. 나는 나쁘지 않아˝하며 남자의 욕망을 면책시켜주는 대단히 단순한 장치이다. 저항하는 여자를 억지로 눕혀 범하는 강간물에서조차 결국에는 여자의 쾌락으로 끝이 난다. 여성의 쾌락은 남성의 섹슈얼리티 달성을 재는 측정가능한 지표이며 남성에 의한 여성의 성적 지배가 완성되는 지점이기 때문이다.
4. 여자의 가치는 남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반면, 남자의 가치가 여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일은 좀처럼 없다. 남성 세계 내에서 권력, 명예, 부에 대한 패권 게임에서 승자가 되기만 하면 여자는 전리품처럼 자동적으로 따라오게 된다. 반면, 여성 세계의 패권 게임은 여성 세계 그 자체만으로는 충족되지 않는다. 거기에는 반드시 남성의 평가가 개입하여 여자들을 갈라놓게 된다. 적어도 남자들이 인정하는 여자와 여자들이 인정하는 여자 사이에는 이중 기준이 존재하며 양자는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5. 성의 이중 기준이란 남성 대상의 성도덕과 여성 대상의 성도덕이 서로 다름을 뜻한다. 그 결과 성의 이중 기준은 여성을 두 종류의 집단으로 분할하게 된다. 성녀와 창녀, 아내와 매춘부, 결혼 상대와 놀이 상대 등... 이렇게 분단된 여자들에게는 서로가 서로를 멸시하는 `창녀 차별`이 존재했던 것이다.
6. 성도 연애도, 결국은 타자의 신체에 접근하기 위한 기술이라 할 수 있고 이것은 넓은 의미로 커뮤니케이션 스킬의 일부이다. 매매춘이란 사회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이 접근 과정을 금전을 매개로 단숨에 단축해버리는 (즉, 스킬이 없는 자도 성교섭이 가능한) 강간의 일종인 것이다.
또한 여성의 미니스커트나 알몸, 궁극적으로는 성기와 같은 신체 일부에 반사적으로 반응하는 성욕이 있기 때문에 매매춘은 성립한다. 매춘에서 남자가 사고 있는 것은 여성이 아니라 여성이라고 하는 기호이다. 기호에 발정하고 기호에 사정하고 있으므로 매춘은 마스터베이션의 일종인 것이다. (눈을 감고 다른 누군가를 떠올리며, 혹은 완전히 가학적이 되어 창녀의 질을 자기 손 대신 삼아 마스터베이션 한다는 생각으로도 남자는 사정할 수 있다.)
7. 르네 지라르가 `욕망의 삼각형`을 통해 지적하는 바와 같이, 사람은 타자가 욕망하는 것밖에 욕망하지 않는다. 남성 집단 내에는 사회적 자원을 둘러싼 패권 게임이 존재하고 여성은 남성 집단 내 서열에 따라 배분되는 재화이자 보수이다. 이러한 남성 사회의 가치를 내면화하고 있는 여자는 스스로 남성의 서열에 적응한다. 여성이 발정하는 것은 남성 집단 내에서의 남자의 포지션에 대해서이지 남자 개인에 대해서가 아니다. 발정의 시나리오 역시 대단히 문화•사회적인 것이다.
8. 딸은 어머니로부터 여성 혐오를 배운다. 어머니의 딸에 대한 기대는 아들에 대한 기대와는 달리 양의성을 가지고 있다. 어머니는 딸에게 `아들로서 성공하라`와 `딸(=여자)로서 성공하라`를 동시에 보낸다. 여성에게 있는 두 가지의 가치, 즉, 스스로 획득한 가치와 타인(남성)에 의해 부여된 가치 모두를 얻어야 어머니의 야심찬 기획이 완성되는 것이다. 그래서 어머니는 이러한 가치를 얻지 못한 딸을 평생 동안 반편이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9. 어머니에게 여성 혐오를 심는 것은 그녀의 남편이다. 어머니는 여성 혐오적 아버지의 대리인으로서 행동한다. 딸은 아버지라고 하는 강자의 총애를 놓고 벌이는 어머니와의 라이벌 관계에서 승리함으로써 어머니보다 우위에 설 가능성이 있는데 이렇게 `아버지의 딸`이 되는 것은 자기 혐오와 억압을 감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내용이 `여성 기피`와 `남자처럼 되고 싶다`는 바람이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이것으로부터 탈피하는 길은 `어머니됨`과 `딸됨`으로부터 내리는 수 밖에 없다. 어머니와 딸 모두 가부장제가 여성에게 부여한 지정석에 지나지 않는다.
끝으로, 이 책의 원전이 된 Eve k. sedgwick의 저서 <<Between Men>> 및 다른 저서들이 하나도 번역되지 않은 것으로 안다. 우에노의 책에 많이 언급되어 호기심이 생기는데 어서 국내에서도 소개되길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