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가 이 책을 읽고 다른 분들처럼 멋드러진 리뷰를 쓸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개념녀'가 되기 위해 노력하며 살아왔던 지난 날들에 이별을 고하며, 당당하게 나도 헬페미니스트다 ! 라는 선언을 할 수 있을 거라고.


 나는 그동안 스스로를 온건한 페미니스트라고 여겨왔다. 메갈리안, 워마드 같은 급진적인 인터넷 커뮤니티 활동을 하진 않지만, 페미니즘에 별 관심 없는 사람들보다는 성차별적 상황에 민감하며, 즉각적으로 이것은 잘못되었다 정도는 말할 수 있는, 그 정도의 페미니스트. '나는 메갈리안은 아니지만' 이라는 방어적 수사로 말문을 떼는 사람이었던 것이다.


 이 책을 다 읽으면 열정적인 페미니즘 전도사가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 책을 다 읽은 지금, 끝을 알 수 없는 벽을 마주한 막막함을 넘어선 먹먹함을 느끼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여자인 나조차도 아주 급진적이라 여겨지는, 어.. 이거 너무 간 거 아닌가..? 하는 정도의 거부감이 든 적이 몇 번 있었는데 이러면 안되는건가.. 내가 남성중심적 사고에 찌들어있다는 반증인가 하는 혼란스러움ㅠ 하 윤김지영 선생님한테 질문하고 싶은 게 너무 많다ㅠㅠㅠㅠㅠㅠㅠㅠ


 또한, 특정 문장을 읽으면서 남자들은 이 말에 어떻게 반응할까? 어떻게 반박할까? 말도 안되는 미친소리에 피해의식에 찌들었다고 하겠지 라는 생각이 들 때의 좌절감ㅠ 그들을 어떻게 설득시켜야 이 세계는 변할 것인가. 아니 그들이 아니라 내 사고의 프레임을 어떻게 부숴낼 것인가. 나의 '전全 존재를 건 말걸기'를 행하기에 나의 용기는 부족한 것이 아닌가. 그래서 나는 작은 것부터 시작해보기로 한다. 나부터. 나 스스로를 넘어서기부터.



 아쉬운 점: 상당히 추상적이고 철학적인 고찰, 개념어가 많아서 주변 친구들에게 추천하기 쉽지 않은 점. 또한 선생님 스스로 말씀하셨다시피 '전폭적인 이론적 지지서'라고 느껴지는 점



 궁금한 점: 이 책을 읽은 남자들의 솔직담백한 의견




 다음 책은 바로 준비되어있다!



















끝으로 나 자신에게 해주어야 할 말:



야비한 욕설과 가혹한 비난이 끝도 없이 되풀이될 겁니다. 헬페미니스트에게 꽂히는 ‘프로불편러‘라는 비아냥, ‘꼴페미‘와 ‘페미나치‘라는 낙인 앞에서 멈칫거리지 않고 하나하나 해체하는 번거로움을 마다해서는 안 됩니다. 불화를 통해 모순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불편을 감수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다른 이들이 타성에 젖어 스치고 지나가버린 것, 암묵적으로 동의해버린 문제에 대해 민감성을 지님으로써 당연하게 전제된 진리와 공리의 개념 지도, 인식의 지도 자체를 변화시켜나가려면 불화와 불편은 불가피합니다. 29p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17-12-27 08: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도덕코르셋도 우리가 벗어버려야할 것이라고 생각해요.
스윗듀님이 다음 책으로 준비하신 두 권을 먼저 읽고 그 뒤에 헬페미니스트 선언을 시작하시는 게 나았을 거란 생각이 드네요. 제 경우엔 헬페미니스트 선언이 국내 페미니즘 서적 중에서 제일 좋았어요. 지금의 젊은(사실 이건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인지를 모르겠지만)페미들을 관찰하고 그들의 흐름을 있는 그대로 기술했다고 생각했거든요. 그래서 윤김지영 쌤께 굉장히 고마운 마음이 들었고요. 저 책을 아직 받아들이지 못하는 스윗듀님이 뭔가 잘못되거나 한 건 아니고요, 일단 거기서부터 시작하는 거라고 생각해요. ‘어, 이건 뭐지?‘, ‘어, 내가 이상한가‘, ‘어, 이건 너무 센 거 아닌가‘, ‘어, 이사람 왜이렇게 세게 말하지?‘ 이렇게 스스로에게 묻고 묻고 또 묻는 과정에서 답을 내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다보면 어느새 성큼 더 나아가 있을 거고요. 혼란스럽고 자꾸 스스로에게 묻는 과정이 다 페미니즘이라고 생각합니다.

자, 나아갑시다, 자매여!!

스윗듀 2017-12-27 10:03   좋아요 0 | URL
맞아요. 제 의욕이 좀 앞서긴 했어요. 빨리 동참하고 싶었거든요. 조언과 격려 감사드려요. 그런데 어제 어떤 도서 평가 앱(사실은 영화 평가가 더 주를 이루는)에서 어떤 분이 이 책에 대한 리뷰에, 부모 성 함께 쓰기 운동에 대한 냉소와 함께 어머니의 성도 결국은 외할아버지에게서 온 것을 모르냐며, 그렇게나 증오하는 한남의 성을 두개나 달고있는 꼴이란 이란 댓글을 다셨더라고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서 전 저의 결심을 더욱 공고히 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나아갈 길을 정했어요. 제 손을 잡고 이끌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락방님 the 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