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나아가는 중입니다 (겨울 에디션) - 세상과 소통하고 싶은 그녀의 생생하고 진솔한 이야기
조민 지음 / 참새책방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국의 딸 조민이 쓴 에세이다. 지은 죄(?)에 비해 형량이 너무 가혹했던 가족이다. 조민은 포르쉐를 몰고 다니지 않았다. 아빠가 물려준 아반떼를 타다가 자기가 번 돈으로 중고 피아트 500을 샀다. 피아트 500은 이탈리아의 국민차다. 그저 한국의 국민차 아반떼에서 그레이드했을 뿐이다.


옆그레이드 얘기가 나왔으니 잠깐 옆길로 새는 얘기도 해보자

외제차를 사는 이유가 무엇일까

최소한 두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첫째, 돈 자랑을 하고 싶은 거

둘째, 튀는 것을 좋아해서

첫째 이유라면 포르쉐를 사면 되고, 둘째 이유라면 피아트 500을 사면 된다.

나도 튀는 것을 좋아해서 외제차를 사고 싶기도 한데, 수리비가 걱정되어서 국산 단종차를 선호한다ㅋ 아니면 외제차이지만 국산차 이름으로 팔리는 것 혹은 외제와 국산의 경계에 있는 차들, 예를 들면 SM5(닛산 세피로, 닛산 티아나, 르노 라구나, 르노 래티튜드), SM3(닛산 블루버드, 르노 플루언스), SM7(닛산 티아나, 르노 탈리스만), SM6(르노 탈리스만), QM5(르노 콜레오스), QM6(르노 콜레오스), QM3(르노 캡처), XM3(르노 아르카나)

 

<밑줄>

내 인생은 내가 좌우할 수 있어야 한다. 남의 회의에 기대어 나의 행복을 결정한다면, 그것은 정말 불안정한 삶이 아닐까. 연애에도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나란히, 친구처럼 공평한 관계에서 서로에게 든든한 힘이 되어주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그런 사람을 만나 맞춰가는 삶을 살고 싶다. 서로에게 무언가 필요하면 자신을 희생하고 상대를 책임지는 동지를 만나고 싶다.

 

실은 아직도 아버지에게 섭섭한 게 있다. 차를 사준다면서 내 의견을 한 번도 물은 적이 없었다. 타시던 아반떼를 주시는 줄도 몰랐다. 게다가 그렇게 튀는 파란색 차!

아버지는 중년 남성들이 선호하는 검정색이나 회색차를 싫어하셨다. 오히려 튀는 색의 차를 좋아하셨다. 그전에 SM5가 녹색이었고, 지금 QM3는 초콜릿색이다. 그러나 나는 보다 보편적인 색을 원했다. -파란 차를 몰고 돌아다니니 사람들은 내 차만 보면 연락했다. “민아 어디 가냐?” “너 어디지? 파란 차 봤다!”하고

그런데 부전여전인지. 내가 지금 모는 차는 흔한 색 흔한 모델이 아니다. 친구들이 한눈에 알아보고 민초카라고 부르는 무지 귀엽고 예쁜 나의 민트색 차, 피아트.

 

슬픔이 파도처럼 밀려오는 사람이 있고 물에 잉크가 퍼지듯이 서서히 물드는 사람도 있는 거야

<헤어질 결심>(2022)이라는 영화에 나오는 대사다. 슬픔이라는 감정은 아주 천천히, 그리고 조금씩 나를 덮쳐오는 것 같다. 슬픔이 마치 할부처럼 찾아올 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C에서 21C까지 자동차 디자인 120년사 Carlife Books 5
전영선 지음 / 자동차생활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19세기 말에서 21세기 초까지 120년간의 자동차 디자인 변화를 읽을 수 있는 좋은 책이다. 그런데 나는 좀 다른 곳에 꽂혔다. 일본차가 어떻게 성장할 수 있었는가 알 수 있는 대목이 있다. 일본 자동차의 흥망성쇄는 일본 자체의 그것과 정확히 궤도를 같이 했다. 1,2차 세계대전에 시작하여 전쟁에서 패한 후 망할 뻔 했는데, 한국전쟁 때문에 기사회생해서 오늘날 세계 1위가 된 것이다.

일본은 그렇게 우리 덕을 크게 봤다. 그런데 여전히 진 빚을 안 갚으려 한다.

미쓰비시 중공업은 1917년 일본 최초의 대중 자동차 모델A를 만들며 자동차 사업에 뛰어 드었다. 그런데 2023년 대법 판결에 따라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배상금을 줘야하는데 안주고 버티고 있다.

 

<밑줄>

동아시아 자동차산업의 선두주자인 일본의 메이커들은 대부분 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설립되었다. 미쓰비시는 이미 1910년대부터 자동차를 생산했고 닛산과 토요타도 1930년대에 첫 모델을 내놓았다. 1936년 토요타가 선보인 AA는 크라이슬러의 에어플로를 본 딴 모델이었다.

이미 1920년대 일본에 진출한 크라이슬러, 포드, GM 등 미국의 빅31939년 일본에서 철수할 당시만 해도 일본의 자동차산업은 겨우 걸음마 단계에 불과했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뒤 일본에 몰아닥친 경제 파탄으로 일본의 자동차산업은 생사의 기로로 놓이게 됐다. 그러나 한국전쟁의 특수로 경제회복의 발판을 마련하였고, 1950년대 초 스즈키의 스즈라이트와 후지의 스바루 360 등 저렴한 경차를 등장시키면서 일본은 소형자동차 생산국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에 이르자 일본 고유 디자인의 소형 자동차가 본격적으로 탄생했다. 1961년에 데뷔한 토요타 퍼블리카는 일본식 디자인을 방향을 대표했고 이보다 몇 년 앞서 발표된 닛산의 닷선 블루버드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들은 사실 미국과 영국차의 디자인을 모방한 것이지만 일본 실정에 맞추어 크기를 줄인 것이다. 이후 일본은 소형 자동차 생산국가로서 경쟁력을 갖추었고, 1973~1975년의 석유파동을 타고 크게 발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 북 - 자동차 대백과사전 사이언스북스 대백과사전 9
자일스 채프먼 책임편집, 신동헌.류청희.정병선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13년 2월
평점 :
절판


롤스로이스, 벤틀리, 재규어, 랜드로버... 영국의 유명한 자동차 브랜드였다. 지금은 2차세계대전 패전국 독일, 과거 식민지 인도에 팔렸다. 따라서 안타깝지만 이런 책이라도 라떼는하면서 쓸 수밖에 없다. 영국 뒤를 밟고 있는 이탈리아를 생각하면서 위로를 받아야 할까. 여하튼 자동차에 대해선 이 책이 현재 국내에선 최고라고 생각한다. 더 좋은 책을 찾으려면 원서까지 넘어가야 할까.

 

1880년대 증기자동차로 시작해서 2010년 전기자동차까지 자동차의 역사가 총망라되었다. 컬러 사진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서 눈이 즐겁다.

 

1880년대~1920년대는 마차랑 다를 것이 없다. 사각형 차체에 바퀴가 앞뒤로 튀어 나왔다.

1930년대~1960년대는 유선형 차체가 주류이다. 이때부터 바퀴가 차체 안으로 들어간다.  

1970년대부터는 직선이 주류이다.

 

크기는 1950년대 미국차가 가장 컸다. 역대 최고의 호황을 자랑하는 듯.

일본은 1990년대를 제외하고 (마치 이때가 일본의 최고 호황인 듯) 주로 작은 차로 세계 시장에 파고 들었다.

 

<밑줄>

1947년 토요타 SA (995cc 4기통 93km)

1948년 닷선 DB (722cc 4기통 80km)

1958년 스바루 360 (356cc 2기통 97km)

1966년 토요타 코롤라 (1077cc 4기통 137km)

1967년 혼다 N360 (354cc 2기통 116km)

1977년 마쯔다 패밀리아 (985cc 4기통 129km)

1978년 미쓰비시 미라지 (1244cc 4기통 145km)

1983년 닛산 마치 (998cc 4기통 142km)

2005년 토요타 비츠 (1364cc 4기통 175km)

2001년 혼다 피트 (1497cc 4기통 171k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산차 계보 - 시발부터 쏘나타까지 Carlife Books 4
정리 외 지음 / 자동차생활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토요타, 폭스바겐, 현대자동차, 르노닛산미쓰비시, GM, 스텔란티스, 혼다, BMW, 아우디, 벤츠

 

작년(2023) 세계 자동차 판매 순위이다. 우리 현대차그룹이 전세계에 700만여대를 팔아서 토요타, 폭스바겐에 이어 3위라니 믿어지지 않는다.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들어온 차가 포드이고, 현대는 1967년부터 포드의 차를 조립해서 판매하던 회사에 불과했는데, 그 포드는 10위권에 들지도 못했다.

 

포드는 1903년에 설립되었고, 현대는 그로부터 64년 후에야 만들어졌다. 그런데 56년만에 훨씬 멀리 앞서 가고 있다. 대단한 현대, 대단한 한국이다.

 

1903년부터 1980년대까지 우리나라 자동차 역사를 꼼꼼하게 정리한 저자와 같이, 대단한 한국인들이다.


<밑줄>

1903년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자동차가 들어온 것은 고종황제의 어차 포드 T형이다. (그런데 포드는 1903A형을 처음으로 판매하기 시작하여 1908년에 T형을 시판했으니 다른 차인 듯) 자동차가 일반에 이용된 것은 일본과 합작한 오리이자동차상회가 1912년 포드 T형을 한 대 들여와 택시로 영업을 하면서부터다.

 

1961년 기아는 일본 혼다와 손잡고 모델 C-100을 들여와 처음으로 오토바이를 생산했다.

 

1962년 세바퀴 소형 화물차 K-360(마쓰다)을 시작으로 기아는 상용차 메이커로 자리 잡았다.

 

1962827일 준공식을 갖고 새나라 조립생산에 들어갔다. 일본 닛산의 1961년식 블루버드 P310형 부품을 도입해 조립한 차였다.

 

19665월 신진은 부평공장에서 조립 생산한 (토요타) 코로나를 선보였다.

 

2차 세계대전 후 일본의 각 자동차 메이커들은 생존하기 위해 선진 해외 메이커와 제휴하는 길을 택했다. 닛산은 오스틴, 이스즈는 힐만 그리고 히노는 르노와 합작했다. 토요타자동차공업은 한국전쟁에 따른 특수로 호황을 누리고 순수 국산기술의 승용차를 생산하기 위해 홀로 1950년경부터 개발을 시작하여 1953년 독자적인 엔진개발에 성공한다.

 

19675월 토요타의 최고급차인 크라운을 들여와 우리나라 고급차 시장의 문을 열었다.

 

196711월 소형차인 (토요타) 퍼블리카 생산에 들어갔다. 이로써 신진은 퍼블리카, 코로나, 크라운 등 소형차에서 중형차까지 고른 라인업을 갖추고.

 

퍼블리카는 오늘날 소형차 왕국 일본을 있게 한 출발점이다. (2기통 0.7L 28마력)

 

196712월 설립된 현대는 세계적인 자동차 메이커인 포드와 손잡고. 영국 코티나를 선택했다. 1968년 말에 등장.

 

1968년 아세아는 이태리 피아트사와 자본재 및 기술도입계약을 맺고 광주공장을 완공한 뒤, 19704월부터 피아트 124를 생산

 

19695월 신진자동차의 크라운에 대항해 현대는 독일 포드와 손잡고 포드 20M을 조립 생산했다.

 

1972GM코리아 부평공장에서 승용차 생산에 들어갔다. 이때 처음 내놓은 차가 시보레1700이다.

 

19731월 시장에 나온 레코드1900GM코리아가 신진 크라운의 후계차로 만든 새로운 중형 고급세단이었다. 레코드1900은 엔진, 보디 등 주요부품을 독일 오펠에서 모두 수입해 만들었다.

 

19751월 일본 마쓰다와 손잡은 기아가 파밀리아를 기본으로 한 배기량 1000cc도 안 되는 소형 승용차 브리사를 내놓았다.

 

1975GM코리아는 레코드 1900의 겉모양을 조금 바꾼 레코드 로얄을 내놓았다.

 

1976GM코리아는 시보레1700 뒤쪽을 왜건형으로 고친 캬라반. 앞모습을 바꾼 소형차 카미나.

 

1976년 첫 고유 모델 포니. 설계는 조르제토 쥬지아로. 미쓰비시의 4기통 1.3L 80마력 엔진.

 

1977년 새한자동차는 레코드 로얄의 겉모습을 바꾼 레코드 프리미어를 내놓았다.

 

1977년 대우가족인 된 새한자동차는 제미니를 내놓았다. 제미니는 독일 오펠이 만든 3세대 카데트를 일본 이스즈가 개량한 모델이다. 대우 르망의 뿌리가 되는 카데트는 GM이 월드카 계획에 의해 만들어진 차

 

1977년 현대 중형 모델 마크4

 

1978년 마크4에 맞서 새한 뉴레코드

 

1978년 새한 뉴레코드에 맞서 현대 독일 포드와 기술제휴로 그라나다 V6

 

1978년 새한자동차는 제미니의 뒷부분을 개조해 제미니 픽업 맥스

 

1979년 기아는 푸조와 손잡고 푸조604

 

1979년 기아 피아트132는 그 무렵 중형차 시장을 지키고 있었던 현대 코티나와 비슷하고 새한 뉴레코드보다는 좀 작은 크기였다.

 

1981년 기아는 미니버스 봉고 코치를 내놓았다. 기아가 제휴한 일본 마쓰다의 기술지원으로 탄생.

 

1982년 새한 제미니의 이름을 바꿔 맵시

 

1983년 대우 자체기술로 개발한 첫 엔진 XQ 맵시나

 

1983년 현대 첫 중형 고유모델 스텔라

 

1983년 대우 로얄 프린스/XQ

 

1985년 현대 국내 최초의 앞바퀴 굴림 엑셀

 

1986년 현대 앞바귀 쿨림 쓴 최고급 세단 그랜저

 

1986년 대우 월드카 르망 (오펠 카데트 베이스)

 

1987년 기아 월드카 프라이드 (마쯔다 개발)

 

1987년 기아 콩코드 (마쓰다 카펠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은 차 예찬 - 칼럼니스트 박규철의 자동차 미학 에세이
박규철 지음 / 도서출판 가지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자동차의 크기는 엔진의 실린더 수와 직결되어 있다. 실린더(기통)이 많으면 많을수록 엔진이 커지니 덩달아 자동차의 크기도 커질 수밖에 없다. 자동차의 실린더는 1개부터 20개까지 매우 다양한데 4기통이 주류이다.

https://namu.wiki/w/20%EA%B8%B0%ED%86%B5

 

3기통인 자동차는 대우 마티즈, 대우 티코, 쉐보레 더넥스트스파크(M400),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 쉐보레 트랙스, 쉐보레 말리부, 기아 모닝, 기아 레이, 기아 스토닉, 현대 캐스퍼, 폭스바겐 폴로, 미니 원, 볼보 XC40’ 등이다.

 

그런데 이 책을 통해 과거 2기통 이하의 자동차를 알게 되어 기쁘다. 특히 이 중에는 아직까지 판매되고 있는 차가 있으니 이탈리아의 피아트 500이다.

 

 

<밑줄>

프랑스 시트로엥 2CV (1948) 2기통 375cc 9마력 최고시속 63km

독일 BMW 이세타 (1955) 1기통 247cc 12마력 최고시속 83km

이탈리아 피아트 500 (1957) 2기통 479cc 15마력 최고시속 95km

스웨덴 사브 96 (1961) 2기통 841cc 38마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