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 ㅣ 패러독스 1
피에르 바야르 지음, 김병욱 옮김 / 여름언덕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죽는 날까지 책만 읽는다고 해도 모든 책을 다 읽을 수 없을 뿐더러 읽은 책조차 모두 기억할 수 없다면 차라리 책을 안 읽는 것이 책을 읽는 것보다 낫지 않을까?
그러나 죽는 날까지 밥만 먹는다고 해도 모든 밥을 다 먹을 수 없고 먹은 밥조차 모두 똥으로 나왔다고 해서 차라리 밥을 안 먹는 것이 밥을 먹는 것보다 낫다고 말할 수 없지 않은가?
이 책은 책읽기를 게을리 하는 사람들을 위로하기 위한 책이 아니라 책읽기에 집착하는 사람들에게 여유 있게 읽으라고 충고하는 책이다.
시간을 내서 읽을 만한 내용은 아니지만, 제목만큼은 돈 주고 사 놓을 만하다.
<밑줄>
학교에서 우리의 학생들은 책을 읽는 법, 즉 책에 대해 말하는 법은 배우지만 묘하게도 읽지 않은 책에 대해 의사를 표명하는 법은 그들의 학습 프로그램에서 찾아볼 수 없는데, 이는 어떤 책에 대해 말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 책을 읽어야 한다는 가정이 한 번도 의문시되지 않았음을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그들은 어떤 시험에서 “알지” 못하는 어떤 책에 대한 질문을 받고 자신들의 견해를 표명하기 위한 어떤 방도도 찾아낼 수 없을 때 혼란에 빠진다고 해서 어찌 놀랄 수 있겠는가?
그런 혼란은 책을 신성시하는 태도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역할을 교육이 충분히 수행하지 못해 ‘책을 꾸며낼’ 권리가 학생들에게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빚어지는 일이다. 텍스트에 대한 존중과 수정 불가능의 금기에 마비당하는데다 텍스트를 암송하거나 그것이 “담고 있는” 내용을 알아야 한다는 속박으로 인해, 너무나 많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내적 일탈 능력을 상실하고 상상력이 유익할 수 있는 상황에서도 자신의 상상력에 호소하는 것을 스스로 금해버린다.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해 통찰력 있게 말할 줄 안다는 것은 책들의 세계를 훨씬 웃도는 가치가 있다. 많은 작가들의 예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교양 전체는 담론과 그 대상 간의 연관을 끊고 자기 얘기를 하는 능력을 보이는 이들에게 열리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그것은 본질적인 것, 즉 창조의 세계를 그들에게 열어주는 것이다. 학생에게 창작력, 다시 말해 자기 창작력을 느끼게 해주는 것보다 더 좋은 선물이 어디 있겠는가? 교육의 피교육자들이 작품들에 대해 충분한 자유를 누리면서 그들 자신이 작가나 예술가가 되도록 도와주는 방향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