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버지의 해방일지
정지아 지음 / 창비 / 2022년 9월
평점 :
‘해방일지’
작년에 갑툭튀 유행한 말이다.
혹시나 사전에 있는 말일까 검색해보니 역시나 없는 말이다.
일단 말이 안된다.
수십년의 일제강점기를 지나 드디어 해방을 맞이했으니 ‘해방’이란 뭔가 역사적이고 극적인 단어일텐데 어찌 매일매일의 일상에 있단 말인가.
그런데 곰곰이 생각해보니 우리의 일상은 죽음이란 극적인 해방 전까진 끊임없는 지옥의 연속이다.
따라서 현실적인 해방이 필요하다.
그래서 오히려 해방엔 일지가 더 어울릴 수도 있단 생각을 했다.
아무튼, 2022년 상반기엔 박해영의 드라마 ‘나의 해방일지’가 있었고, 하반기엔 정지아의 소설 ‘아버지의 해방일지’가 있었으니, 해방의 나날이었다.
‘아버지의 해방일지’는 사실 아버지의 일기가 아니라 딸의 일기다. 그것도 아버지의 장례를 치르는 며칠간을 기록한 것에 불과하다. 그러나 그 일기를 통해 아버지는 해방을 맞는다. 단지 정지아 아버지만의 해방이 아니라 이 땅의 사회주의자, 아니 사회주의에 호감을 갖는 사람들 모두에게 해방이 될 것이다.
<밑줄>
사회주의자고 뭐고 남자란 죄 야들야들한 암컷 앞에서 흐물흐물 녹아나는 모양이었다
광주교도소에서 함께 복역한 동지 한 사람이 떠르르한 지주의 자식이었다. 그에게는 늘 사식이 풍성하게 들어왔다. 그 사식을 벤소에 숨겨놓고 돼지처럼 저 혼자 먹었다고, 진짜배기 혁명가가 아니라고, 아버지는 두고두고 흉을 보았다.
“여호와의 증인들이 한 감방에 있었는디 갸들은 지 혼자 묵들 않애야. 사식 넣어주는 사람 한나 읎는 가난뱅이들한티 다 노놔주드라. 단 한멩도 빠짐없이 글드랑게. 종교가 사상보담 한질 윈갑서야”
아버지는 시골 태생이긴 하지만 농사를 지어본 적이 없었다. 노동자와 농민이 주인 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싸웠지만 정작 자신은 노동과 친하지 않았던 것이다. 아버지에게 노동은 혁명보다 고통스러웠다. 얼어 죽고 굶어 죽고 총 맞아 죽는다는 전직 빨치산이 고추밭 김매는 두시간을 참지 못해 쪼르르 달려와 맥주컵으로 소주를 원샷할 때마다 나는 내심 비웃으며 생각했다. 혁명가와 인내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인내할 줄 아는 자는 혁명가가 되지 않는다는 게 고등학생 무렵의 내 결론이었다.
사람은 힘들 때 가장 믿거나 가장 만만한 사람을 찾는다. 어느 쪽이든 결과는 마찬가지다. 힘들 때 도움받은 그 마음을 평생 간직하는 사람은 열에 하나도 되지 않는다. 대개는 도움을 준 사람보다 도움을 받은 사람이 그 은혜를 먼저 잊어버린다. 굳이 뭘 바라고 도운 것은 아니나 잊어버린 그 마음이 서운해서 도움 준 사람들은 상처를 받는다. 대다수의 사람은 그렇다. 그러나 사회주의자 아버지는 그렇다한들 상처받지 않았다. 그들이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은 사회의 구조적 모순 탓이고, 그래서 더더욱 혁명이 필요하다고 믿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