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페미니즘 북클럽 ‘레드스타킹’은 한 달에 한 번씩 여성주의 영화를 봅니다. 한 달 동안 책을 다 읽고 나면 그 책과 관련된 주제의 여성주의 영화를 보는 거죠. 어제가 바로 영화를 보는 날이었습니다. 이날을 ‘무비 나이트(Movie Night)라고 부릅니다.

 

 

 

 

 

 

 

 

 

 

어제 본 영화는 넷플릭스(Netflix)에 공개된 두 편의 다큐멘터리 형식의 단편 영화입니다. <피리어드: 더 패드 프로젝트(Period: End of Sentence)><From Iron Girls To Leftover Women>입니다.

 

 

어제 같은 월요일은 ‘월요병’이 생기는 날이죠. 그렇지만 어제 출근을 하지 않아서 월요병에 시달리는 일은 없었어요. 어제 오전에 네 시간짜리 민방위 교육을 받았어요. 오후에는 할 일이 없었습니다. 일요일 같은 월요일을 보내는 기분이었습니다. 집에서만 시간을 보내기가 아까워서 일찍 ‘스몰토크’로 향했습니다. ‘스몰토크’는 레드스타킹 독서 모임, 영화 모임을 진행하는 장소이며 각종 스터디 모임 등을 하기에 아주 좋은 카페입니다. 어제는 카페 사장님이 출근하지 않는 날이라서 제가 카페 문을 직접 열었어요. 사장님에게 미리 허락을 받았습니다. 제가 사장님 대신에 카페 장사를 하는 건 아니고요, 저녁에 있을 행사를 준비할 겸 카페에서 책 읽으려고 일찍 문 열었어요.

 

카페에 가기 전에 대구시청 주변의 헌책방과 알라딘 서점을 먼저 들렀어요. 지난주에 알라딘에 주문한 책들이 서점에 따로 보관되어 있어서, 그거 받으려고 갔어요. 한 시간 정도 헌책방과 알라딘 서점을 둘러보고 난 뒤에 카페에 도착하니까 오후 4시경이었어요. 카페에 도착하자마자 저녁 행사를 위해 탁자와 의자들을 배치했어요. 어렵고 힘든 일이 아니라서 저 혼자서 할 수 있었습니다.

 

 

 

 

 

 

 

 

 

 

 

 

 

 

 

 

 

 

 

 

 

 

 

 

 

 

 

 

 

 

 

 

 

 

* 이지언 《도나 해러웨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 [품절] 피터 커스 《ISADORA, A Sensational Life》 (홍익출판사, 2003)

* 라나 톰슨 《자궁의 역사》 (아침이슬, 2001)

* [절판, No Image] 《일본대표단편선 3》 (고려원, 1996)

 

 

 

 

행사 준비를 끝낸 뒤에 저 혼자만의 시간을 누렸습니다. 혼자서 카페에 책을 읽어보는 게 소원이었는데요, 드디어 어제 그날이 이루어졌습니다. 조용한 분위기의 장소에서 책을 읽으니까 몰입이 잘 되었습니다. 알라딘 온라인으로 주문한 책은 영국의 무용수 이사도라 던컨(Isadora Duncan) 평전인 《ISADORA, A Sensational Life》와 이제는 과거 속 이름만 남게 된 대형 출판사 고려원에서 나온 《일본대표단편선 3》, 그리고 페미니스트 과학철학자인 도나 해러웨이(Donna Jeanne Haraway)의 사상을 요약 정리한 《도나 해러웨이》입니다. 어제 마침 알라딘 서점에 《자궁의 역사》라는 책 한 권을 발견해서 사들였습니다.

 

 

 

 

 

 

오후 5시 조금 지나서 레드스타킹 핵심 멤버인 hippie-yolo(히피 욜로)이 오셨어요. 레드스타킹 모임에 참여하고 싶은 분은 이 히피 욜로 님의 인스타그램에 DM으로 신청하면 됩니다(깨알 홍보). 저녁 행사 때 먹을 간식들을 함께 사러 갔어요. 그리고 의자를 다시 배치했어요. 처음에 저는 탁자를 치우고 의자만 세워서 놓았어요(Before 사진 참조). 히피 욜로 님은 영화 보는 사람들이 편하게 마주 보면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의자 배열 한 가운데에 커다란 탁자 하나를 놓자고 제안했습니다. 히피 욜로 님이 제안한 방식대로 탁자와 의자를 배치했습니다(After 사진 참조). 제가 시도했던 의자 배열 보다 좋았습니다. 저는 또 한 번 히피 욜로 님에게 한 수 배웠습니다.

 

 

 

 

 

오후 7시부터 외부 손님들이 오기 시작했습니다. 레드스타킹이 주최한 공식 모임이나 행사 관련 포스터를 제작하는 멤버가 ‘어른들을 위한 음료’를 무려 5캔이나 사왔어요. 영화가 시작되기 전부터 맥주를 마셨어요. 다음 번 영화 행사는 ‘무비 나이트’가 아니라 ‘무비 앤 알코올(M&A) 나이트’가 될 것 같군요.

 

 

첫 번째로 본 영화는 <피리어드: 더 패드 프로젝트>였습니다. 이 영화는 올해 열린 제91회 미국 아카데미상의 ‘단편 다큐멘터리 영화상’을 수상한 작품입니다. 이 영화에 나오는 인도 여성들은 가난한 농촌에서 생활합니다. 그녀들은 위생적인 생리대를 사보거나 사용해본 적이 없습니다. 인도에는 여성의 생리를 금기로 여기는 문화가 남아 있습니다. 인도 여성들은 ‘생리’라는 단어조차 입으로 꺼내지 못합니다. 영화 초반부에 인터뷰어(영화감독으로 추정됩니다)는 여학생에게 ‘생리’에 대해서 질문을 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이때 여학생은 아주 난감한 표정을 지은 채 대답을 하지 못합니다. 지금도 그 여학생의 표정을 잊을 수 없습니다. 난감한 표정이라기보다는 두려움을 느끼는 표정이었습니다. 여학생의 두 눈에 ‘생리’에 대해서 말을 했다간 신에게 벌을 받을 수 있다는 듯한 두려움이 보였습니다.

 

 

 

 

 

 

 

 

 

 

 

 

 

 

 

 

 

 

 

* 엘리즈 티예보 《이것은 나의 피》 (클, 2018)

* 김보람 《생리 공감》 (행성B, 2018)

 

 

 

인도의 상당수 힌두교 사원은 생리 중인 여성의 출입을 막고 있습니다. 생리하는 여성이 ‘깨끗하지 못하다’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인도 성인 여성들조차도 생리를 불결하면서도 부끄러운 신체 현상으로 생각합니다. 또 생리를 직접적으로 언급하거나 생리 중에 사원에 출입하면 신을 노하게 하여 재앙을 받을 거라고 믿습니다.

 

더 놀라운 건 영화 장면으로 나온 인도 남성들의 반응입니다. 그들은 ‘생리대(패드)’가 무슨 용도로 쓰는 건지 모릅니다. 어떤 인도 남성은 생리대가 ‘하기스 기저귀’가 아니냐고 말합니다. 생리대의 필요성을 느낀 인도 여성들은 친환경적이면서도 친서민적인 생리대를 직접 만들어 팔기로 결심합니다. 이것이 바로 ‘패드 프로젝트’입니다. 생리대의 재료는 인도에서 자라는 부드러운 목화 솜털입니다. ‘패드 프로젝트’에 참가한 여성들은 직접 기계를 다루면서 생리대를 제작합니다. 완성된 생리대는 ‘플라이(fly)라는 이름으로 판매됩니다. ‘패드 프로젝트’ 참가자들은 여성들이 사는 집에 직접 방문해서 홍보하거나 한 자리에 모인 여성들 앞에 생리대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주면서 홍보합니다. ‘패드 프로젝트’ 참가자들은 처음으로 ‘경제 활동’을 경험합니다. ‘패드 프로젝트’가 참가한 여성들은 그동안 집에서 ‘무급 가나 노동’만 하면서 지냈거든요. 생리대를 판매한 여성들은 각자의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여성은 경찰이 되는 게 꿈(경찰이 되면 여성을 괴롭히는 남성을 붙잡아서 채찍으로 때려주고 싶다고 말합니다)입니다. 경찰은 인도 여성의 경제적 ·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켜주는 직업입니다.

 

레드스타킹 여성 멤버는 생리대 이름이 너무 좋다고 말했습니다. ‘플라이’가 ‘날다’라는 뜻 이외에도 ‘자유’라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플라이’를 사용하는 여성들과 ‘플라이’를 판매하는 여성들 모두 자유와 해방감을 만끽합니다. <피리어드: 더 패드 트로젝트>는 생리대 하나가 인도 마을 사람들의 인식을 변화하게 만드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 박이은실 《월경의 정치학》 (동녘, 2015)

 

 

 

저는 영화를 보면서 인도 사람들의 인식 변화에 긍정적으로 느껴졌지만, 인도 여성들이 ‘날개’를 달아 ‘자유’를 누리기까지 상당히 많은 시간이 걸릴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성을 억압하는 종교의 권위와 남성 중심 가부장제의 힘이 합친 거대한 카르텔을 깨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월경의 정치학》이 인용한 어느 문화인류학자의 주장에 따르면 여성의 생리를 금기로 여기는 종교 문화는 여성을 억압하는 요인이 아니라, 여성을 ‘해방’해준다고 합니다. 생리 중인 여성들은 사원에 출입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소한 집안일조차 하지 못합니다. 그렇게 되면 여성들은 집안일의 중압감에 벗어나 휴식을 취할 수 있고, 집에 있는 다른 여성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면서 친교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럴 듯한 견해이지만, 생리 중인 여성들이 제대로 쉴 수 있는 기간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들이 편하게 쉴 수 있다고 해도 ‘일시적인’ 해방에 불과합니다.

 

 

 

 

 

 

 

 

 

 

 

 

 

 

 

 

 

 

* 슐람미스 샤하르 《제4신분, 중세 여성의 역사》 (나남출판, 2010)

* [레드스타킹 선정 도서] 실비아 페데리치 《캘리번과 마녀》 (갈무리, 2011)

 

 

 

 

종교가 점진적으로 여성을 억압하는 구습을 타파하고, 여성의 권익 신장에 노력하는 건 좋은 일입니다. 그렇지만 이에 대한 백래시(backlash)가 만만치 않을 것입니다. 역사적으로 기득권을 가진 종교의 주류 세력은 변화를 지향하려는 다른 종교 세력을 환영하지 않았습니다. 종교의 주류 세력은 비주류 세력의 힘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그들에게 ‘이단’이라는 딱지를 붙이면서 공격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종교 대립이 심했던 유럽 중세 시대에 이단 종파로 몰린 ‘카타리 파(Cathari)입니다. 카타리 파는 여성에게도 사제 서품을 했으며, 여성들의 공동체를 만들어 함께 생활했으며 여성 사제들을 양성했습니다. 카타리 파가 공식적으로 이단 종파로 규정되기 전까지 카타리 파에 가입한 신자의 60% 이상은 여성이었습니다. 슐람미스 사하르(Shulamith Shahar)《제4신분, 중세 여성의 역사》실비아 페데리치(Silvia Federici)《캘리번과 마녀》는 사회적 개혁을 요구하는 여성 신자들에게 ‘이단’이라는 누명을 씌워 ‘마녀’로 만든 기독교의 탄압 사례를 잘 설명한 책입니다.

 

두 번째로 본 <From Iron Girls To Leftover Women>은 중국 여성 문제를 다룬 영화입니다. 1966년에 문화대혁명이 일어나면서 ‘여성이 하늘의 절반을 받치고 있다’는 구호가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문화대혁명을 주도한 마오쩌둥(毛澤東)은 남성의 가부장적 권력을 혁명으로 척결해야 할 권력 중 하나로 봤습니다. 마오쩌둥은 국가 경제력을 향상하기 위해 여성 역시 국가를 위해 일하는 ‘인민’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리하여 중국 여성의 사회적 참여 기회를 늘리기 위해 각종 법적 제도를 마련했고, ‘여성은 곧 국력’이라는 사실을 부각한 ‘강한 여성’ 이미지를 선전했습니다. 그러나 중국의 사회주의가 외친 ‘여성 해방’은 헛된 구호로 그치고 말았습니다. 문화대혁명 이후의 중국 여성들은 여전히 가사 노동을 책임지고 있었고, 국가는 인구수를 조절한다는 이유로 중국 여성들의 출산 능력을 통제했습니다. 1980년대 중국 정부의 ‘한 자녀가정 캠페인’이 대대적으로 실행한 이후로 중국 인구수가 감소하기 시작했고,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성비 불균형 문제가 나타났습니다. 현재 중국에서는 배우자를 찾지 못한 결혼 적령기의 남성들을 위한 ‘결혼 시장(相亲角, 샹친쟈오)이 성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결혼하지 못한 남성을 자식으로 둔 노부모들은 아들의 프로필이 적힌 종이를 들고 공원에 갑니다. 자식의 결혼 상대가 오기를 기다립니다. <From Iron Girls To Leftover Women>의 초반부는 결혼 시장의 풍경을 보여줍니다.

 

 

 

 

 

 

 

 

 

 

 

 

 

 

 

 

 

 

* [레드스타킹 선정 도서] 마리아 미즈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갈무리, 2014)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의 6장 ‘민족해방과 여성해방’ 편은 사회주의 국가들(중국, 구 소련, 베트남)이 내세웠던 여성 정책과 그곳 여성들이 현실적으로 부닥친 여러 가지 문제들을 보여주면서 한때 ‘여성 해방’을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은 사회주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한 글입니다. 이 글은 <From Iron Girls To Leftover Women>을 보기 전에 읽으셔도 좋습니다. 여성을 위한 중국 사회주의적 정책이 나온 배경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 주부터 《경계 없는 페미니즘》을 읽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19-03-19 20: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나라에도 생리대를 못 사는 아이들이 있다고 들었는데
지금은 어느 정도 개선이 됐는지 모르겠다.
인도는 그렇다쳐도 OECD 가입국이라면서 이게 사실인가
의아스럽더군.
모임 분위기와 달리 영화 보면서 좀 착잡했겠다.

cyrus 2019-03-20 12:36   좋아요 0 | URL
영화에 보면 스마트폰을 들고 다니는 인도 여성들의 모습이 나와요. 일상용품이나 다름없는 스마트폰이 보급되어 있는데도 생리대가 없는 인도의 현실이 웃펐습니다... ^^;;

레삭매냐 2019-03-19 21: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싸이러스 브로는 맥쥬 드시면 안되지
않았나요? ㅋㅋㅋ

모임에 열심으로 임하는 뜨거운 열정이
느껴지는 것 같아 참으로 보기 좋습네다.

cyrus 2019-03-20 12:37   좋아요 0 | URL
오랜만에 낮술을 하고 싶어서 점심 때 친구들이랑 한 잔, 저녁에는 두 잔 마셨어요. 이 정도면 적게 마신 겁니다... ^^;;

목나무 2019-03-19 23: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두 영화 모두 저에게는 생소하기만 한데... 리뷰글 보니 한번 보고싶네요!
그나저나 혼자가 아닌 여럿이 즐기는 M&A 나이트라니요! 진짜 부럽습니다.~ ^^

cyrus 2019-03-20 12:39   좋아요 1 | URL
<피리어드: 더 패드 프로젝트>는 한글 자막이 있어요. <From Iron Girls To Leftover Women>은 한글 자막이 없어서 영어 자막으로 봐야 해요. 넷플렉스에 가입하면 한 달 동안 영화를 무료로 볼 수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