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를 부어놓았던 기초공사의 양생이 끝났다. 보통 콘크리트를 말릴 때 물을 뿌려가며 진행한다고 한다.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다행히 물을 뿌리지 않고도 요즘 뜨거운 땡볕에 작은 균열 하나 없이 잘 말랐다. 

 

임시전기도 들어왔다. 보증금 10만원, 전기시설부담금 24만 2천원. 총 34만 2천원이 들었다. 전봇대는 언제 놓아주는지....

관정을 팠던 자리도 이제 펌프를 놓고 멘홀을 설치해 일단락됐다. 아쉬운 점은 제트모터를 달았음에도 물의 세기가 흡족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40여 미터의 거리에 경사까지 있어 물이 집까지 잘 올라갈지 걱정이다. 일단 한 번 시도해보고 너무 수압이 약하면 중간에 물탱크를 하나 놓고 펌프를 하나 집 안에 설치해야 할 듯싶다. 이럴바엔 차라리 대공을 팔 걸 그랬나 하는 생각도 든다. 아쉬움이 큰 부분이다.

조경을 알아보고 있다. 진입로와 집 뒤, 그리고 옆 경계선까지 120미터에 울타리로 나무를, 경사면에는 잔디를 깔려고 한다. 최근 측백나무가 귀해 값이 엄청 뛰었다고 한다. 수고 1미터 50이상에 폭이 1미터 가까이 되는 것은 그루당 2만 5천원까지 올랐다고 한다. 빽빽이 심지 않는다 하더라도 150주 정도는 심어야 하는데 나무값만 장난이 아니다. 스트로브 잣나무가 더 저렴하다고 해도 견적이 450만원이 나왔다. 물론 심어주는 것까지 포함해서다. 소나무 한 그루 값이라고 말하지만 예산 범위 밖이다. 아무래도 발품을 더 팔아야 할 듯 싶다. 그리고 다 맡기는 것이 아니라 직접 심는 방법도 고민해봐야 겠다. 

가장 고민이 되는 부분은 집 뒤쪽이다. 아까시 나무와 잡목으로 둘어쳐져 있는데 조경하시는 분은 겨울에 보기 흉하다고 이 부분도 모두 일괄적으로 울타리 나무를 치는게 좋다고 한다. 개인적으론 울타리로 사방을 둘러치는 것보다는 자연의 변화를 느낄 수 있도록 집 뒤 쪽은 울타리를 비어두는 것도 괜찮다는 생각이다. 물론 겨울엔 다소 을씨년스럽다 하더라도 말이다. 견적을 내는 조경업자와의 의견차이도 일단 상황에 대한 결정을 보류하게 만들었다.

물과 기초공사의 경험으로 전문가의 말을 그대로 수용하는 자세는 버리기로 했다. 내가 살아가야 할 곳이니, 나의 의견이 고스란히는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녹아들어가는게 낫겠다 싶다. 물론 고집할 필요는 없지만 말이다. 급하게 가기보단 차근차근 가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7.5.29

 

  

집이 들어갈 터를 닦고, 대지로 쓰일 곳을 대충 정리했다. 그런데 막상 땅을 평탄화하다보니 토목설계대로 모양이 나올 성 싶지않다. 물론 토목설계대로 맞출 수는 있지만, 그렇게 하면 쓰임새가 별로다. 지형 그대로를 살리겠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지만, 그래도 쓰임새를 고려하지 않을 수는 없다. 토목공사를 많이 해 본 사람과 미리 현장을 통해 의견을 들어봤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설계도면과 현실 사이 절충안을 마련해봐야 할 듯싶다. 설계도면을 충실히 반영하되 쓰임새를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묘책이 나왔으면 좋겠다.

 

  

집터 공사를 위한 작업이 들어갔다. 작업을 계속해서 지켜볼 수 없는 관계로 공사하시는 분에게 일임하고 아침, 저녁으로 잠깐 틈을 내 진행상황을 점검한다. 그런데... 콘크리트 펌프차를 불러 콘크리트를 붓고 기초공사를 끝낸 상황을 보니, 걱정이 앞선다. 지반이 단단하다면서 석분다짐과 버림콘크리트 없이 필름과 스치로폼, 철근콘크리트 작업을 한 것이다. 이거, 이거, 정말 문제없을까. 심히 걱정된다. 그렇다고 다시 깨부수고 작업을 원점부터 할 수도 없고...

(매트)기초인데 만약 땅이 겨울에 얼었다 녹으며 부풀기라도 하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일임한다는 것. 그 상대에 따라 참 속 편한 일일수도, 속 상할 일일 수도 있겠다. ㅜㅜ

기초 주위 배수공사를 잘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걱정을 삭인다.

  

기초를 치면서 전선과 통신선은 지중화를 위한 사전작업을 해놨다. 기존에 있던 전봇대와 집까지의 거리가 40미터 쯤 된데다 경사가 있어 지중화 작업이 쉽지않아 전봇대를 하나 신청하기로 했다. 예상 밖의 설비다.

 

집짓기 초반. 관정에서 시작해 기초공사까지 마음대로 되는게 없다.ㅜㅜ

앞으로 넘어야 할 산도 한 두 개가 아닌데. 대지 정리, 조경 공사, 농장 만들기....

비용이 충분치 않다는 것도 문제의 한 부분인 것 같다. 그럼에도 비용을 생각지 말고 기본에 충실해 나갈 수 있기를 희망해본다. 웃으며 살자고 짓는 집인데 울상으로 지어서야 되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5.25

토목전 모습

 

토목 시작-칡나무 뿌리들이 뒤엉켜 있다.

진입로가 생겼다.  

 

 

건축물 착공 신고를 내고 허가가 나왔다. 착공 신고를 하기 위해선 안전관리자를 두어야 한다. 올해부터 개인이 짓는 소규모 주택에도 필수적으로 안전관리자를 두도록 하고 있다. 건축과 관련된 자격증을 가진 사람이 자격조건이다. 안전을 위해서 필요한 조치라는 것은 알겠는데, 개인이 짓는 조그마한 집에 관리자를 두고 건축을 한다는 것은 아무래도 배꼽이 더 큰 일 같다. 최소 석 달 정도는 고용을 해야 하기에 그 비용 또한 만만치않기 때문이다.

착공신고를 내고 바로 다음날부터 토목공사에 들어갔다. 일단 진입로 쪽 아까시 나무를 비롯해 잡목들을 정리하고 길을 내고, 집이 들어갈 자리를 정돈하는 작업이 시작됐다. 하루종일 지켜볼 수 없는 관계로 일이 시작되는 것만 보고 하루 일과가 끝날 쯤 돌아왔다. 그런데. 아뿔싸! 정자를 지을 생각으로 남겨두고 싶었던 큰 나무 한 그루가 사라져버렸다. 작업관리자에게 말을 해두었는데 포크레인 기사에게 전달이 되지 않아 파 버린 것이다. ㅜㅜ

허허벌판 같은 곳에서 그나마 오아시스처럼 느껴지는 그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했던 나무가 사라지니 속이 쓰리다. 하지만 이미 베어버린 것을 어찌하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7.5.8

 

 

 

 

측량이 시작됐다. 옆의 땅이 과수원과 밭, 농로다. 원래 옆 땅 주인과의 갈등을 피하려면 측량을 하는 날 참관을 하도록 요청하는 것이 좋다. 만약 참관을 요청했는데도 참관하지 않는다면 측량 과정을 촬영해 증거자료로 쓰면 좋다. 요즘은 위성으로 측량을 하기 때문에 옛날처럼 측량할 때마다 다른 경우가 거의 없다.

실제 이런 경우도 있다고 한다. 옆땅 주인이 자신이 없을 때 측량을 했다며 인정할 수 없다고 해 곤란에 처한 건축주가 그럼 재측량을 해서 단 1라도 변동이 있으면 내가 측량비를 내고 똑같다면 당신이 측량비를 내도록 하자.”고 제안을 했다. 옆땅 주인은 동의를 하고 재측량을 했지만 단 한 치의 오차도 없었다고 한다. 물론 측량비는 옆땅 주인이 냈고, 아무 문제없이 공사를 진행할 수 있었다.

난 몇십 차이나는 정도라면 내가 손해를 보겠다는 생각으로 그냥 옆 땅 주인의 참관없이 측량을 진행했다. 그런데 웬걸. 실제 사용하고 있는 경계선보다 1m 50정도는 옆 땅으로 더 들어가 있었다. 그냥 포기하기에는 땅의 크기가 제법 넓다. 할 수 없이 옆 땅 주인을 수소문했다. 처음으로 마을을 찾아 이장에게 인사도 하고, 도움을 얻었다. 이장께서는 젊은 사람이 마을에 들어온다며 즐거워하는 표정. 그리고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나선다. 자신이 12년간 이장을 해왔다는 말과 함께...(아무래도 숨은 뜻이 ^^;)

어쨌든. 땅 주인을 찾았다. 마을 주민이 아니라 읍내에 나가 있는 사람이었다. 통화를 시도했다. 그런데 연세가 드신 분들이라 이야기가 잘 돼지 않았다. 주인의 자제분이 이야기를 하겠다고 해서 직접 현장에서 만났다. 다행히 이분이 원래 이 땅의 경계를 어느 정도 알고 있었기에 큰 문제없이 해결할 수 있었다. 원래 옆 땅과 집을 지으려는 땅이 자신의 할아버지께서 가지고 있던 한 필지였는데, 사정으로 쪼개어 팔았던 것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자신도 예전에 측량을 했기 때문에 대략 경계를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오히려 지금 땅을 임대해주고 있는데 혹시 문제가 생기면 자신에게 연락을 하라는 친절까지 베풀었다. 자신도 옆 땅에 집을 짓고 싶은데 주위에 묘지가 많아 꺼려했는데 집이 생긴다면 잘 됐다는 말과 함께^^.

측량도 끝났고, 이제 착공계를 내고 공사에 들어가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7. 5, 7

 

한 달을 꽉 채우고 인·허가가 나왔다. ·허가가 나온 후 바로 측량을 신청했다. 측량은 토지지적공사에서 한다. 토목설계사무소에서 하는 측량은 공식적으로 인정받을 수 없다. 옆 땅의 주인과 경계로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해결할 수 있으려면 공적 절차가 중요하다. 그런데 측량이 밀려서 거의 20일 후에나 받게 됐다. 5월초 연휴가 끼면서 뒤로 더 밀려났다.

 

측량하러 오기 전 먼저 샘을 파기로 했다. 옆집 과수원 아저씨가 이곳이 물이 귀하다고 해서 대공을 팔 생각이었다. 그런데 관정을 맡긴 곳에서 소공으로도 물이 나올 것이라고 한다. 일단 맡겨보기로 했다. 관정을 맡겨서 물이 나오지 않으면 비용은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

 

 

 

관정을 파기로 약속한 날. 오전 9시부터 시작한 작업이 점심시간을 넘어 3시 가까이 접어들었다. 파이프가 들어간 깊이는 26미터. 물이 조금씩 나온다. 혹시 몰라 파이프 한 개를(3미터) 더 집어넣었다. 29미터 깊이. 모터를 대고 물을 퍼 올렸다. 기세좋게 올라오던 물이 1분쯤 지나자 줄어들면서 일정량을 유지했다. 그런데 시원하게 쏟아지지 않고 나오는 것이 영 시원찮다. 관정을 한 업체의 말로는 일 10톤은 충분히 된다고 하는데.... 글쎄. 아무튼 이정도 물량, 수압으로는 경사가 있는 집터까지 끌고 올라가는게 쉽지 않을 것 같다. 그렇다고 일 10톤 물량이라는데 다시 파라고 요구할 수도 없고... 난감했다. 일단 파이프 안에 제트모터를 추가로 달기로 하고 오늘 작업을 마감했다. 토목 공사를 할 때 포크레인이 들어오면 맨홀 등을 가져와 작업을 마무리 짓기로 약속했다. 제트모터를 달고 수압이 좀 세져 물 걱정없이 지낼 수 있기를 희망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