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내상자 미야베 월드 2막
미야베 미유키 지음, 이규원 옮김 / 북스피어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미야베 미유키 에도 시대 소설 《인내상자》가 나왔다고 생각했는데, 책을 보니 이 소설은 1996년에 나온 거였다. 다른 소설이 언제 나왔는지 모르겠지만, 이게 일찍 나왔다는 생각은 든다. 이 이야기에서 나아간 게 미시마야 변죄괴담은 아닐지. 유미노스케인 듯한 아이도 보이지만. 여기엔 짧은 이야기가 여덟편 담겼다. <인내상자> <유괴> <도피> <십육야 해골> <무덤까지> <음모> <저울> <스나무라 간척지>다. 미야베 미유키가 쓰는 에도 시대 이야기에는 거의 서민이 나온다. 에도에는 장사하는 사람이 많았던가. 가난한 집 아이는 그런 곳으로 고용살이를 갔구나. 장사하는 집 아이도 다른 데서 일을 배웠다.


 앞에서 미시마야 변조괴담 이야기를 잠깐 했는데, 여기 실린 이야기는 흑백방에서 남한테 말 못할 이야기를 듣는 오치카나 도미지로한테 하기에 딱 어울린다. 사람은 누구나 남한테 말 못할 일이 있을까. 창피해서 말 못할 일이나 죄책감 때문에 말 못할 일 있겠다. 이런 생각하고 난 그런 거 없는데 했다. 다시 생각하니 아주 없지 않은 것 같다. 그때는 아무한테도 말하지 않을 거야 하고, 시간이 가면 그걸 잊어버린다. 어떤 건 다른 것 때문에 생각나기도 한다. 그걸 떠올리고 그때 그런 일이 있었구나 한다. 남한테 말하고 싶지 않은 건 안 하는 게 낫다. 현실에는 말하고 버리고 듣고 버리는 흑백방은 없으니.


 여기 담긴 소설에서 사람이 아닌 귀신이 나온다고 할 수 있는 건 <십육야 해골>이구나. 그 귀신은 오래전에 죽임 당한 사람이 아니고 그 집 사람일지도. 에도 시대에는 한번 불이 나면 많은 곳이 탔다. 조선 시대에도 불이 나면 피해가 컸다고 하던데. <인내상자>에서는 과자 가게에 불이 났다. 오코마 할아버지는 죽고 어머니는 연기를 많이 마셔서 의식이 없었다. 그 불은 누군가 지른 거였다. 과자 가게에는 열면 안 되는 ‘인내상자’가 있었는데, 그건 대대로 당주가 물려받았다. 인내상자를 열면 벌이 내린다고. 아버지는 열었을까. 어머니는. 오코마는 인내상자를 열지 않겠다고 한다. 어떤 비밀을 묻어두겠다는 말일지도.


 엄마보다 엄마처럼 자신을 돌봐준 사람을 찾아가고 싶은 고이치로는 다다미 장인 미노키치한테 자신을 <유괴> 해달라고 한다. 그 일로 고이치로 아버지가 하는 일이 드러나고 집안은 망한다. 그 뒤 고이치로는 엄마하고 잘 살았겠지. 그러기를 바란다. <도피>에는 우산을 만들어 파는 무사가 가진 비밀이 나왔다. <무덤까지>를 보면 사람은 저마다 말 못할 일이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 부모 없는 아이를 데려다 기른 사람한테는 숨기는 일이 있었다. 거기 나오는 사람은 몰라도 책을 보는 사람은 그걸 아는구나. 이건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음모>는 한사람이 여러 사람인 것처럼 느껴지는 이야기다. 사람은 다 이런저런 면이 있다. 좋은 면 안 좋은 면 다 그 사람이다.


 남은 두 편 <저울>과 <스나무라 간척지>에도 가까운 사람한테 말하지 못하는 이야기가 나온다. 어떤 일은 무덤까지 가져가는 게 낫겠다.




희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3-10-20 08: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10-21 00: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어떤 일이 일어나도

안 좋은 생각보다 좋은 생각하는 게 낫다지

그건 참 쉬운 일이 아니야


좋은 생각이나 긍정하는 마음은

사람한테 중요해


괴로운 일 슬픈 일이 일어나면

바로 좋은 생각 못하겠지

그럴 땐 거기에 빠질 수밖에 없어


시간이 가고 날씨가 좋으면

세상이 좋게 보이기도 하겠지

그때 다시 좋은 생각해




희선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페넬로페 2023-10-19 08:5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좋은 것보다는 안 좋은것으로,
긍정보다는 부정적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그것을 바꿔 생각하기 위해서는 연습이 필요할 것 같아요.
자꾸 연습하다보면 언젠가는 습관이 될 수도 있을거예요.
마음도 몸과 비슷하지 않을까요!

희선 2023-10-21 00:40   좋아요 1 | URL
사람은 본래 안 좋게 생각하기가 더 쉽기는 한데, 세상에 그런 사람만 있으면 어둡겠습니다 그러지 않는 사람도 있어서 다행입니다 그런 사람도 안 좋게 생각하는 일 아주 없지는 않겠지요 좋게 생각하기도 연습하면 조금은 그렇게 될 것 같습니다 해야 할 텐데... 그렇게 생각하면서도 다시 안 좋게 생각하네요


희선

새파랑 2023-10-19 10:0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항상 긍정적으로 생각하는게 쉽지는 않더라구요 ㅜㅜ 부정적 생각도 바로 떨치기는 쉽지 않고..

그래도 긍정적으로 생각하려는 노력이 중요한거 같습니다!!

희선 2023-10-21 00:42   좋아요 1 | URL
긍정스럽게 생각하기 쉽지 않죠 늘 안 좋은 생각에만 빠지거나 좋은 생각만 하지 않을 것 같기도 합니다 안 좋은 일이 일어나도 아주 안 좋게 생각하지 않는 사람 있기는 하겠습니다 생각이라도 좋게 하면 기분이 좀 낫겠습니다 바로는 안 되더라도...


희선

2023-10-20 08: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10-21 00:4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라면이 서민 음식이라는 건 옛말이지

그래도 서민이 즐겨 먹어


오래전보다 값이 오른 라면은

종류도 많아서

뭘 먹어야 할지 망설이게 해


모험보다

언제나 먹는 걸 먹어

먹는 것도 모험해야 하느냐고

음식은 어떤 것보다 모험해야 하는 거야

새로운 맛은 어떨까 하고 먹어봤지만,

아주 맞지 않는 것도 있어

별난 맛 좋아하는 사람도 있겠지


라면은 거의 괜찮으려나

매운 것만 조심하면

짜고 매운 건 덜 먹는 게 좋아




희선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읽는나무 2023-10-18 14: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전 늘 진라면 순한 맛만 먹어요.
딴 건 약간 맵더라구요.
근데 순한 맛으로 끓이면서 스프 반만 넣고 고춧가루 따로 넣어서 먹으니 맵게 먹는 건 같은 건가? 싶기도 하네요.^^
짜파게티는 농심껄로 먹어요.

희선 2023-10-19 02:22   좋아요 1 | URL
몇 해 전부터 라면을 그만 먹어야지 했다가, 또 사다 두고 먹기도 하네요 저는 진라면 매운맛 순한맛 다 먹어요 매운맛 먹을 때가 더 많을지도... 라면 스프는 다 넣기보다 덜 넣는 게 좋죠 순한맛에 고춧가루 넣어서 드시는군요 그건 어떨지, 고춧가루 안 넣어 봤어요 한번 넣어 보고 싶네요 저도 어쩌다 한번 짜파게티 먹습니다


희선

2023-10-18 19: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10-19 02: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완전한 행복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유정 소설은 《진이, 지니》 빼고는 다 만났습니다. 소설이 아닌 다른 건 못 봤지만. 이 책 《완전한 행복》을 볼 때는 《7년의 밤》이 생각나기도 했습니다. 어딘가 비슷해 보이기도 했는데 그게 뭔지. 같은 작가 소설이어서 그랬을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이 책을 다 본 느낌은 ‘무섭다’예요. 이야기는 끝났지만, 신재인과 지유 그리고 차은호는 앞으로 어떻게 살지 걱정됩니다. 신재인과 지유는 좀 나을 것 같지만, 차은호는 남은 삶을 빈 껍데기로 살 것 같기도 합니다. 이야기가 끝나고 거기 나온 사람이 앞으로 어떻게 될지를 더 생각하다니. 이 책을 보면 그럴 수밖에 없어요.



 “아니, 행복은 덧셈이 아니야.”


 (…….)


 “행복은 뺄셈이야. 완전해질 때까지, 불행의 가능성을 없애가는 거야.”  (112쪽~113쪽)



 세상을 떠들썩하게 한 살인자 있었지요(얼마전에도 있었군요). 저는 그 사람 이야기 제대로 안 봐서 잘 모릅니다. 누군가를 죽였다는 말만 들었습니다. 이 소설에 나온 신유나와 다 같지는 않겠지요. 신유나는 무섭습니다. 그런 사람한테 남자는 잘 넘어가지요. 그 사람이 이상하다는 건 시간이 흐른 뒤에 깨닫죠. 실제도 그럴지 소설속에서만 그럴지. 그건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세상에 그런 사람이 없지 않을지도. 저는 그런 사람 만나지 않아서 다행이에요. 누군가를 죽이지는 않는다 해도 마음 안 좋은 사람과 아주 인연이 없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행복에 집착하는 사람 있을까요. 그것도 ‘완전한 행복’을. 그런 건 없는데. 신유나는 억지로라도 그걸 만들려고 해요. 아니 자신을 따르지 않는 사람은 없애야 한다 여기는군요. 그런 일은 한번도 아니고 여러 번이었습니다. 신유나가 가장 미워하는 사람은 언니인 신재인이었어요. 왜 그런 생각을 하게 됐는지. 엄마가 아플 때 신재인은 부모와 살았지만 유나는 할머니 할아버지와 살았어요. 어릴 때 부모와 살지 않았다고 사람이 이상해지기도 하는지. 부모는 그 일을 미안하게 여기고 유나 말은 뭐든 들어줬군요. 그게 문제였을까요. 부모가 아이와 좀 더 이야기하고 좋고 나쁜 것을 알려줬다면 유나가 괜찮았을지. 유나는 처음부터 사이코패스 기질을 갖고 있었던 건 아닐까 싶기도 해요.


 사이코패스가 다 사람을 죽이는 건 아닐 거예요. 유나는 자신을 버린 사람은 용서하지 않았어요. 버렸다기보다 떠나간 건데. 그런 사람이 부모여도. 다행스러운 건 거기에 친구는 들어가지 않았네요. 지금 생각하니 유나 여자 친구 이야기는 없었습니다. 딸은 있었어요. 지유. 처음에 지유는 엄마 말을 잘 지키려 하지만, 갈수록 엄마를 의심하는 것 같았습니다. 이것도 다행이지요. 지유가 유나와 함께 오래 살지 않은 것도. 지유가 유나와 살면서 자랐다면 지유도 유나처럼 됐을 것 같습니다.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생각했군요. 사람은 가까운 사람한테 영향을 받겠지만, 꼭 똑같아지지는 않기도 합니다.


 유나가 바란 게 정말 완전한 행복이었을지. 행복은 자기만 생각하면 안 될 것 같습니다. 유나는 자기 입맛에만 맞는 걸 바랐군요. 사람은 다 다르고 자기 생각이 있는데. 많은 사람은 그걸 알겠습니다. 유나는 자신을 중심에 두어서 잘 모르고 자신이 중심이 아닌 건 생각도 못했네요.




희선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파랑 2023-10-17 06:0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표지를 다시 보니 좀 무섭네요. 특히 피부 색깔이...
어린 시절의 안좋은 기억때문에 완전한 행복을 꿈꾼게 아닌가 싶네요~!!

희선 2023-10-18 02:41   좋아요 1 | URL
식구인데 그렇게 즐거워 보이지 않는 모습이네요 피부가 형광 분홍이라니... 어린 시절에 겪은 일이 사람을 이상하게 만들기도 하고, 그걸 잘 넘기는 사람도 있겠습니다


희선

페넬로페 2023-10-17 12: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정유정의 7년의 밤은 넘 좋게 읽었는데, 종의 기원이 엄청 무섭더라고요.
그 책 읽고 얼마동안 힘들어 그 다음엔 읽지 않고 있어요.
이 세상에 우리가 모르는 사이코패스가 많고 어쩌면 점점 더 많아지는지도 모르겠어요.

희선 2023-10-18 02:43   좋아요 2 | URL
사이코패스가 다 사람을 죽이지는 않을 거예요 정치 하는 사람에 그런 사람 많다는 말도 있잖아요 실제 그럴 것 같은 생각도 듭니다 누군가를 조종하려고 하는 사람은 조심해야 할 것 같습니다 소시오패스라는 것도 있다고 하니...


희선

서니데이 2023-10-17 18:1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정유정 작가의 책을 읽으면 살인이나 큰 사고 등이 등장하면서 스릴러 장르 느낌이 많이 들어요. 이 책 이전에 나온 책을 몇 권 읽었는데, 이 책도 읽기 전 마음의 준비가 필요할 것 같네요.
희선님, 날씨가 많이 차가워졌어요. 건강 조심하시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

희선 2023-10-18 02:45   좋아요 2 | URL
정유정 작가가 이런 스릴러 느낌이 나는 소설만 쓴 건 아니기도 해요 청소년 소설도 썼더군요 예전에 잘 모르고 보기는 했는데, 나중에 그걸 정유정 작가가 썼다는 거 알고 신기하게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소설가는 어떤 거든 쓰려고 하면 잘 쓸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번주에 많이 쌀쌀해진다고 합니다 서니데이 님도 감기 조심하세요


희선
 




밤하늘에서 반짝이는 별이 많아도

별과 별 사이는 아주 멀어요


별은 홀로 태어나고

홀로 떠나요


처음부터 혼자인 별은

쓸쓸함을 몰라요


별이 쓸쓸해하지 않아도

별을 올려다보는 사람은

쓸쓸하게 여깁니다

그건 쓸쓸한 사람 마음이네요


언제까지나 별이 쓸쓸함을 몰랐으면 해요




희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3-10-20 08: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10-21 00:3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