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과

사람 사이에

섬이 있다

그 섬에 가고 싶다        

   

나는 짧은 이 시를 보는 순간사람들 사이에서 사는 일에 지친 화자가 이제는 그만 편히 쉬고 싶다는 마음을 표현한 것이라고 느꼈다. 우리들 삶이란 어차피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이뤄지는 것이기에 좋으나 싫으나 스트레스를 받기 마련, 그래서 아주 작은 공간이나마 내(화자)가 쉴 수 있는 곳을 그리는 마음이 나타난 거라는 해석이다.

 

우리에게 이란 단어는 어떤 이미지인가? 고립이나 소외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도 있지만마음 편히 쉬는 곳이란 긍정적인 이미지도 분명히 있다. 모든 게 복잡다단한 현시대에 이르러 이 휴양지로서 역할을 톡톡히 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제주도라든가 그리스의 섬들이라든가 발리 섬 등이 휴양지나 신혼 여행지로써 인기를 끄는 것만 봐도 충분히 납득될 것이다.

 

그렇기에 복잡다단할 일이 없는 예전에는 은 결코 환영받지 못하는 공간이었다. 유배지로나 쓰였을 뿐이다.

  

한편, 이 시에 대한 일반적인 해석은 이렇다.

“(상략) 시인이 꿈꾸는 섬은 먼 바다가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에 있다. 그것은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공감의 세계, 혹은 그것을 향한 꿈이다. 정현종은 무척 외로울 때 이 시를 썼다고 회상한 적이 있다. 그 섬에 가는 길은 우정이나 연대(連帶)에서 찾을 수 있다. 동시에 홀로 있더라도 시를 읽거나 춤과 음악·그림에 몰입하는 영혼의 항해를 통해 이르는 섬이기도 하다. 그 섬에서 사람은 삶의 진짜 알맹이를 실감할 수 있다.(하략)”-박해현/기자, 조선일보 '문학산책'-

 

내 감상과 다르다. 하지만 나는 어느 쪽이 옳다는 주장을 하지 않겠다. 현대시의 맛은 난해한 데에 있기 때문이다. 평이하게 해석되거나 정답 같은 감상이 존재해서는 안 되는 까닭이다. 한용운의님의 침묵이란 시에서의 을 절대자나 잃은 조국으로만 보다가, 근래 들어 실제 연인으로서의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갖기 시작하는 것만 봐도 잘 알 수 있다.

 

'최순실 국정농단일로 온 국민이 패닉에 빠졌던 시절, 내게 이 시가 선하게 떠오른 까닭은 아무래도 시 속의 '섬'을 마음 편히 쉴 수 있는 공간으로 느꼈기 때문일 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농장에 한파가  엄습하자,  늦가을 햇빛이 뒷산으로 후퇴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밖은 영하 4도다. 따듯한 거실  창가 안쪽에 종류가 다른 화초 넷이 모여 있다. 종류가 달라도, 식물들이라도 정겨운 대화가 오가지 않을까? 만일 '절대 그럴 수가 없다!'고 부정한다면 동화가 존재할 수 없다. 인문학이 존재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상한 일이다. 사촌형님과 마주 앉아 술잔을 주고받기 시작하면 그 노래가 떠오르니.

 

헤어지기 섭섭해서 망설이는 나에게, 굿바이 하며 내미는 손, 검은 장갑 낀 손…….’간단한 리듬에 잔잔한 남자가수의 음성. 이제는 KBS가요무대프로그램에서나 나오는검은 장갑이란 노래다. 형님과 나는 지금 식당에서 삼겹살을 안주로 술잔을 나누고 있다. 삼겹살이 골고루 구워지는지 살펴가며, 간간이 숯불에서 튀는 불티들을 피해가며, 구워진 삼겹살을 젓가락으로 집어 상추 잎에 싸 먹으며, 술잔을 부딪친 뒤 술을 들이마시며, 그러면서 지난날을 얘기 나누는 복잡다단한 행동 중에도 그 노래는 내 머릿속 한편에서 맴돌고 있다.‘할 말은 많아도 아무 말 못하고, 돌아서는 내 모양을 저 달은 웃으리…….’

 

아무래도 노랫말이 잘 나가다가 끝에서 실패했다. ‘저 달은 웃으리가 무언가? 근사한 품격이 동요 수준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육십 년대 유행가의 한계가 아닐까. 이 노래가 맴돌면서 서울 미아리 허허벌판에 서서 눈을 맞고 있던 어린 내가 떠오른다.

 

<무심 이병욱의 단편소설 '떠나온 그 겨울' 중에서>

 

 

'검은 장갑'

손석우 작사 / 손석우 작곡 / 노래 손시향 孫詩鄕.


1. 헤어지기 섭섭하여
   망설이는 나에게
   굿바이하며 내미는 손
   검은 장갑 낀 손
   할 말은 많아도 아무 말 못하고
   돌아서는 내 모양을
   저 달은 웃으리.

2. 잔을 비고 청해봐도
   오지 않는 잠이여
   닿지 않을 사랑이면
   잊느니만 못해
   잊을 수 있을까 잊을 수 없어라
   검은 장갑 어울리는
   마음의 사람아.

<사진 클릭시 '검은 장갑' 노래가 나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K는 강의실 밖에서 쉬다가, 시험지의 답들을 적지 않았다는 것을 퍼뜩 깨달았다. 이름 석 자만 적고 휭 하니 나와 버린 것이다. 이걸 어쩌나? 시험지가 모르는 것 천지라도 성의를 보이는 차원에서 아무 거라도 답란에 적고 나왔어야 되지 않나? 이대로 있다가는 과락(科落)이 될 텐데, 다시 시험장으로 들어갈 수도 없고 아아 이 절망감.

할 때 아무래도 현실 같지 않다는 생각이 불현듯 들었다. 그 순간 꿈에서 깼다. K는 자기 집 이부자리에 누워 있었다. 주방에서 무슨 요리를 하는지 아내가 슬리퍼 끌며 바삐 오가는 소리도 들려온다. K는 안도했다. 노후 특징 중 하나가 꼭두새벽에 잠깨는 일이다. 오늘도 새벽 네 시경에 잠이 깨서 하는 수 없이 컴퓨터를 켠 뒤 인터넷 하다가 다시 잠잤는데 그렇듯 시험악몽에 시달렸던 것이다.

시험.

K가 직장(교직)생활 할 때 스트레스를 많이 받던 일 중 하나가 방학 때 대학교로 강습 가서 치르는 시험이었다. 담당 교수가책이나 노트를 펴 놓고 참조해가며 답을 적어도 좋습니다. 단지, 강습을 받았다는 증빙자료로써 답지를 걷는 것이니까요.’하는 부담 없는 시험도 있지만 대개는 승진점수와 결부되는 긴장된 시험이었다. 그럴 때 K승진에 관심이 없다는 듯 애써 편한 낯으로 시험을 치르지만 속마음은 편치 않았다. 왜냐면 시험을 열심히 치르는 동료들이 주위에 포진해 있기 때문이다. 그런 동료들이 훗날 K보다 교장 교감이 먼저 돼 평교사로 남은 K를 감독하고 관리할 듯싶었다. 그런 엿 같은 미래현실을 마음 편히 받아들일 수 있을까?

K3학년 담임으로 있는 학교에서 정기고사를 치를 적마다 그 스트레스에 영양실조 걸린 것처럼 얼굴이 푸석푸석한 학생들이 많은데입장이 바뀌어 K 자신이 바로 그런 학생들처럼 스트레스를 받으며 대학교 강의실에 앉아 시험을 치렀던 거다! 순간 K는 자기도 모르게 큰 소리로 뇌까렸다.

그 놈의 시험!”

주방의 아내가 무엇을 썰다가, 남편의 외마디 소리에 놀라서 큰 소리로 물었다.

뭐라고요?”

아냐. 아무 것도 아냐.”

그렇게 답한 뒤 K는 이불을 천천히 개면서 모처럼 퇴직 후 행복감을 만끽했다. 비록 현직 때 받는 봉급의 절반밖에 안 되는 연금으로 살지만 그 놈의 시험을 치를 일이 없으니 얼마나 다행인가.

시험. 얼마나 성가신 것인지 모처럼 우리나라를 방문한 미 대통령 트럼프마저 이렇게 외쳤을까.

북은 미국을 시험에 들게 하지 마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찔레꽃 2017-11-26 16: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북은 미국을 시험에 들게 하지 마라!˝, 빵 터지는 웃음에 깊은 의미가...꽁트의 묘미를 한껏 느꼈습니다.

무심 2017-11-27 09: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시험‘만큼 사람을 괴롭히는 게 있을까요? 얼마나 지겨운 것인지, 퇴직한 지 10년 넘은 무심이 얼마 전 잠자다가 그 꿈을 다 꾸고
놀라서 깼단 말입니다. 물론 사람들 중에는 시험을 즐기는 사람도 드물게 있더라고요. 무심으로서는 참, 이해하기 힘든 존재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