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과 잔혹의 세계사 - 인간의 잔인한 본성에 관한 에피소드 172
기류 미사오 지음, 이선희 옮김 / 바움 / 2008년 8월
평점 :
품절


세계사를 심도있게 살펴보거나, 머리 아픈 얘기를 늘어놓는 게 목적이 아니다. <사랑과 잔혹의 세계사>는 세계사 속, 기묘하고 잔혹한 에피소드를 맛깔스럽게 엮은 책이다. 대개 한 두페이지 정도의 짧은 이야기이기 때문에 쉽고, 부담없이 읽을 수 있다. 처음부터 끝까지 한번에 읽는 것보다는 짜투리 시간에 몇 꼭지씩 읽어 나가는 게 좋지 않을까 싶다.

소개된 에피소드는 무려 172가지다. 자칫 산만할 수도 있지만, 소주제별로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어 편하게 읽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장 '불가사의하게 살아간 사람들'에서는 '독, 죽음, 민간요법, 인육, 유행 등'의 소주제가 있고, 소주제별로 관련 에피소드가 실려 있는 식이다.

'잔혹'이란 단어가 무색하지 않은 무시무시한 이야기가 초반부터 이어진다. '처형'의 장엔 유방 도려내기, 온 몸의 구멍 꿰매 죽이기, 화형, 꼬챙이형 같은 끔찍한 형이 등장한다. 온 몸의 구멍을 꿰매 죽인다니, 정말 충격이다. 이야기는 13세기 몽골로 거슬러 올라간다. 권력자의 비호아래 영향력을 행사하던 '파티마'란 무녀가 있었는데, 권력 변동기에 밀려나 사형에 처해진다. 사형집행인은 먼저 '양쪽 눈꺼풀과 입을 꿰매고, 양쪽 귀는 접어서 꿰맸다. 또한 항문과 질까지 꿰매 대소변도 볼 수 없게 만들었다.'(p.48참조) 결국 그 상태에서 죽임을 당하는 파티마. 잔혹하기로 따지만 꼬챙이형도 엄청나지만, 어느 정도 알려진 드라큘라의 모델인 루마니아 백작 이야기라 따로 언급하진 않겠다.

잔혹함을 즐기며(?) 뜻밖의 세계사 지식까지 얻을 수 있다. 단두대를 의미하는 프랑스어, 기요틴의 유래가 나온다.(p.70) 기요틴은 파리대학 해부학 교수이자 정치가인 '조제프 기요탱'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라 한다. 칼이나 도끼로 참수했을 때, 한 번에 잘리지 않아서 사형수가 고통에 빠지는 것을 본 기요탱이 단두대의 사용을 제안했기 때문에. 또한 중세 유럽에 마녀사냥이 성행했던 이유(p.80)도 나온다. 진짜 이유는 마녀로 몰린 이의 재산을 가로채기 위해서였다. 저자는 신성로마제국에서 마녀의 재산몰수를 금지하자 마녀적발이 급격히 감소한 것을 그 증거로 든다.

중간 중간 사진이나 그림이 실려 있다. 이는 이야기의 단조로움을 제거하고 신뢰감을 높혀 준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사진 하나를 꼽겠다. 바로 '엘리스 리델'(p.240)의 사진. 사진 속 소녀는 꽃이 만발한 화단에서 예쁜 원피스를 입고 있다. 굉장히 예쁘지만 표정은 싸늘하다. 계속 보면 왠지 오싹하기까지 하다. 이 소녀를 위해 '루이스 캐럴'은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를 썼다. 저자는 루이스 캐럴을 둘러싼 의혹을 제기한다. 어떤 의혹일까? 정말 놀라웠다.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가 달리 보였음.

혹시 '피 튀는 끔찍한 이야기만 잔뜩 있는 거 아냐?'하실 수도 있지만 그렇진 않다. 이형(난쟁이나 몸이 두 개인 여자 등)여자를 좋아했다는 중국 현종 이야기(p.153), 종을 만드는 아버지를 위해 희생한 딸 이야기(p.155) 같이 기괴하거나 감동적인 에피소드도 있다. 다소 황당하고 쓴웃음 짓게 하는 것도 있다. 처녀성을 확인하는 기상천외(?)한 방법(p.181)이 그것인데, 스폐인에선 결혼 다음 날 손님들에게 핏자국을 보여주며 "처녀였어요!"라고 외쳤다고 하니…참.

<사랑과 잔혹의 세계사>, 놀랍고 충격적이며 재미까지 있다. 한여름, 공포물에 열광하듯 잔혹함 뒤에 카타르시스를 느꼈다고나 할까. 기류 미사오의 진가를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pple 2008-09-21 05: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류 미사오는 이런 책 정말 주구장창 잘도 써내네요..^^;; 기류미사오 책중에 잔혹함이라던가 악녀에 대한 이야기 굉장히 많은 걸로 알고 있는데...겹치는 이야기도 많을듯;; 확실히 이런 주제의 책이 자극적이라 흥미도 자아내고 많이 팔리기도 하기 때문일지...
아무튼 저도 보고싶네요.^^ 아무리 봐도 이런 책들은 왜이리 재밌는지...=_=

근데 앨리스 리델 이야기가 여기 왜 들어있나요?ㅇ.,ㅇ 루이스 캐럴은 아이들을 굉장히 좋아해서, 평생 아이들에게 책이나 읽어주면서 살고싶다고 했다던데, 확실히 어른의 입장에서 보면 롤리타 컴플렉스를 떠올리지 않을수 없지요.
정말 아이같이 순수한 마음이었는지, 아니면 확실히 뭔가(?) 있었는지는 본인만 알수 있겠지요.^^;
이전에 읽었던 기류 미사오 책들을 떠올려보면, 의혹만으로 억측하는 부분들도 좀 있었던것같애요. 하지만 이런 의혹들이 사실 자극적이라 재밌긴 하지요...^^음모론처럼...

쥬베이 2012-03-13 13:03   좋아요 0 | URL
맞아요 <알고보면 무시무시한 잔혹동화>도 그렇고, <처형대 세계사>도 그렇고, 작가가 저런 얘기를 좋아한데요ㅎㅎㅎ

우와 역시 시즈님 예리하시다^^ 기류 미사오는 루이스 캐럴이 로리콘이라고 주장합니다ㅋㅋㅋ 내용을 보면 '정말 그런가보다'하게 되더라고요. 근데 시즈님 댓글을 보니, 반드시 진실이라곤 할 수 없겠네요. 아 앨리스 리델, 이쁘더라고요ㅋㅋㅋ 그냥 부담없이 읽기 좋은 책이었습니다^^

Apple 2008-09-22 01: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쁘기도 하고, 애인데 참 묘하게 생기지 않았나요?^^; 애인데 어른처럼...
루이스 캐럴얘기는 다른 책에서도 많이 접해서 그런 설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어요.
아이들 사진을 참 많이 찍었엇는데, 사진들이 참 묘해요. 애들을 애들같이 찍어놓은게 아니라 애들을 어른같이 찍어놓은 느낌이랄까...그래서 로리콘을 떠오르게 만드는 것 같기도..^^

쥬베이 2008-09-22 02:31   좋아요 0 | URL
헉!! 시즈님!!! 어쩜 저리 잘아세요??
맞아요. 애인데 꼭 어른처럼 생겼어요. 저도 저런 생각했어요...
시즈님 사진 보신건가요?? 놀랐어요 정말 우와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