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콜릿 코스모스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초콜릿 코스모스>는 연극에 대한 애정으로 똘똘 뭉쳐있는 작품이다. 온다 리쿠가 연극팬임은 알았지만 막상 작품으로 접하니 조금은 생소하다. 노스탤지어, 학원 미스터리, 아련한 가성 같이 온다 리쿠하면 떠오르는 건 이 작품에 없다. '노스탤지어의 마법사 = 온다 리쿠'란 공식을 염두에 두고 읽는다면 분명 실망할 것이다.
줄거리는 간단하다. 큼지막한 사건도 놀랄만한 반전도 없다. 미스터리한 소녀 사사키 아스카를 중심으로 한 아라가키 연극동아리 이야기, 유명배우 아즈마 교코와 아즈미 아오이를 둘러싼 이야기가 각기 나뉘어 진행된다. 그러다 영화계의 전설 세리자와 다이지로가 마련한 '신고쿠사이 극장 개관공연 오디션'에서 양자는 극적인 접점에 다다른다. 이렇게 단 두 문장으로도 정리할 수 있다.
이런 스토리를 가지고 500페이지 가량을 썼다는 것은, <초콜릿 코스모스>가 사건보단 인물묘사에 치중한 소설이란 점을 의미한다. 온다 리쿠가 연극에 대한 애정을 동력삼아 즐기면서 쓴 것이다. 특히 유명배우 아즈마 교코의 내면묘사는 주목할 만하다. 교코는 동료배우인 아즈미 아오이와 신예 사사키 아스카를 비교선상에 두고 질투하고 불쾌해하고, 때론 우월감에 젖기도 한다. 아오이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런 여성들의 미묘한 갈등양상은 시종일관 이어지다, 마지막 오디션에서 절정에 달한다. 그리고 아름답게 승화된다.
온다 리쿠 특유의 미스터리함이 아주 없는 것도 아니다. 나타났다 사라졌다를-적어도 관찰자인 가미야에게는-반복하는 소녀, 마주친 사람들을 섬찟하리만치 흉내내는 소녀, 초반부 가미야에게 관찰되는 사사키 아스카의 모습은 미스터리하고 때론 공포스럽기까지 하다. 하지만 이는 사사키 아스카의 비범함을 표현하기 위한 장치일 뿐이다. 이처럼 단순한 소재로 머물러 버린듯한 아쉬움은 있지만, 온다 리쿠 특유의 분위기를 사랑하는 팬에게는 약간의 위안이 될 수 있을 듯 하다.
큰 기대를 했지만 <초콜릿 코스모스>, 조금 아쉽다. 읽는 이를 매혹시킬만한 재미가 없다. 어찌해서라도 의미를 찾으려 노력했지만, 얻은 건 연극에 대한 온다 리쿠의 애정을 확인한 것 뿐이다.
* 북풀리오의 온다리쿠 시리즈는 통일성있는 표지가 큰 매력이다. <초콜릿 코스모스>의 표지도 마음에 든다. 하지만 종이질이 밋밋하다고 해야하나, 질감이 좋지 않다. 그림 속 풍선이나 의자 같은 건 홀로그램처리해서 입체감을 주는 것도 좋았을텐데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