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마지막 편지!! 1977년 6월 24일 과연 저자와 정숙씨의 재회는 어떠했을까. 페이지가 끝나갈수록 그녀와의 만남에 설레어하는 저자의 기대감을 함께 맛볼 수 있었다. 부디 오래오래 함께 행복하기를 바랐는데, 1987년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다는 채광석님. 어쩐지 아득한 느낌에 마음도 텅 비어버리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77년 3월 16일에 정숙씨에게 보낸 편지에는 <독서생활>에 실린 고 박경리 선생님의 [토지]에 관한 이야기가 담겨 있었다. 작년에 재독하려고 마음 먹었지만 1권 읽고 그만 둔 [토지]. 읽으면 읽을수록 거인의 티가 돋보인다는 저자의 감상을 듣고 있으려니, 다시 한 번 읽어보고 싶어진다. 저자는 이 [토지]에서 과연 무엇을 보았는지도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제 문학은 글깨나 읽을 줄 아는 지식층 독자를 대상으로 전개되는 글놀음이거나, 문학사적 위치나 정신의 정상을 자랑하는 위대성의 표시이기를 그치고 하잘것없는 서민 대중의 고달픈 삶에 하나의 위안이 되고 그들의 매몰된 삶에 사람다움의 본질을 일켜 세우는 힘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p265

 

명문장으로 꼽는 부분!! 전문용어와 '난삽한' 낱말이 사용되는 문학은 대중들에게 쉽게 손을 내밀지 않는다. 대중들이 잡아주지 않는 손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이후 저자는 과연 어떤 글들을 남겼을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기억으로는 책을 읽으면서 '자유롭고 싶다'는 저자의 열망을 직접적으로 맞닥뜨린 적은 없는 것 같다. 그런데 소제목으로 '자유롭고싶소'라는 글자를 마주하니, 그 열망이 얼마나 강하게 저자의 마음 속에 자리잡고 있었을지, 그제야 실감이 나는 듯.

 

 

그럼에도 그는 새 삶을 준비한다. '세속의 평범한 삶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을. 그는 자신과 정숙 씨의 하나 되고자 하는 열망이 처음보다 사그라든 것에 대해서도 '조용한 침잠'이라 평가하며 성숙한 모습을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웃으며 자잘한 얘기 큰 목소리로 나누며

시시해지고 싶어 시시해지고 싶어

나는 운다.

사랑하는 이여.

알프레드 시슬레 <첫 서리>, 1876년

 

이 책에 실린 알프레드 시슬레의 <첫 서리>를 읽다보면 저자의 편지글이 떠오르면서 그가 얼마나 자유와 평범한 생활을 그리워하는지 알 수 있다. 책의 초반 정숙 씨에게 보내는 편지글이 대체로 담담했던 것과는 달리, 공주교도소에서 겨울을 보내고 있는 저자의 글들에서는 소리없는 울부짖음이 느껴지는 것 같다. 자신도 어쩌지 못하는 마음의 변덕을 느끼고 있었던 게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