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이름들의 낙원
허주은 지음, 유혜인 옮김 / 창비교육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창비교육>으로부터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폭력과 두려움에 맞서는 용감한 발걸음을 응원하며] 


[사라진 소녀들의 숲]을 시작으로 [붉은 궁], [늑대 사이의 학]까지 역사 속 굵직한 장면을 배경으로 은근한 울림을 주는 작가 허주은. 그의 신간 [잃어버린 이름들의 낙원] 또한 작가가 한국 독자들에게 건네는 목소리 중 하나입니다. <한국 독자들에게> 를 읽어보면 앞의 세 작품 이전에 먼저 [잃어버린 이름들의 낙원] 이 있었던 것으로 보여요. 2015년 한무숙 작가가 쓴 [만남] 에서 주인공 정약용이 천주교와 연관이 깊었던 서양 학문에 매료되며 펼쳐지는 이야기에 깊은 인상을 받아 태어난 작품입니다. 


1800년 정조가 승하한 후 정순왕후의 수렴청정이 시작된 후 조정에는 피바람이 예고됩니다. 모략과 배반, 암살로 궁정이 시끄러운 때, 민가에서는 천주교 신자들이 배덕한 자들이라 낙인찍히며 죽어나갑니다. 관비로 팔려 다모로 살아가는 '설'은 세상을 떠났다 생각한 오라버니의 무덤을 찾기 위해 애쓰는 한편, 연쇄살인사건의 비밀을 풀기 위해 포도청 한도현 종사관과 동행하죠. 여염집 아씨가 간직하고 있던 비밀, 죽음에 숨겨진 진실, 그리고 당시의 상황을 둘러싸고 있는 비극적인 사회 상황 속에서, 설의 용감한 발걸음이 시작됩니다. 


엄연히 반상의 법도가 존재하는 데다 남녀차별이 당연시되던 시절에, 자신의 존재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바삐 움직이는 '설'이라는 캐릭터는 무척 인상적입니다. 운명에 순응하지 않고 어떻게든 정해진 길을 벗어나 자신만의 길을 개척하려는 설의 모습은, 허주은 작가의 작품들 속 여성 캐릭터들과 맞닿아 있습니다. 두려움 속에서도 끊임없이 불을 밝히고, 위험을 무릅쓰는 모습을 보면 우리는 당연하게도 그녀들을 응원할 수밖에 없어요. 가진 것을 당연시하며 여성을 무시하는 남자들의 폭력 앞에서도 주저앉지 않는 모습은, 폭력과 차별에 굴하지 않는 모든 사람들에게 용기와 희망의 불씨를 안겨줍니다. 


허주은 작가의 작품을 읽다보면 안타까운 마음이 파도처럼 밀려옵니다. 어째서 우리는 이런 비통한 시간을 겪을 수밖에 없었는가, 천주교의 가르침에 아무리 큰 충격을 받았다 해도 어떻게 하면 부모가 자식을 고발하고, 자식이 부모를 죽음으로 모는 참담한 일이 벌어질 수밖에 없었는가 되묻게 돼요. 단순 역사책을 읽는 것만으로는 느낄 수 없는 울림. 그 울림이 바로 허주은 작가의 작품 안에서 들려옵니다. 그래서 계속 그녀의 작품을 찾게 되는 거겠죠. 


 늘 그랬듯, 진실은 밝혀질 것이고 '설'은 어떻게든 살아남아 자신의 존재를 증명할 것이라 믿어봅니다. 그리고 이름 없는 자들이 온전히 자신의 이름을 찾지 못한다 해도, 그들의 발자취를 누군가는 기억하고 있다는 것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미 돌아오다
사쿠라다 도모야 지음, 구수영 옮김 / 내친구의서재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친구의서재에서 출간된 만큼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계 도둑과 악인들 다이쇼 본격 미스터리
유키 하루오 지음, 김은모 옮김 / 블루홀식스(블루홀6)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이쇼 시대를 배경으로 한 매력적인 단편집! 기대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집에 왜 왔어?
정해연 지음 / 허블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의 가정은 평안하신가요? 가족을 소재로 한 책은 무서워요!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집에 왜 왔어?
정해연 지음 / 허블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리뷰어스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당신의 가정은 평안하신가요?]


국내 장르소설 작가 중 어느 정도 믿고 읽는 작가 중 한 명이 정해연 작가인데요, 이번 소설은 '집, 가족'을 소재로 한 미스터리라고 해서 특히 관심이 갔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는 아이나 이혼의 과정을 소재로 방송하기도 하는 요즘, 과연 미스터리 속에서 가족은 어떻게 그려질지 궁금했어요. 아무래도 매운 맛이리라 생각했는데, 실린 세 작품 모두 나름 매운 맛이기도 하고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첫 작품인 <반려, 너>는 독자에게 말을 거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이야기입니다. 작곡가로서 강아지 호두를 키우고 있는 한 남자가 먼저 등장해요. 공원으로 호두와 산책을 나간 남자, 윤치훈은, 호두가 어떤 여성의 발목을 물어버리는 바람에 그녀와 인연을 맺게 되죠. 아름다운 그녀의 이름은 이정인. 두 사람은 서로에게 호감을 갖게 됩니다. 독서모임을 한다는 정인의 말을 듣고 자신도 참가하고 싶다고 하는 치훈. 이 정도면 명백한 관심의 표현이겠죠. 핑크빛 향기를 풍기던 두 사람의 분위기는, 그러나 치훈이 정인의 독서모임에 등장하면서부터 분위기가 180도 바뀌어 버립니다. 정말 깜짝 놀란 반전이었어요! 결말 부분에서 정인이 독자를 향해 던지는 질문이 있는데, 두 사람 사이에 벌어진 일에 정말 정인의 책임이 있을까, 싶었습니다. 작가는 표면적으로 보이는 조건에 끌리는 요즘 세태를 꼬집고 싶었던 걸까요? 하지만 누구나 처음은 겉으로 보이는 매력에 끌리게 되는 거잖아요. 저는 정인의 잘못은 없다고 생각하지만 조금 더 경계했다면 어땠을까, 그런 생각은 들었습니다. 


두 번째 작품인 <준구>는 1984년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학원 강사인 준구가 심야의 지하철을 타고 귀가하고 있어요. 몇 명 타고 있지 않은 객실 안에서, 갑자기 한 남자가 구토와 함께 경련을 시작해요. 결국 남자는 사망하고, 준구는 경찰 조사의 참고인으로 진술한 뒤 집으로 돌아갑니다. 악몽은 그 때부터 시작이었어요. 사랑하는 딸 지혜가 잘 자고 있는지 확인하러 들어간 그 방안에서요. 이후 마치 영화의 한 장면처럼 딸을 구하기 위한 아빠로서의 분투가 시작됩니다. 준구가 겪은 일 때문에 1985년 개통된 4호선 열차에는 머리나 팔을 내밀 수 없는 반 개 구조의 창이 설치됐다고 합니다. 흐흐. 과연 진실 혹은 거짓??!!


세 번째 작품인 <살(煞)>이 전체 제목에 가장 걸맞는 작품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스튜어디스로 누구보다 찬란하게 빛났던 딸 수영. 그런 그녀가 어느 날부터 자리보전을 시작합니다. 제대로 먹지도 못하고 잠도 못자는 상태에서 말라가기만 하는 딸을 안타까운 눈으로 지켜보는 선경에게, 한 남자가 말을 걸어요. 월하도령이라 불리는 그는 선경에게, 가족 중 한 사람이 수영에게 살을 날렸다고 합니다. 어떤 물건을 이용해서요. 결국 선경은 가족들을 의심하게 되죠. 한때 바람을 피웠던 남편을, 언니에게 열등감을 가지고 있었을 민영을. 그 과정에서 밝혀지는 가족들의 비밀은 참 무서워요. 그 비밀을 선경은 끝까지 가슴에 묻고 살아갈 수 있을까요? 과연 가족 중 수영에게 살을 날린 이는 누구였을까요?


가족이란 과연 무엇일까요. 어제도 첫째 아이에게 상처를 준 것 같아 괴로워하며 밤을 보낸 저는, 가족이라는 관계야말로 참으로 쉽지 않음을 절감합니다. 가족이라 남보다 더 큰 상처를 줄 수도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왜 그랬을까 자책하게 돼요. 작가님은 앞으로도 많은 가족의 이야기를 담을 예정이라고 하는데, 부디 그 안에서 나의 못난 모습은 발견하게 되지 않기를 바라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