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타벅스를 만든 하워드 슐츠가 2008년 1월에 복귀한 후 가장 먼저 한 일은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였다. 회사를 머리부터 발끝까지 새롭게 리모델링하겠다는 원대한 목표의 시작을 자신의 습관 개선으로 잡았던 것이다. 그때부터 전날 몇 시에 잠자리에 들었든지 상관없이 새벽 5시 반에 알람을 맞춰놓았다. 일어나자마자 커피를 끓이고, 세 개의 신문을 읽었다. 그러고 나선 전날 매출 결과를 요약한 음성사서함을 열었다. 지구상 어딘가에 깨어 있는 영업점이 있는 만큼, 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의지였다. 2008년 2월 26일. 미국 전역의 스타벅스 문을 닫고 모든 바리스타들이 고객 서비스에 대한 재교육을 받은 일화는 유명하다. 그 시작이 바로 일찍 일어나는 습관에 있다. (p.27)

2. 내 생활 습관을 개선하기 위한 첫 번째 방법으로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에 대한 생각을 하고 있던 터라, 이 구절이 와 닿았다. 나는 하워드 슐츠처럼 머리부터 발끝까지 새롭게 리모델링할 회사는 없지만, 그래서 더 쉬울 것이다. 온전히 나 자신을 바꾸는 일이니까.

전날 몇 시에 잠자리에 들었든지 상관없이 새벽 5시에 알람을 맞춰놓았다니. 단순히 알람을 맞춰놓는 문제가 아니라, 그렇게 기상해서 일상을 시작한다는 것이 대단했다.

나는 일단 1시간 일찍 일어나는 것을 목표로 삼아서,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를 시작해보려 한다. 그 정신에 가능할지 모르겠지만, 책을 읽어보려 한다. 이 책이 말하는 것처럼 ‘한번 하기’를 실천하는 것이다. 고작 한 번 해본 것으로 그칠지라도.

3. 책을 가리지 않고 읽어도, ‘자기계발’서만큼은 안 읽는다는 사람들을 종종 만난다. 나 역시 경험해본 적이 있으므로, 자기계발서에 대한 날선 그 시선을 이해하지 못하는 건 아니다. 그렇지만 특정한 책 한 권이 아니라 자기계발서 그 자체를 부정할 때는 몸 둘 바를 모르겠다. 나까지 부정당하는 것 같아서. 자기계발서에도 얼마나 많은 책이 있으며, 그 책 중 몇 권은 내게 큰 도움이 되었다는 나의 반박은 매번 허공에 흩어지고 만다. 자기계발서를 찾아 읽는 것이 내 자유이듯, 찾아 읽지 않는 것 역시 누군가의 자유지만 모든 자기계발서가 쓸모없지는 않다. (비슷한 자기계발서가 계속 출간되는 것은 지양해야하는 일이지만) 읽고 싶은 사람은 읽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읽지 않으면 되는 일이니 말이다.

4. 자기계발까진 아니지만 여전히 지인들에게 블로그 혹은 인스타그램을 시작해보라(기록의 의미로) 전파하고, 책을 읽어보라 전파하는 사람이라 자기계발에 긍정적인 것인지도 모르겠다. 전파해 본 경험으로 이야기하자면, 열에 아홉은 열과 성을 다해 전파하는 내 이야기를 그저 들어주는 것에 그친다. 두 가지 일 모두 워낙 능동적인 일이라 그런 걸까? 비단 남의 이야기가 아니라 나만 봐도 그렇다. 운동의 중요성을 알면서도 남의 이야기인양 산다. 그렇구나. 결국 자신이 좋아야 되는 것이다. 내가 아직 운동에 재미를 붙이지 못한 것처럼, 누군가도 어떤 것에 아직 재미를 붙이지 못한 것이다.

원래는 1번에 담은 구절만 올리려고 했는데, 제대로 삼천포로 빠졌다. 이게 다 뭔 소린지@_@ 이제 글 그만 쓰고 책마저 읽어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